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63246208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8-11-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아시아의 재외동포 사회
제1장 재외동포의 귀환 이주와 이주민 공동체의 형성
1. 서론
2. 재외동포의 귀환 이주
3. 이주민 공동체 형성의 이론과 모형
4. 재외동포 정책의 전개와 귀환 이주민의 입국
5. 귀환 이주민 공동체의 형성과 현황
6. 결론
제2장 국가, 시장, 글로벌라이제이션: 북경 조선족 공동체 형성 연구
1. 서론
2. 종족 이론 검토와 분석대상으로서의 북경 조선족
3. 국가: 엘리트 중심의 조선족 집거지의 형성(毛시대의 이주)
4. 시장: 집거지의 마켓형 분산화와 다층화 연결망 형성(鄧시대의 이주)
5. 글로벌라이제이션: 초국적 이동과 조선족 집거지의 재집중화(포스트 덩샤오핑 시대 이주)
6. 결론
제3장 재일한인 사회의 현황과 정책적 과제
1. 서론
2. 재일한인 사회의 인구 현황
3. 재일한인 사회의 정책적 과제
4. 결론
제4장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주요 현황과 문제점: 교육과 이주노동을 중심으로
1. 서론
2.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교육 현황과 문제점
3.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이주노동 현황과 문제점
4.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사회를 위한 정책적 과제
5. 결론
제2부 미주의 재외동포 사회
제5장 21세기 재미한인 공동체 변화
1. 서론
2. 미주 한인 이민의 역사와 근대 이민 동향
3. 재미한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 이민 정착 유형
5. 사회경제적 적응
6. 21세기의 추가적 변화
7. 결론
제6장 캐나다의 한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2016년 센서스 결과를 중심으로
1. 서론
2. 인구학적 특성
3. 사회경제적 특성
4. 결론
제7장 브라질 한인사회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이민 55주년을 맞이하며
1. 서론
2. 2013년 브라질의 경기침체
3. 브라질의 경기침체가 한인사회에 끼친 영향
4. 최근 ‘한인회’ 차원의 대응
5. 결론 및 제언
제3부 유럽과 오세아니아의 재외동포 사회
제8장 독일 한인의 어제와 오늘
1. 서론
2. 독일 한인사회 형성의 역사적 기원
3. 독일 한인의 현재
4. 결론
제9장 뉴질랜드, 호주 한인들의 주류 사회 진출: 경제생활과 정치 참여
1. 서론
2. 주류 사회로의 진출 조건
3. 직업과 소득
4. 정치 참여
5. 결론
찾아보기 /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