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육사 작품집

이육사 작품집

(광야(외))

이육사 (지은이), 김종회 (엮은이)
종합출판범우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2,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육사 작품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육사 작품집 (광야(외))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63654249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22-06-10

책 소개

이육사의 시와 수상, 소설, 평문 및 번역물을 장르별 작품 발표 연대순으로 묶었다. 또한 소설에 쓰인 독특한 단어나 문체는 가능한 한 당시의 표기를 살려 수록하였다. 그의 시는 단지 저항시로만 쓰인 것이 아니라 섬세한 서정성과 낭만성을 지니고 있으며 한국 시사에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목차

발간사 • 3
일러두기 • 7

시 ― 11
말 • 13 | 춘수삼제 • 14 | 황혼 • 15 | 실제 • 17 | 한개의별을노래하자 • 18 | 해조사 • 20 | 노정기 • 22 | 초가 • 23 | 강건너간노래 • 25 | 소공원 • 26 | 아편 • 27 | 연보 • 28 | 남한산성 • 30 | 호수 • 31 | 청포도 • 32 | 절정 • 33 | 반묘 • 34 | 광인의 태양 • 35 | 일식 • 36 | 교목 • 37 | 서풍 • 38 | 독백 • 39 | 아미 • 41 | 자야곡 • 43 | 서울 • 44 | 파초 • 46 | 근하 석정 선생 육순 • 47 | 만등동산 • 48 | 주난흥여 • 49 | 바다의 마음 • 50 | 꽃 • 51 | 광야 • 52 | 나의 뮤一즈 • 53 | 소년에게 • 55 | 해후 • 57 | 편복 • 59

평문 ― 61
대구사회단체 개관 • 63
자연과학과 유물변증법 • 64
오중전회를 앞두고 외분내 열의 중국 정정 • 73
국제무역주의의 동향 • 79
일구삼오년과 노불관계 전망 • 85
위기에 임한 중국 정국의 전망-92
공인 ‘깽그’단 중국 청 방비사 소고 • 100
중국 농촌의 현상 • 110
노신추도문 • 120
자기심화의 길 • 133
모멸의 서 • 136
조선문화는 세계문화의 일륜 • 142
영화에 대한 문화적 촉망 • 144
‘씨나리오’ 문학의 특징 • 148
윤곤강 시집《빙화》기타 • 159
중국 현대시 의 일단면 • 162

수상 — 169
창공에 그리는 마음 • 171
질투의 반군성 • 173
문외한의 수첩 • 176
전조기 • 183
계절의 오행 • 186
횡액 • 197
청란몽 • 201
은하수 • 204
나의 대용품 현주·냉광 • 209
연인기 • 211
연륜 • 216
산사기 • 220
계절의 표정 • 224
고란 • 230

소설 및 번역물 — 235
황엽전 • 237
고향 • 240
골목 안(소항) • 260
중국문학 오십년사 • 271

기타 — 289
신진작가 장혁주 군 방문기 • 281
현상소설 예선당선자 근황 • 294
1934년에 임하야 문단에 대한 희망 • 295
무희의 봄을 찾아서 • 296
농촌문화문제 특집 설문에 대한 답 • 303
최정희 여사에게 • 304
신석초에게 보낸 편지 • 305

해설 | 행동으로서의 사와 초월의 미학 — 307

작가 연보 • 327
작품 연보 • 331
연구 논문 • 335

저자소개

이육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04년 5월 18일 경북 안동시 도산면 원촌리 881번지에서 이가호와 허길 사이에 6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 본명은 원록(源祿)이다. 본관은 진성(眞城)으로 퇴계 이황의 14대손이다. 그의 형제 중 다섯째는 문학평론가로 활동하다가 월북 이후 1950년대 초 숙청당한 이원조다. 어릴 때 조부 이중직에게서 한학을 배웠다. 1919년에 신학문을 접한 보문의숙을 졸업했다. 1925년 독립운동단체인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고 1926년 베이징으로 가서 베이징대학 상과에 입학해 7개월간 다녔다. 1927년 귀국했으나 장진홍(張鎭弘)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에 연루되었다. 일본 경찰이 장진홍이란 인물은 물론 단서조차 잡지 못하자,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인물들을 잡아들여 고문으로 진범을 조작해 법정에 세웠다. 이 과정에서 육사를 비롯해 원기·원일·원조 등 4형제가 함께 검거되었다. 원기를 제외한 나머지 형제들은 미결수 상태로 1년 반을 넘겼다. 그때의 수인번호 264에서 따서 호를 ‘육사’라고 지었다. 1930년 1월 3일 첫 시 <말>을 조선일보에 이활(李活)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하면서 시단에 나왔다. 1935년 정인보 댁에서 시인 신석초를 만나 친교를 나눴다. 같은 해 다산 정약용 서세 99주기 기념 ≪다산문집(茶山文集)≫ 간행에 참여했다. 그리고 신조선사(新朝鮮社)의 ≪신조선(新朝鮮)≫ 편집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시를 발표했다. 1940년 4월에 베이징으로 가서 충칭과 옌안행 및 국내 무기 반입 계획을 세웠다. 같은 해 7월 모친과 맏형 소상에 참여하러 귀국했다가 붙잡혀 베이징으로 압송되었다. 이때 베이징 주재 일본총영사관 경찰에 구금된 것으로 추정된다. 1944년 1월 16일 새벽, 베이징 네이이구(內一區) 동창후퉁(東廠胡同) 1호에서 옥사했다.
펼치기
이육사의 다른 책 >
김종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고성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6년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중국 연변대학교 객좌교수, 경남정보대학교 특임교수로 있다. 1988년 《문학사상》을 통해 문학평론가로 문단에 나온 이래 활발한 비평 활동을 해 왔으며 《문학사상》 《문학수첩》 《21세기문학》 《한국문학평론》 등 여러 문예지의 편집위원 및 주간을 맡아 왔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 한국비평문학회, 국제한인문학회, 박경리 토지학회, 조병화시인기념사업회, 한국아동문학연구센터 등 여러 협회 및 학회의 회장을 지냈다. 현재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 촌장, 이병주기념사업회 공동대표, 한국디지털문인협회 회장, 한국디카시인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김환태평론문학상, 김달진문학상, 편운문학상, 유심작품상 등의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평론집으로 『문학과 예술혼』 『문학의 거울과 저울』 『영혼의 숨겨진 보화』 등이 있고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 등의 저서와 『삶과 문학의 경계를 걷다』 등의 산문집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