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건록

건건록

무쓰 무네미쓰 (지은이), 김승일 (옮긴이)
종합출판범우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건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건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63652917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0-09-25

책 소개

청일전쟁을 전후하여 일본 제국주의 정부의 외교 노선 및 각국의 역학적인 외교 구조와 이해관계 등을 당시 이토 히로부미 내각의 외무대신이었던 저자가 회고록 형식으로 기록한 외교 비망록이다.

목차

□ 이 책을 읽는 분에게 13
건건록 출간에 즈음하여 19
추천사 22
저자 머리말 27

제1장 동학당의 난 31
제2장 조선에 대한 일청 양국의 군대파견 41
제3장 오도리 특명전권공사의 귀임 및 취임 후의 조선 형세 50
제4장 조선국의 내정 개혁을 위한 일청 양국 공동위원의 파견에 대한 제안 56
제5장 조선의 개혁과 청한 종속의 문제에 관한 개설 64
제6장 조선 내정개혁의 제1기 71
제7장 구미 각국의 간섭 82
제8장 6월 22일 이후 개전하기까지 이홍장의 위치 107
제9장 조선사건과 일영조약의 개정 120
제10장 아산 및 풍도에서의 전투 134
제11장 조선 내정개혁의 제2기 153
제12장 평양과 황해전투에서의 전승결과 173
제13장 영사재판제도와 전쟁과의 관계 183
제14장 강화담판 개시 전에 있어서 청국 및 구주강국들의 거동 197
제15장 일청강화의 발단 214
제16장 히로시마 담판 232
제17장 시모노세키 담판(상) 246
제18장 시모노세키 담판(하) 267
제19장 러 독 프 삼국의 간섭 (상) 295
제20장 러 독 프 삼국의 간섭 (중) 317
제21장 러 독 프 삼국의 간섭 (하) 350

건건록 대사일지 359
□ 참고 문헌 369

저자소개

무쓰 무네미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44~1897) 에도江戸 막부 말기 기슈번紀州藩(와카야마현和歌山県) 출신 무사武士. 메이지明治 시대 외교관, 정치가. 메이지 초의 판적봉환, 폐번치현, 징병령, 지조개정 등에 큰 영항을 끼쳤다. 10대 중반에 에도에 유학, 야쓰이 솟켄安井息軒, 미즈모토 나루미水本成美 등에게 배우면서 도사土佐의 사카모토 료마坂本竜馬, 죠슈長州의 기도 다카요시木戸孝允,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와 교유했다. 1863년 가쓰 가이슈勝海舟의 고베神戸 해군조련소에 들어갔고, 1867년 이후 사카모토 료마의 가이엔타이海援隊에서 활동하며 시종일관 그와 행동을 같이 했다. 료마가 암살된 후 복수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덴만야天満屋사건). 메이지 신정부에서 이와쿠라 도모미岩倉具視의 천거로 외국사무국에서 관직을 처음 맡았다. 그 후 효고현兵庫県 지사(1869), 가나가와현神奈川県 지사(1871)를 지냈으나 삿쵸薩長의 번벌 정치에 격분, 사직하고 와카야마로 낙향했다. 1877년 고치현高知県 도사의 자유민권운동 정치단체 릿시샤立志社의 정부전복기도에 연루되어 금고 5년형으로 투옥된다. 1883년 1월 특사로 출옥한 뒤 이토 히로부미의 권유로 유럽에 유학, 런던과 빈에서 내각제도, 의회, 민주정치 등에 관해 공부했다. 1886년 귀국, 변리공사 직책으로 외무성에 들어간 후 주미 공사, 농상대신을 거쳐 중의원 의원이 된다. 1892년 이토 히로부미 제2차 내각의 외무대신(제5대)에 취임, 청일전쟁 개전 직전 1894년 7월 16일, 영일통상항해조약을 체결, 막말 이래 불평등조약인 영사재판권 철폐에 성공한다. 이후 미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등과도 조약을 개정. 그해 7월 25일 발발한 청일전쟁의 전후 과정 및 삼국간섭의 외교를 주도하여 ‘무쓰외교’라는 말이 생겼다.‘면도칼 대신’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일본 외무성 구내에 유일하게 그의 동상이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펼치기
김승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생으로 경기도 안성 출신이다. 동국대 사학과를 졸업한 후, 중국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1987년])과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1992년])에서 유학한 후 귀국하여 2002년부터 국민대와 동아대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의 중점은 동아시아세계의 교류사 연구를 통하여 동아시아의 정체성(正體性)을 재구성하는 일에 중점을 두어 왔다. 이들 성과는 『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 『[중문] 내 눈 속의 한중관계(我眼中的韓中關係)』, 『[일문] 중국혁명의 기원』등 40여 종의 저술과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를 비롯해 2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모택동선집』『등소평문선』등 200여 종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