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88964060285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09-11-1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추천사
1 컴퓨터 게임 연구의 원점
2 놀이와 컴퓨터 게임
놀이와 컴퓨터 게임의 관계
놀이와 컴퓨터 게임의 특성
‘놀이’가 지니는 의미
컴퓨터 게임과 놀이의 ‘디지털화’
3 컴퓨터 게임의 현상과 표상
‘결여’와 표상 그리고 컴퓨터 게임의 현상학
컴퓨터 게임의 표상 양식
표상의 존재 이유와 양상 그리고 컴퓨터 게임의 정의
4 컴퓨터 게임의 의미론적 구조
게임에서의 분절적 단위
게임 행위
게임 시스템과 게임 세계
게임 행위의 의미론적 층위들
5 놀이 전개의 구성
행위 중심의 과제 풀기(Q)와 확장적 관계
과제 풀기의 다양화를 통한 게임 경험의 심화
구성 양식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진화
개인화의 강화
추가적 구성 요소들
놀이 전개의 구성 요소와 전형적 양식들
6 컴퓨터 게임과 내러티브
게임의 이야기꾼들
사건의 경험과 수사
내러티브의 놀이와 시간을 통한 안정화
7 구조로서의 게이머
게이머라는 위상학적 공간
유혹에 빠진 육체
게이머라는 구조체의 봉합
8 컴퓨터 게임의 이해
나가며
참고 문헌
참고 게임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렇다. 나는 지금 게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결정적 상황에서 성급한 판단으로 죽어버린 아바타를 보며 후회하고, 아이템에 눈먼 파티원의 배신에 상처받으면서도 다시 파티를 찾고, 수십 번 죽음과 부활을 반복하면서 결국 구출한 공주의 미소에 만성피로증후군을 잊는, 게임과 사랑에 빠진 게이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박상우, ‘들어가며: 모든 것은 게임에 있다’에서
내가 읽은 『박상우』는 어렵다. 그는 낯가림이나 눈싸움할 사이도 없이, 전광석화의 숙련된 언술적 선제공격으로 독자를 무장해제시키는 준비된 텍스트이며, 게임에 대한 놀라울 만큼 집요하고 철저한 이론적 연구와 게임의 장르적 레벨 업을 위한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는, 한국 게임사에 한 획을 긋는 텍스트다.…
-조은하(만화, 게임 시나리오 작가), ‘추천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