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63242088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4-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1장 케이팝 문화 생산의 동력
1. 예술적 상상력과 기술의 결합
2. 케이팝 탄생 배경: 디지털 미디어와 10대의 부상
3. 디지털화된 친밀성과 케이팝 문화
4. 케이팝으로 재구성되는 한류
2장 디지털 기술의 유입과 아이돌 산업의 변화
1. 가성비와 챌린지 시대
2. K-컬처에서 재현되는 문화다양성
3. 케이팝 생산 과정의 변화
4. 변화가 필요한 아이돌 산업
3장 케이팝 음악 향유 방식의 변화
1. 케이팝 음악 산업 지형의 변화
2.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3. 유튜브(Youtube): 보고 듣는 음악
4. 취향과 체험의 문화, 케이팝
4장 새로운 기술의 각축장이 된 케이팝
1. 디지털화되는 커뮤니케이션: 메타버스와 AI
2. 디지털 기술이 구현하는 음악·음악인·가수
3. 블록체인 기술과 케이팝
5장 케이팝과 팬덤을 매개하는 기술
1. 팬덤 커뮤니티 플랫폼의 지형 변화
2. 문화실천과 소비 사이에서 갈등하는 팬덤
3. 상상의 관계를 중계하는 플랫폼, 비판하는 팬덤
6장 케이팝·아이돌 추앙(推仰)하기의 아이러니
나가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이돌의 뛰어난 보컬이나 댄스 실력을 ‘개인’이 커버하게 되면서 ‘노력’을 인정받는 과정이 될 뿐 아니라 ‘놀이’가 된다. 케이팝은 언어와 문화, 인종, 국가라는 사회적 구분기준으로부터 자유로울 뿐 아니라 소셜미디어는 이러한 경계없음을 구체적으로 체험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또한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공존을 지향하는 문화다양성이 한류문화 콘텐츠의 중요한 가치로서 작용해야 한다. 이미 케이팝 팬들은 페미니즘 운동, 인종차별 운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다양성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엔터테인먼트사가 팬덤 플랫폼을 직접 운영하게 되면서 팬덤의 비판적 행동주의는 변화를 맞이했다. 팬들이 기획사와 소통할 수 있는 ‘디지털 소통’의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기획사가 관리하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은 아이돌과 팬덤을 동시에 관리한다. 대중문화는 다양한 정체성과 경험, 사유, 역할 수행 등이 작용하면서 생산되는데, 아이돌 산업은 상업적 측면에서 만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을 경험하게 했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케이팝 산업의 변화를 더욱 가속화했다. 일상생활까지 디지털 콘텐츠가 되는 아이돌의 삶은 감정노동의 어려움을 비가시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