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류 :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

한류 :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

김성윤, 김수아, 박미영, 백원담, 이동연, 이동준, 이종임, 이지행, 이해수, 정종은, 조영신, 하승우 (지은이)
북코리아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660원
20,2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류 :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류 :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324411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3-12-31

책 소개

한류의 역사적 형성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적 키워드를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으로 설정했다. 1부에는 먼저 한류를 세계체제 변화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하고, 신개발주의의 관점에서 글로벌 문화자본으로서 한류의 형성 과정을 조망했다. 2부에서는 한류와 문화내셔널리즘의 역학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한다.

목차

서문

제1부 한류와 문화자본의 형성
우리 시대에 한류란 무엇인가: 세계재편의 시대 한류 _백원담
글로벌 문화자본으로서 한류의 형성 및 확산 과정: 신개발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_정종은
케이팝 제작자본의 변화 양상: SM 경영권 분쟁을 중심으로 _이동연
한류 콘텐츠와 디지털 문화자산(IP) _조영신
OTT 플랫폼의 부상과 한류콘텐츠의 제작변화 _박미영
아이돌 문화자본 형성 메커니즘 _이종임

제2부 한류와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
한류와 문화내셔널리즘: 이론적 검토 _이동준
K컬처는 지속가능한가?: 담론적 탈구, 성장의 한계, 그리고 아시아적 관점 _김성윤
한류 팬덤, 초국적 팬덤인가 vs. 새로운 문화내셔널리즘인가 _이지행
국뽕, 유튜브, 그리고 일상 민족주의: 플랫폼이 매개하는 애국적 나르시시즘 _이해수
한류와 언론 보도: 미디어 담론과 문화내셔널리즘 강화 _김수아
1970년대 초반 홍콩 무협영화와 아시아 공간의 상상: 「사기사」 _하승우

저자소개

백원담 (감수)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 성공회대 중어중국학과/대학원 국제문화연구학과 교수와 동아시아연구소장 그리고 일반대학원장 역임. 한국문화연구학회장, 인문한국연구소협의회장, 인문한국연구성과확산 센터장 역임, 논저로는 『1919와 1949: 21세기 한중 ‘역사 다시 쓰기’와 ‘다른 세계’』, 『열전 속 냉전, 냉전 속 열전』, 『신중국과 한국전쟁』, 『냉전아시아의 문화풍경 Ⅰ·Ⅱ』, 『동아시아 문화선택 한류』, 「공정성 담론과 지구적 공거共居의 윤리」, 「5.4 100년의 등하만필燈下漫筆」, 「아시아가 만드는 세계―38미터의 관계학에서 신시대 평화연대로」, “The 60th anniversary of the Bandung Conference and Asia” 등이 있다.
펼치기
백원담의 다른 책 >
이종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강사로, 중앙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 샴페인 캠퍼스(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동아시아 연구소 방문학자, KBS시청자위원장, SBS시청자위원,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심의위원을 지냈다. 현재 문화사회연구소 이사이며, 한류문화와 젠더, 미디어문화 연구와 민속지학, 그리고 미디어 기술의 사회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문화산업의 노동구조와 아이돌》,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서드라이프》(공저), 《포스트텔레비전》(공저), 《한류: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동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에 재직 중이다.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메타비평론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계간 <문화/과학> 편집인 서울문화재단 이사로 있다. 저서는 <문화자본의 시대>, <대안문화의 형성>, <문화부족의 사회>, <아시아문화연구를 상상하기> 등이 있다.
펼치기
하승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영화와 영화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해왔고, 특히 세계체계의 맥락에서 한국영화의 형세를 살펴보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언젠가 영화이론에 관련된 저서와 1970년대 초중반에 제작된 임권택의 영화에 대해 글을 쓸 계획을 세우고 있다. 《문화/과학》 편집위원이며 2022년부터 한국문화연구학회 학회장을 맡고 있다. 《라캉과 한국영화》(2008), 《한국영화, 세계와 마주치다》(2018),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2022) 등을 함께 썼다. 최근에 쓴 글로는 〈‘메드베드킨 집단’과 러시아혁명의 영화적 기억〉 〈어긋난 전쟁의 기억: 〈증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삶과 생태사회주의〉 〈객체지향 존재론: 밋밋한 존재론인가 대상지향 존재론인가〉 〈좌파 포퓰리즘을 둘러싼 몇 가지 질문들: 이론과 쟁점〉 〈Global Solidarity between Gwangju and Buenos Aires: Good Light, Good Air(2021)〉 등이 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하승우의 다른 책 >
이해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BK21 미디어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 미디어융합연구소 연구원으로 지냈다.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 편집위원이기도 하다. 미디어와 공간, 몸, 기억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해오고 있다.
펼치기
김성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학과 강사.
펼치기
김수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부교수,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연구원.
펼치기
박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영상학과 BK21사업단 연구전담교수.
펼치기
이동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콩링난대 방문조교수.
펼치기
이지행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전임연구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