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국 기독교사

미국 기독교사

시드니 E. 알스트롬 (지은이), 김영재 (옮긴이)
복있는사람
6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9,000원 -10% 1950원 33,150원 >

책 이미지

미국 기독교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국 기독교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63603162
· 쪽수 : 1584쪽
· 출판일 : 2019-10-10

책 소개

단지 기독교만을 다루지 않고, 미국에 정착해서 미국인으로 살아가는 모든 사람이 다양하게 믿고 공동체와 조직을 이룬 종파들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그러나 1960년 이후를 일컫는 후기 기독교 시대 이전 400-500년 역사가 중심이므로, 초점은 주로 기독교 역사에 맞추고 있다.

목차

옮긴이의 글
제2판에 부치는 글
4쇄에 부치는 글
머리말

01. 후기 프로테스탄트 시대의 미국 기독교 역사

I. 유럽의 서설
02. 서구 가톨릭교회
03. 뉴스페인 교회
04. 뉴프랑스 교회
05. 종교개혁
06. 영국의 종교개혁과 청교도 시대
07. 제국 상업 그리고 종교: 초기 식민지 개척의 개관

II. 개신교 제국
08. 청교도 정신의 발아와 개화
09. 뉴잉글랜드의 거룩한 연방
10. 뉴잉글랜드가 당면한 긴장
11. 로드아일랜드와 종교의 다양성
12. 남부 식민지의 초기 개신교
13. 중부 식민지: 네덜란드인・청교도・퀘이커
14. 앵글리칸 교회의 확장
15. 독일 종파들과 경건주의의 부상
16. 독일 개혁교회와 루터교회

III. 대각성과 혁명의 세기
17. 식민지 장로교회의 형성
18. 뉴잉글랜드의 대각성
19. 조나단 에드워즈와 뉴잉글랜드 신학의 쇄신
20. 남부에 확산되는 복음주의
21. 아메리카 식민지의 로마 가톨릭
22. 변방 아메리카와 계몽 사조의 도래
23. 혁명 시대

IV. 민주주의적 복음주의 황금시대
24. 미국 유니테리언주의의 부상
25. 민주주의 미국의 뉴잉글랜드 신학
26. 뉴잉글랜드의 제2차 대각성: 부흥・전도・개혁
27. 서부의 대부흥과 주류 교파들의 성장
28. 올드 노스웨스트의 장로교회와 회중교회: 그 발전과 알력
29. 종파들의 전성시대
30. 공동체주의의 도전

V. 대항하는 종교
31. 대서양 이민과 루터교회의 위기
32. 로마 가톨릭교회의 형성
33.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장
34. 반가톨릭주의와 토착주의 운동
35. 유대교의 초기 성장
36. 낭만적인 정서
37. 뉴잉글랜드의 낭만주의 종교
38. 미국 개신교 내의 가톨릭 운동

VI. 노예제도와 속죄
39. 인도주의적 개혁의 전성기
40. 노예제도, 분열 그리고 교회들
41. 남북전쟁과 재건 시대의 교회들
42. 흑인 교회들의 부상
43. 전후 남부 백인 교회들

VII. 과도기의 호된 시련
44. 도시의 성장과 개신교 교회들
45. 개신교와 후기 이민
46. 자유주의 신학의 황금시대
47. 사회복음
48. 개신교의 분파와 반작용
49. 가톨릭교회와 “아메리카니즘”의 위기
50. 개신교 유사 국교와 신토착주의
51. 십자군 운동을 펼치는 개신교

VIII. 동요하는 개혁 운동 시대
52. 작은 전쟁과 큰 전쟁
53. 1920년대: 정전에서 공황까지
54. 1930년대: 경제 공황에서 진주만 피격까지
55. 신정통주의와 사회 위기
56. 제2차 세계대전과 전후의 부흥

IX. 후기 청교도적 미국을 향하여
57. 20세기의 유대교
58. 미국에 있는 고대 동방교회
59. 20세기의 로마 가톨릭교회
60. 19세기 후반 이후의 화합 종교
61. 물병자리 시대의 경건: 신지학・비밀교・비非서구 종교
62. 20세기의 흑인 종교
63. 혼란한 1960년대
64.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데이비드 D. 홀

