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62922547
· 쪽수 : 692쪽
· 출판일 : 2011-11-29
목차
중공동만특위문헌자료집(하)
연길현위에 보내는 중공동만특위의 편지(연자 제2호)
―적들의《토벌》및 그것에 대비할 전술, 유격대의 당면한 공작 및 존재한 문제들에 대하여(1934년 1월 3일)/ 3
성위에 보내는 중공동만특위의 보고서(성자 제5호)
―왕청현 민생단활동, 반일부대대표대회 및 현위의 조직 등 문제에 대하여(1934년 1월 7일)/ 23
성위와 길동국에 올리는 중공동만특위 장영동지의 보고서
―동만특위의 공작정황과 성위의 공작에 대한 의견(1934년 1월 7일)/ 28
중공동만특위의 보충보고서
―의용군, 산림대, 자위단 및 투항군의 자세한 정황에 대하여(1934년 2월 8일)/ 33
성위에 올리는 중공동만특위의 보고서
―특위자체의 문제와 화룡, 훈춘, 왕청, 연길 및 유격대의 정황(1934년 5월 23일)/ 46
성위에 올리는 중공동만특위의 보고서
―특위의 정황, 유격대와 민생단 등에 대하여(1934년 7월 25일)/ 55
성위에 올리는 중공동만특위의 보고서
―동만의 모든 형세와 공작정황에 대한 서한(1934년 8월 15일)/ 62
반민생단투쟁에 관한 중공동만특위, 공청단동만특위의 결의(1935년 3월 1일)/ 71
성위에 올리는 중공동만특위 ×××의 편지
―동만당의 공작과 군사계획 및 간부 등 문제에 관하여(1935년 3월 3일)/ 77
성위에 올리는 서경의 편지
―종동지의 공작과오문제, 제2군조직문제, 동만간부부족 등 문제에 대하여(1935년 3월 15일)/ 90
중공동만특위, 단동만특위 제1차련석확대회의의 보고서
―중앙로선을 집행할 문제, 대적투쟁정황 및 금후의 임무 등 문제에 관하여(1935년 3월)/ 95
중국인, 고려인 민중들에게 고하는 중공동만특위의 서한
―일본제국주의의 간첩 리상묵, 송일, 주진, 박춘, 최장복, 윤창범, 강창윤, 최봉문 등을 반대할데 대하여(1935년 5월 1일)/ 108
춘산에게 보내는 홍장의 편지
―간부문제에 관하여(1935년 6월 17일)/ 111
반민생단투쟁에 대한 중공 동만 당, 단 특위의 보고서
―민생단의 작용, 조직 및 반민생단투쟁의 성과와 존재한 문제(1935년 6월 17일)/ 114
만주성위에 보내는 중공동만림시특위 서기 주(대표)의 편지
―동만 유격구, 통치구의 일반정황과 반일군산림대의 구체적인 정황에 관하여(1935년 6월 17일)/ 118
춘산에게 보내는 중공동만림시특위 서기 홍장의 편지
―간부, 교통 등 문제에 관하여(1935년 7월 14일)/ 126
춘산에게 보내는 중공동만림시특위 서기 홍장의 편지
―통일전선문제에 대하여(1935년 7월 25일)/ 128
춘산에게 보내는 중공동만림시특위 서기 홍장의 편지
―인민정치보위국을 설치할 문제(1935년 8월 15일)/ 130
춘산에게 보내는 중공동만림시특위 서기 홍장의 편지
―간부, 경비 등 문제에 관하여(1935년 10월 4일)/ 131
중공동만림시공작위원회 서기 왕의 편지
―공헌영, 주명이 체포된 뒤의 정황에 관하여(1935년 12월 6일)/ 133
중공동만특위 서기 풍강의 보고서(1)
―동만특위 당, 단 간부와 인민혁명군간부의 략력에 대하여(1935년 12월 20일)/ 138
중공동만특위 서기 풍강의 보고서(2)
―의용군공작에 대하여(1935년 12월 20일)/ 142
중공동만특위 서기 풍강의 보고서(3)
―특수부문―병기공장, 피복공장, 후방병원, 인쇄공장, 재신처 및 감독 등 정황에 관하여(1935년 12월 20일)/ 148
중공동만특위 서기 풍강의 보고서(4)
―수분대전자 및 안도의 반일공작 등 문제에 관하여(1935년 12월 20일)/ 153
중공동만특위 서기 풍강의 보고서(5)
―민생단문제에 대하여(1935년 12월 20일)/ 160
중공동만특위 서기 풍강의 보고서(6)
―특위의 공작계획에 대하여(1935년 12월 20일)/ 175
중공동만특위 서기 풍강의 보고서(7)
