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사주/궁합/예언
· ISBN : 9788963691572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24-04-0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박영창 교수) 5
추천사 (이수동 교수) 7
추천의 말 (오일훈 교수) 10
들어가며 12 / 일러두기 16
제1편 음양과 오행 21
제1장 음과 양 23
제2장 오행의 근원 39
제3장 오행의 성정 43
제4장 오행의 응용 47
제5장 오행의 해석 51
제2편 사주구성법 69
제1장 사주의 구성 71
제2장 사주 구성의 실례 82
제3장 오행의 상생과 상극 88
제4장 지지 암장법 102
제5장 천간과 지지의 합과 충 111
제6장 합화법 135
제7장 형살과 파·해·원진 137
제3편 육친의 이해 145
제1장 육친 147
제2장 성별에 따른 육친의 관계 172
제4편 십이운성의 이해 175
제1장 십이운성 177
제2장 납음오행 209
제3장 십이신살 213
제5편 길신과 흉살 235
제1장 길신 237
제2장 흉살 254
제3장 천간과 지지의 생과 사 281
제6편 일주론 329
제1장 일주의 구성과 해석 331
제7편 일주강약 판단과 생극제화 403
제1장 일주강약의 판단과 이해 405
제2장 오행의 생극제화와 희기 416
제8편 격국용신 1 433
제1장 격국의 구분 435
제2장 격국의 종류 441
제3장 용신의 의의와 종류 446
제9편 격국용신 2 459
제1장 내격과 외격 461
제10편 사주해석과 판단요결 561
제1장 육친의 작용과 해석 563
제2장 사주통변론 568
마치며 600
찾아보기 605
저자소개
책속에서
1.1.1.1. 3) 부모덕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
부모덕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은 월주의 임하고 있는 육친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월주가 곧 부모궁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주의 주중에 자리하고 있는 인성으로도 판단하게 되는데, 대개 정인은 친모가 되지만 정인이 사주 내에 없고 편인만 있다면 이때는 편인을 친모로 판단하게 된다.
십이운성으로 월주의 생왕함을 판단하고, 길신과 흉신의 여부와 함께 십이신살을 이용하여 인성의 동향과 성격을 파악한다. 만일 인성이 용신이 되는 사주라면 어머니는 나에게 더할 나위 없는 길성으로 작용하여 어머니의 덕이 많은 사주가 되는 것이다. 여기에 재·관·인의 삼재까지 구비되는 사주라면 그의 어머니 인품까지 후덕할 뿐만 아니라 본인 사주 또한 매우 귀한 사주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귀격의 사주를 갖추었으나 형·충으로 인해 피상된다면 이는 파격이 되어 정반대의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아버지의 덕은 재성으로 판단하게 된다. 일간이 신왕하고 재성이 세력을 갖추어 일간의 재로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면 이는 아버지의 덕이 있는 사주로 판단한다. 반대로 부모덕이 없는 사주는 월주가 십이운성의 살지나 패지에 임하거나, 인성 혹은 재성이 이와 같은 자리에 임해 있거나, 형·충·파·해가 되고 십이신살의 겁살이나 재살에 임하게 되면 부모덕이 없는 사주로 구분한다.
예) 부모덕이 있는 사주
여자
시주
일주
월주
년주
辛-
己-
戊+
丁-
(식신)
(일간)
(겁재)
(편인)
未-
巳+
申+
酉-
(비견)
(정인)
(상관)
(식신)
기토일간이 금왕절인 신월에 출생하였다. 월령에서 투출한 지장간이 없어 월지가 그대로 격을 이루게 되었다. 신왕하고 식상도 왕성한 사주로 상관격이다. 년주의 천간에 자리하고 있는 정화편인은 일간에게 조부가 되고 년지 유금식신은 곧 조부의 재물이 된다. 따라서 년지의 유금식신과 월지의 신금상관, 그리고 일지의 사화정인이 각각 삼합과 육합을 하며 정화편인의 재물을 기토일간의 자리로 끌어당기는 형국이다.
월간의 무토겁재는 기토일간의 아버지가 되고 있다. 아버지의 재물을 상징하는 수의 기운은 월지신금의 지장간 임수에 자리하고 있다. 월주의 상생관계를 살펴보면 천간의 무토겁재는 지지의 신금상관을 생하고 있고, 지지 신금상관은 신금 중의 임수정재를 생하고 있다. 지장간의 임수는 신금에서 장생지에 임하고 있어 재복이 많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위의 사주는 부모덕이 있는 사주가 되는 것이다.
예) 부모덕이 없는 사주
여자
시주
일주
월주
년주
乙-
甲+
丙+
戊+
(겁재)
(일간)
(식신)
(편재)
亥+
戌+
辰+
戌+
(편인)
(편재)
(편재)
(편재)
갑목일간이 목왕절인 진월에 출생하였다. 월지의 진토편재에 장축되어 있는 무토편재가 투출하여 편재격이 되었다. 갑목일간이 진월에 출생하여 실령하였다. 주중에 편재와 식신이 세력을 갖춰 일간의 기운을 설기하니 일간은 신약하다. 신약한 갑목일간을 생조하는 인성이나 비겁이 절실히 필요한데, 다행히 시주에 을목겁재와 해수편인이 있어 을목겁재를 용신으로 삼아 편재용겁격의 사주가 되었다.
한편 본명 사주의 월지와 년지, 그리고 일지는 진술충이 되고 있다. 사주에서 월주는 부모궁에 해당하는데, 이처럼 부모궁에 거듭된 상충은 일간에게 매우 불리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 월주는 곧 월령이 자리한 곳이기 때문이며, 재성을 의미하는 육친에 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부모와 재물을 의미하는 월주 및 편재의 거듭된 상충으로, 부모덕이 없고 일신이 고단한 사주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