저자소개

시드니 E. 알스트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종교사 분야의 전설이자 대부로 지칭되는 시드니 알스트롬은, 1919년 12월 16일 미네소타 주의 작은 마을 코케이토(Cokato)에서 스웨덴계 루터파 이민자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1941년 고향 미네소타 주 세인트피터(St. Peter) 소재 구스타부스 아돌푸스 칼리지(Gustavus Adolphus College)를 졸업한 후,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미육군으로 복무했다. 제대 후에는 미네소타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52년 하버드 대학에서 사회사와 도시사의 개척자 아서 슐레징어(Arthur Schlesinger, Sr)와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 운동 연구에 혁명을 가져온 종교사가 페리 밀러(Perry Miller)의 지도 아래, 미국 유니테리언주의 역사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 연구원 생활을 했고, 모교 하버드 대학에서 잠시 가르치다가 1954년 예일 대학에 합류한 후, 1984년 봄까지 가르치고 은퇴했다. 그리고 바로 그해 7월에 별세했다. 스트라스부르와 하버드에서의 약 2년을 제외하면 30년을 오직 예일에서만 가르친 진정한 예일인(Yalies)이었다. 10여 권의 저술을 남겼지만, 오늘날 그는 『미국 기독교사』라는 대작(大作)을 집필한 한 책의 사람으로 널리 기억된다.
펼치기
김영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남도 마산에서 태어나 일제시대에 이북으로 이주하여 잠깐 동안 살았고 해방 직전에 다시 마산으로 돌아와서 고등학교까지 마쳤다. 서울대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영국의 클리프톤 신학교와 독일 부퍼탈 신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총회신학교에서 편목 과정을 이수한 다음 독일로 건너가 마르부르크 필립 대학교에서 첼러교수의 지도로 한국 개신교와 칼빈주의 전통이라는 빼어난 논문으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포이딩겐 독일인 교회, 미국 미네소타와 애틀랜타의 한인교회에서 목회를 하였고, 부산 고려신학교와 총신대 신학대학원, 합동신학대학원 교수를 지냈다. 은퇴 후 지금은 용인시의 한적한 어느 시골 마을에 은거하며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통시적으로는 교회사를 공부하고, 공간적으로는 한국과 유럽과 미국의 교회를 두루 경험한 저자는 균형 잡힌 시각으로 한국 교회를 바라보고 진단한다. 그러면서도 교회에 대한 자세에 대해서는 내가 그 지체임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반성할 뿐이라고 생각한다고 술회한다. 저서로는 박사학위 논문인 Der Protestantismus in Korea und die Calvinistische Tradition와 《교회와 신앙고백》, 《한국 교회사》, 《한국 기독교의 재인식》, 《교회와 예배》, 《기독교 교회사》, 《믿음 그리고 행함》, 《기독교 교리사》, 《그리스도인의 매뉴얼》, 《박윤선》, 《되돌아보는 한국 기독교》, 《기독교 신앙고백》 등이 있고, 역서로는 《이성에서의 도피》, 《칼빈의 교회관》, 《요한 세바스챤 바흐》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저자가 본서를 ‘미국 기독교사’ 혹은 ‘미국 교회사’라 하지 않고 ‘미국인의 종교사’라고 한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미국의 역사가들에게 어려움을 던지는 과제는 미국의 새로움보다 미국을 구성하는 이질적인 복합성인데, 이를 두루 고찰하는 일은 결코 용이한 일이 아니다. 다양한 교파 교회들 중 어느 한 교파 교회의 역사에 대하여 쓰기는 쉬워도, 전체를 아우르는 미국 기독교 역사를 서술한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것은 수긍이 갈 만한 이야기다.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미합중국은 인종의 갈등 문제를 안고 있지만 하나의 국가 건설이라는 이념을 따라 거대한 용광로가 되어 있고, 다민족에 의해 이식된 다양한 교파 교회들과 자생했거나 비유럽 이민자들을 통해 유입된 종교들은 하나로 용해될 수 없기 때문이다. 저자는 그런 어려움에 구애 받지 않고 미국인의 종교사란 제목으로 미국의 모든 교파들과 종교를 아우르는 탁월한 역사서를 씀으로써 본서가 고전으로 인정받게 된 것이다.
_ ‘옮긴이의 글’ 중에서


여러 면에서 미국이 식민지로 정착될 당시 유럽에서 나온 책들과 다를 뿐 아니라 현재의 다른 기독교 세계에서 나온 책들과도 차이를 보인다. 기독교는 이 땅에서 미국의 옷을 입고 미국적인 장식으로 치장하고 있다. 미국의 종교사는 정치사 못지않게 인상적이다. 그것은 여러 시대적인 고비를 겪어 왔다. 그런 시대적인 특징을 갖도록 영향을 준 원천들을 다양한 많은 자료에서 찾아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영향들은 현 정치에 변화를 가져온 영향들보다 훨씬 더 능동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보고 필자는 미국의 종교 생활에 다양한 흐름이 있게 한 원천들을 추적하기로 했다. 종교 생활을 채색한 지류들의 상대적인 크기와 중요성을 평가하고, 가능하다면 그것들의 미래의 흐름을 가늠하기 위해서이다.
_ ‘후기 프로테스탄트 시대의 미국 기독교 역사’ 중에서


개혁주의 전통은 장 칼뱅 때에 중요한 가닥이 잡혔다. 프랑스의 인문주의자였던 칼뱅은 프랑수아 1세가 개신교 신앙을 적극적으로 탄압하기로 결정한 후 1534년에 개신교 신앙으로 개종했다. 칼뱅은 1536년 그의 위대한 저작인 『기독교 강요』 초판을 출판함으로써 종교개혁의 대선지자가 되었다. 그는 확신과 치밀한 신학으로써 개혁주의 운동에 계속 활기를 불어넣었다. 비록 칼뱅은 여러 면으로 개혁 운동이 급진적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애썼으나 별 소용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여하튼 그는 개혁 운동의 일부가 되었다. 그런 이유에서 그와 하나가 된 전통을 “칼뱅주의” 전통이라고 하기보다는 “개혁주의” 전통이라고 칭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_ ‘5장. 종교개혁’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0831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