―의용군과 통일전선 등 문제에 관하여(1935년 12월 20일)/ 180
중공동만특위 서기 풍강의 보고서(8)
―동만의 일반적인 정황에 대하여(1935년 12월 20일)/ 197
동만 각급 당부와 전체 동지들에게 보내는 중공동만특위림시공작위원회의 편지
―동만특위가 파괴를 입은것과 대적투쟁을 강화할 문제에 관하여(1935년)/ 205
리상묵, 주진, 박춘의 당적을 제명할데 관한 중공동만특위의 결의(1935년초)/ 208
중공동만특위《동북동만특구림시인민혁명정부정강(초안)》
(1935년)/ 210
중공동만특위에서 5군당위를 거치여 길동성위에 올려보내는 편지
―교통로선, 수신처 및 련락지점에 대하여(1936년 2월 2일)/ 214
동만림시공작위원회 및 왕윤성동지에게 보내는 위증민의 편지
―대적투쟁책략, 당, 단조직의 령도와 건설 등 문제에 관하여(1936년 2월 7일)/ 215
왕윤성동지에게 보내는 위증민의 편지
―동만당의 조직변화와 중앙과의 교통관계 및 학생을 보내 공부시킬 등 문제에 대하여(1936년 2월 7일)/ 220
중공동만성위 위증민 등이 중공중앙, 국제대표단 왕명, 강생에게 보내는 편지
―만주의 현하 유격운동의 특점 및 절박한 요구에 대하여(1936년 2월 20일)/ 223
윤성, 중산동지에게 보내는 위증민의 편지
―소년영을 조직하는 문제, 4퇀의 령도공작 및 활동구역문제에 관하여(1936년 3월 8일)/ 239
공작위원회 및 윤성동지에게 보내는 위증민, 왕덕태의 편지
―2군의 조직편제 및 당의 조직문제(1936년 3월 8일)/ 241
주보중에게 보내는 위증민의 편지
―동만, 남만이 한개 성위를 조직하고 1, 2군이 항일련군 제1로군을 조직할 문제들에 관하여(1936년 7월 9일)/ 244
×××에게 보내는 중공동만특위 위의 편지
―2, 5군 교통련락 및 주명 등이 변절한 문제에 대하여(1936년 7월 10일)/ 247
중앙동지에게 보내는 풍강의 편지
―리광산동지가 문건을 가지고 파견되여 련락을 맺을 문제에 대하여(1936년 12월 27일)/ 249
중앙대표단에 올리는 왕윤성의 보고서
―1935년-1936년 동만동부의 공작정황에 대하여(1937년 1월 17일)/ 250
만주의 각급 당부와 전체 당원에게 보내는 중앙의 서한
―만주의 상황과 우리 당의 임무를 론함(1933년 1월 26일)/ 265
중공만주성위의 문헌자료
동만특위에 보내는 중공만주성위의 편지
―적들의 제2기《토벌》및 적극적인 진공정책을 취할데 대하여(1934년 2월 10일)/ 289
반민생단투쟁을 위하여 동만특위와 인민혁명군 및 전체 동지들에게 보내는 중공만주성위의 편지(1934년 10월 1일)/ 292
단만주성위특파원(종)의 동만공작순시보고서
―동만의 목전형세와 금후의 공작계획 및 의견(1934년말)/ 305
단만주성위특파원(종)의 보고서
―지난날 동만의 당, 단 인원 및 인민혁명군간부 정황에 대하여(1934년말)/ 349
동만 당, 단에 보내는 중공만주성위, 단만주성위의 편지
―목전형세와 금후의 임무에 대하여(1935년 2월 1일)/ 366
동만특위에 보내온 중공만주성위 길동순시원(오)의 편지
―동만의 유격운동, 통일전선, 반민생단투쟁의 책략 및 당공작과 군중공작에 대한 문제(1935년 2월 10일)/ 376
동북인민반일통일전선을 론함(1935년 11월 2일) 양송/ 394
중공대표단에 보내는 위증민동지의 보고서(1940년 4월)/ 398
중공동만특위소속 각 현위 문헌자료
중공화룡현위확대회의공작총결보고
―유격대, 로동자, 당원, 병사공작 및 반주구, 반파벌투쟁문제에 대하여(1934년 1월 3일)/ 415
각 구 련석회의 및 현위확대회의 정황에 대한 연길현위의 보고(1934년 6월 4일)/ 421
중공왕청현집행위원회결의안
―반년래의 구체공작에 관한 검사(1934년 6월 15일)/ 430
동만공산청년단, 소년아동, 부녀군중단체의 문헌자료
동만의 반일유격운동 현상황과 단공작에 대한 단만주성위의 보고서(발취)(1934년 1월 7일)/ 455
성위에 올린 단동만특위의 보고서(제7호)
