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357137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2-10-2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부 재해보도의 역사
1. 항상 새로운 얼굴을 하고 나타나는 재해
1) 지진·쓰나미와 방사능 오염의 복합재해― 동일본 대지진/ 2) 지역미디어의 정착― 니가타현 주에츠 지진
2. 봉인된 ‘화산류’ 보도― 우스잔산 분화
1) 최대 관심사였던 ‘화산류’/ 2) 보도가 불러일으킨 열운 소동/ 3) 간발의 차이로 모면한 화산류
3. 재해정보에서 방재정보로
1) 전승에서 가와라판으로/ 2) 기상예보와 미디어/ 3) 긴급경보방송과 쓰나미 경보/ 4) 지진예지· 터부에서 적극 보도로
2부 매스미디어 보도가 초래한 지진 쓰나미 유언비어 소동
머리말
1. 대지진·거대 쓰나미 발생
1) 매스미디어가 유포한 유언비어/ 2) 쓰나미 상습지대/ 3) 난기 연안 각지의 유언비어 소동
2. 격변하는 매스미디어의 지진보도
1) 판도라 상자의 개봉/ 2) 홍수처럼 밀려든 지진정보/ 3) 확립되지 못한 보도체계
3. 난기의 매스미디어 보도
1) 9월말에 발생한 연속 지진/ 2) 충격적으로 보도된 지진 보고서/ 3) 지진학회의 엔슈나다 지진 예측/ 4) 와카야마의 연속지진
5) 소문을 부추긴 유언비어 소동 뉴스
4. 보도의 문제점과 시대 배경
1) 지진보도의 공통적 문제점/ 2) 미래가 불안한 시대
3부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재해정보
머리말
1. 고베 대지진의 정보 및 미디어
1) 멀티미디어 시대 초입의 대재해/ 2) 정보행동과 미디어 이용
2. 재해보도와 미디어 특성
1) 재해정보의 구조와 시계열적 변화/ 2) 재해보도와 미디어 특성
3. 방송미디어의 전개와 재해정보
1) 커뮤니티FM, 임시재해FM/ 2) 재해정보의 약자와 미디어/ 3) 케이블TV/ 4) 문자방송에서 데이터 방송으로
4. 인터넷 미디어의 전개와 재해정보
1) PC통신의 가능성과 한계― 고베 대지진/ 2) 매스 미디어가 된 인터넷― 우스잔산 분화/ 3) 인터넷 저널리즘의 등장― 미야케지마섬 분화
5. 소셜 미디어 시대― 동일본 대지진
1) 최대 약점·전원상실/ 2) 미디어·정보원의 활용/ 3) 인터넷의 재해정보/ 4) 소셜 미디어 이용
4부 디지털 시대의 과제― 정보의 신빙성과 모호성
머리말
1. 재해정보의 신빙성
1) 다시 그려진 미디어 지도/ 2) 재해정보의 생산·발신/ 3) 인터넷의 편집
2. 지진예지·예측 정보의 불확실성
1) 도카이 지진예지의 불확실 정보/ 2) 과거의 지진예지 불확실성 정보
3. 방사능 오염 재해의 불확실 정보
1) 안전·안심 편중의 매스미디어 보도/ 2) 방사선 피폭 허용량의 불확실성
4. 불확실 정보를 전제로 한 사회
1) 정상화 편견 및 공포행동화 편견/ 2) 불확실 정보, 미나미간토 지진예측/ 3) 불확실 정보를 전제로 한 사회
마치는 글/ 참고문헌/ 역자후기/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