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3475929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4-03-31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제주는 공동자원을 잘 지켜야 한다
추천의 글 공동자원이 가진 비판적·담론적·운동적 가능성을 열다!
머리말 공동자원이란 말
제1부 제주발 공동자원론
제1장 왜 공동자원론인가
1. 공동자원의 해체
2. 자연자원의 사유화와 불평등 심화
3. 신자유주의화와 농촌의 위기
4. 공동자원의 다양한 사례들
5. 국 학계 공동자원론의 전개
6. 한국 학계 공동자원 연구의 과제
제2장 오스트롬의 공동자원 정의와 그 한계
1. 공동자원론의 등장
2. 하딘식 접근의 문제점
3. 제도분석(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IAD) 모델
4. 사회-생태 체계(Social-Ecological System, SES) 모델들
5. 오스트롬의 공동자원 정의
6. 오스트롬식 접근의 한계
제3장 공동자원에 대한 대안적 정의
1. 윤리적·사회적 시각의 필요성
2. 자원의 사회적 변동을 중시할 필요성
3. 공동자원에 대한 대안적 정의
제2부 공동자원의 섬, 제주
제1장 제주도와 공동자원 그리고 개발
1. 제주는 과연 척박한가?
2. 제주 개발로 얻은 것과 잃은 것
3. 제주도는 왜 공동자원의 섬인가
제2장 공동목장
1. 목장의 역사적 변동 과정
2. 근대화 이후 공동목장 해체의 내·외부적 요인
3. 공동목장 축소 추이
4. 공동목장 해체의 결과
5. 공동목장의 재발견
제3장 곶자왈
1. 곶자왈의 의미
2. 곶자왈의 형성
3. 곶자왈의 기능
4. 곶자왈의 규모
5. 곶자왈의 파괴
6. 곶자왈 보호의 동향
제4장 지하수
1. 제주도 물 관리의 역사
2. 지하수 사유화로 인한 사회·생태적 문제
3. 지하수에 대한 도민 관심의 고조
4. 지하수의 공수화 시도
5. 지하수 공수화를 둘러싼 논쟁
6. 공동자원인 지하수
제5장 바다밭
1. 바다밭의 혜택과 그 경계
2. 바다밭의 관리
3. 괴 범천총 전설
4. 건입동과 화북동 사이의 가매팡
5. 시신 처리와 어업권
6. 바다밭 이용의 사회적 정당성 획득
제6장 바람
1. 제주 바람의 자원화
2. 풍력발전단지 조성과 바람의 공동자원화
3. 풍력발전 추진이 동반한 논란들
4. 공동자원론과 제주 바람의 공공적 관리
5. 공동자원론이 제주 바람에 갖는 의미
6. 제주 바람이 공동자원론에 갖는 의미
제7장 신당
1. 신당의 역할
2. 공동자원인 신당
3. 신당의 해체
4. 신당은 누가 지키는가
5. 신당의 마을 소유 필요성
제8장 돌담
1. 돌문화와 돌담
2. 돌담과 제주의 역사
3. 돌담의 가치
4. 돌담의 훼손 상태
5. 밭담 보존의 노력
제3부 제주의 마을과 공동자원
제1장 마을의 변화와 마을만들기
1. 제주도 개발과 마을의 변모
2. 마을만들기 연구와 공동자원론
제2장 가시리
1. 가시리는 어떤 마을인가?
2. 가시리 공동목장의 변동사
3. 가시리의 마을만들기
4. 주민 복지를 통한 공동체 결속
5. 가시리 공동목장 조합원의 자격
6. 가시리의 경험이 시사하는 것
제3장 선흘1리
1. 선흘1리는 어떤 마을인가?
2. 마을의 쇠퇴와 동백동산을 주목하기
3. 선흘1리와 선흘곶 관계의 변동사
4. 공동자원의 생태관광화와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
5. 동백동산을 통해 마을을 깊이 이해하게 됨
6. 선흘1리의 경험이 시사하는 것
제4장 가시리와 선흘1리 비교
1. 왜 두 마을을 비교하는가?
2. 공동자원의 소유 형태 - 소유권과 관리(이용)권
3. 공동자원의 관리 유형
4. 가시리와 선흘1리 마을만들기의 장·단점
5. 두 마을의 경험이 시사하는 것
제5장 하례리
1. 하례리는 어떠한 마을인가?
2. 하례리 마을의 의사결정 구조
3. 효돈천, 생활 속의 공동자원
4. 삶의 변동, 단절된 공동자원
5. 효돈천을 활용한 생태관광
6. 효돈천과 하례리 마을 사람들의 관계 맺기
7. 하례리의 경험이 시사하는 것
제4부 공동자원을 통한 마을발전과 사회개혁
제1장 마을만들기와 생태관광
1. 공동자원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전략 수립의 조건
2. 공동자원을 활용한 생태관광 추진의 조건
제2장 공동자원과 공화국
1. 공동자원론의 사회개혁 시각
2. 공화주의의 매개체, 공동자원
제3장 공동자원을 활용한 시민배당
1. 시민배당과 공동자원
2. 공동자원을 활용한 시민배당 재원 마련
3. 시민배당을 통한 제주도 환경 보전
참고문헌
원문 출처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