―훈춘, 연길 단공작정황에 대하여(1934년 5월 22일)/ 467
동만반일투쟁에 대한 단성위특파원 종의 보고서(1934년 12월 4일)/ 472
단동만특위 반파쟁, 반민생단 문제에 관하여(1934년 12월 12일)/ 521
단성위에 보내는 단동만특위 림시서기 리광림의 편지
―목전의 혁명형세 및 단공작을 전변시킬데 대한 문제들(1935년 6월 16일)/ 527
단성위에 보내는 주수동의 편지
―동만의 단공작, 유격구의 군중생활, 통일전선, 만주군공작, 민생단, 안도 등 문제에 대하여(1935년 10월 23일)/ 540
단성위에 보내는 단만주성위특파원의 편지
―동만의 통일전선 및 공작가운데 존재한 문제에 대하여(1935년)/ 548
기타 문헌자료
동만 당, 단 특위 및 인민혁명군에 보내는 중공길동특위의 서한
―반일구국통일전선 및 금후의 임무 등 문제에 대하여(1935년 2월 1일)/ 561
요하중심현위와 4군 4퇀에 보내는 중공길동성위의 편지(발취)
―한국인민족자치구를 건립하는 문제에 대하여(1936년 3월 12일)/ 571
왕명, 강생에게 보내는 중공길동성위, 중공녕안현위와 제5군당위 서기 주보중의 편지(발취)
―제2군 정황 및 당면한 곤난 등 문제에 대하여(1936년 4월 10일)/ 572
왕명, 강생에게 보내는 중공길동성위, 중공녕안현위 및 제5군당위 서기 주보중의 편지
―왕윤성동지를 공산국제에 소개하여(1936년 4월 10일)/ 579
왕덕태군장, 위민생정위에게 보내는 중공도남특위 서기 겸 류수처 주임의 편지
―2군, 5군의 활동과 간부정황 등 문제에 대하여(1936년 10월 5일)/ 581
왕덕태, 위증민에게 보내는 주보중, 송일부의 편지
―상호간의 련락을 강화하고 경비원조를 할 문제에 대하여(1937년 5월 25일)/ 585
제2로군 특파원이 7군동지들께 보내는 련합군의 대략적인 정황에 대한 보고서(발취)
―항일련군 2군의 편제, 병기, 활동구역 및 발전정황(1937년 12월 20일)/ 588
중공길동성 하강특별위원회확대회의결의안(발취)
―항일련군 제2군 개황(1937년 12월 30일―1938년 1월 5일)/ 592
동북항일련군개황
―항일련군 제2군의 정황(1940년 1월 20일)/ 596
류경수, 강위룡이 김철운의 아들에게 남긴 편지(1940년 10월 29일)/ 600
항일련군 제2로군 할빈, 수분하, 도남지구 사령부 정보묶음
―동만정보묶음(1941년 11월 6일)/ 602
안길에게 보내는 주보중의 편지
―전보련락참을 설치하는것과 야영으로 속히 돌아와야 할 등 문제에 대하여(1942년 10월 15일)/ 609
주보중과 장수전에게 보내는 안길의 편지
―5개월간 동만에서 활동한 정황(1942년 12월 17일)/ 611
항일부대의 문헌자료
동북항일투쟁의 형세 및 각 항일부대의 발전과 그 조직개황(절록)
―동만인민혁명군, 의용군 개황 및 토지와 정권 등 문제에 대하여(1935년 1월)/ 617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정위련석회의
―인민혁명군내부의 개선 및 금후활동의 방향 등 문제에 대하여(1935년 3월 21일)/ 624
민중들에게 알리는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정치부의 글
―광범한 군중과 인민혁명군 등 항일무장대오가 련합하여 각종 형식의 반일투쟁을 전개할것을 호소(1935년 5월 30일)/ 631
여러 반일부대에 알리는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정치부의 글(1935년 5월 30일)/ 634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군부 정식설립선언(1935년 5월 30일)/ 636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제1독립사 전사대우잠정조례(1935년 6월 20일)/ 640
