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56409238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2-06-05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 선정규
제1부 문화콘텐츠의 내면
K-Culture의 글로벌화 전략을 위한 제언 황경선
1. 들어가는 말
2. 기획 개발
3. 제작단계
4. 끝맺는 말
불교설화의 口傳과 文傳의 틈새, 그리고 불교적 이치와 의미 김헌선
1. 자료와 방법
2. 「憬興遇聖」의 주석, 본문 이해에의 기여
3. 「憬興遇聖」의 안거리와 밖거리 : 경흥이 만난 두 보살, 관음보살과 문수보살
4. 관음보살과 문수보살의 출현, 구전과 문전의 틈새 : 그 밖의 문면 확대하여 보기
5. 「憬興遇聖」의 설화적 의미와 불교적 이치
문화콘텐츠와 스토리콘텐츠 조은하
1. 스토리콘텐츠의 개념
2. 스토리콘텐츠의 가치
3. 스토리콘텐츠의 전망
컴퓨터 게임의 인간학적 층위 박상우
1. 게임 연구의 방법론
2. 매체, 텍스트 그리고 이미지
3. 놀이, 컴퓨터, 컴퓨터 게임
4. 결론
제2부 문학콘텐츠의 현장
‘여우와 구미호’ 이미지·형상에 관한 연구 유현주
1. 서론
2. 여우와 구미호에 대한 일반적 인식
3. ‘구미호’관련 드라마 분석
4. ‘구미호’의 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전환
5. ‘여우와 구미호’ 콘텐츠의 활용 가능성 모색
6. 결론
낭만적 사랑(Romantic Love) 신화의 현대적 해석 김공숙
1. 서론
2. 낭만적 사랑의 개념
3. 낭만적 사랑의 신화적 분석
4. 낭만적 사랑 신화의 현대적 해석
5. 결론
내포문화 발전 기본전략 박상언
1. 들어가며 : 지역문화와 지역발전
2. 지역정체성과 내포문화
3. 내포문화 발전 패러다임
4. 내포문화 발전 기본전략
5. 나오며 : 정책 제언
문화콘텐츠의 가치와 나가야 할 길 조은주
1. 서론
2. 문화적 가치로서 살펴본 문화콘텐츠 사례
3. 결론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이주영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실태
4.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결과 분석
5.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
6. 결론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류 열풍이 거세다. 지난 1996년부터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가 방영되기 시작하고 그 뒤를 이어 한국 가요가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2000년 한 중국 언론이 ‘한류’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한국의 대중문화를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다. 2002년 일본 NHK에서 방영된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는 한류가 일본을 관통하면서 문화산업의 수출을 확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겨울연가> 이후로 수많은 한국 드라마와 영화들이 일본에서 방영 또는 상영되면서 한국의 배우들이 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잡고 산업적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2005년을 정점으로 영화와 드라마의 일본 수출이 둔화되면서 한류가 사라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의 시선도 있었으나 2009년부터 중국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국 가요가 인기를 끌기 시작하고 K-Pop이라 명명되면서 이제 ‘한류’는 ‘한류 열풍’이라고 불리면서 아시아뿐 아니라 유럽, 남미 등까지 확장되고 있다. 드라마 <대장금>은 한국적인 것은 세계적인 것이 될 수 없는 편견을 깨고 중국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를 거쳐 중동까지 인기드라마로 자리잡았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에는 한국이 아니라 중국 및 일본으로 그 시장을 넓혀 활동 무대를 넓히는 아티스트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병헌의 경우, 일본에서의 인기를 바탕으로 할리우드까지 진출했으며, 비의 경우도 중국 등 아시아의 인기를 기반으로 할리우드 영화에 주연으로 출연하기도 하였다. 이는 몇몇 아티스트와 기획사의 성공이라기보다는 K-Culture가 전반적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