동만항일련군지휘부설립에 관련하여 각 반일부대에 보내는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의 글(1935년 6월)/ 643
유격대원모집에 관련하여 중국, 고려 민중들에게 알리는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의 글(1935년 7월)/ 646
5군 주보중동지에게 보내는 2군 왕덕태의 편지
―2군의 활동정황 및 안도진공 등 문제에 대하여(1935년 10월 1일)/ 649
동만 29명 항일영웅 희생정황 략기(1935년말)/ 654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반일련합군, 제5군당위 특별회의기록 제2부분(절록)(1936년 1월 20일)/ 669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반일련합군, 제5군당위 특별회의기록 제3부분(1936년 1월 20일)/ 678
민중에게 고하는 동북항일련군 제2군, 제5군 사령부, 정치부의 글
―일본제국주의가 강박적으로 집단부락을 수축하고 만주에 증병하며 무력으로 이민시키는 문제에 대하여(1936년 5월 30일)/ 682
주보중동지에게 보내는 2군 군부 왕덕태, 위증민의 편지
―2군의 활동정황과 보급난 등 문제에 대하여(1936년 8월 24일)/ 688
동북항일련군 제2군의 1933년―1934년 경력과 주요전적(1936년 9월 9일)/ 694
주보중, 5군당위, 길동성위에 보내는 위증민의 편지
―1군, 2군의 활동정황과 주요간부손실 등 문제에 대하여(1936년 12월 27일)/ 724
2군당위, 왕덕태, 위증민에게 보내는 5군당(위) 상무위원회, [2군] 제2사 참모장 진한장의 편지
―1936년 공작총결, 1937년 공작계획 등(1937년 2월 24일)/ 728
중앙대표단에 보내는 중공도남특위 상무위원 진한장의 편지
―지방공작상황과 군대발전전도 등 문제에 대하여(1937년 4월)/ 732
제2군, 제5군 전투정황통계표(절록)(1937년 6월―1940년 10월)/ 735
아군의 행동 등 문제에 대하여 주보중동지에게 보내는 진한장의 편지(1937년 9월 7일)/ 756
항일련군 제2군과 제5군의 정치, 군사 정황자료(절록)
―2군의 풍기와 주요령도간부의 정황에 대하여(1937년)/ 758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의 산생 및 그 발전 경과(1938년)/ 760
왕신림에게 보내는 김일성, 안길, 서철의 보고
―항일련군 제1로군의 정황과 문제에 대한 답복(1941년 1월 1일)/ 791
항일련군 제1로군 1932년―1940년 주요전투통계표(절록)(1941년초)/ 799
주보중, 김책에게 보내는 김일성의 편지
―부대의 서부이전정황과 1지대공작에 대한 의견(1941년 9월 30일)/ 815
리광동지에게 보내는 김일성의 편지
―곽지산이 알고있는 만군관계에 대한 보고(1941년 12월 13일)/ 824
1932년―1941년에 전사한 동북항일련군 제1로군지휘원, 전투원 통계표(절록)(1941년)/ 826
왕청유격대의 력사(1941년)/ 849
동만항일소분대 분견계획표(1942년 1월 22일)/ 852
주보중에게 보내는 김일성, 안길의 편지
―B야영부대 동북에로 출발한 정황에 대하여(1942년 4월 8일)/ 853
연길, 왕청 일대에서의 최현, 김철우부대 활동기사(1942년 11월)/ 855
주보중에게 드리는 박덕산의 보고
―연길, 화룡 일대에서의 부대활동정황에 대하여(1942년 12월 28일)/ 862
동북항일련군 제1로군 월경인원통계표(1943년 2월)/ 865
김창국 리력표(1943년 8월 24일)/ 874
박덕산에게 보내는 주보중, 김일성의 전보(1943년 10월 15일)/ 877
주보중에게 보내는 김일성의 편지
―남부파견 각 소부대 손실정황에 대한 보고(1943년 12월 24일)/ 878
편집후기/ 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