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급사슬관리

공급사슬관리 (장성기)

(개정2판)

장성기 (지은이)
두남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700원 -5% 0원
1,300원
23,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급사슬관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급사슬관리 (장성기) (개정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64149355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2-01-20

책 소개

개정판에서는 분석적 도구의 설명은 최소화하고 최신 국내외 선진사례를 다수 소개하였다. 또한 최근 기업에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전사적 자원시스템(ERP), 고객관계관리(CRM), 물류관리 및 기타 많은 정보시스템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목차

제1장 공급사슬관리(SCM:supply chain management)의 이해 13
1. 공급사슬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의 개념 13
2. 공급사슬의 정의 17
3. SCM의 발전과정 및 특성 19
3.1 SCM의 발전과정 19
3.2 SCM의 도입 필요성 20
3.3 SCM의 도입효과 21
4. SCM과 타 기법과의 연관성 22
5. SCM의 구성 24
5.1 공급사슬(Supply Chain)의 흐름 24
5.2 SCM의 구조 25
6. 공급사슬 최적화의 단계 28
제2장 공급사슬 내의 의사결정문제 31
1. 공급사슬 의사결정의 영역 31
1.1 생산 31
1.2 재고 32
1.3 위치 33
1.4 수송 33
1.5 정보 34
2. 공급사슬의 발전하는 구조 38
3. 공급사슬의 참여자 40
3.1 생산자 41
3.2 유통업자 41
3.3 소매업자 41
3.4 고객 42
3.5 서비스 제공자 42
4. 공급사슬과 사업전략과의 조정 43
4.1 서비스하는 시장의 이해 44
4.2 핵심 경쟁력의 정의 45
4.3 필요한 공급사슬 능력의 개발 46
제3장 공급사슬 내에서의 계획 49
1. 수요 예측과 계획 49
1.1 예측 방법들 49
1.2 예측오차의 측정 61
1.3 예측시 고려사항 65
2. 총괄적 계획(Aggregate Planning) 66
2.1 총괄계획수립의 접근법 66
2.2 총괄계획 비용 67
제4장 공급사슬 내에서의 재고관리 75
1. 재고관리의 구조 75
1.1 공급사슬과 물류 네트워크 75
2. 재고원인의 제거 및 완화 78
2.1 불확실성의 제거 78
2.2 배칭과 경제주문량의 제거 81
2.3 이동시간의 단축 81
2.4 계절재고의 절감 82
3. 보유재고 최적량의 결정 82
3.1 재고관련 비용 83
4. 독립수요와 종속수요 85
5. 확정적 재고모형 90
5.1 경제적 주문량 모형 90
5.2 확정적 정기주문모형 97
6. 확률적 재고모형 99
6.1 확률적 정량발주모형 99
6.2 확률적 정기발주모형 102
7. 재고관리와 관련한 기법 105
7.1 파레토 개념을 적용한 ABC분석 105
7.2 Just-in-Time(JIT) 107
8. MRP시스템 111
8.1 MRP시스템의 발전과정 111
8.2 MRP시스템의 구성요소 114
8.3 MRP시스템의 전개절차 116
9.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124
9.1 ERP시스템의 정의 126
9.2 ERP시스템의 발전과정 126
9.3 ERP시스템의 특징 127
9.4 ERP시스템의 기능적 특징 128
제5장 운 송 131
1. 수송 기능과 원칙 131
1.1 수송 기능 131
1.2 기본 원칙 133
1.3 운송비용과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34
1.4 운송수단별 특징 및 서비스 136
2. 운송가격과 관련된 문제 148
2.1 요금과 요금결정 148
2.2 FOB Pricing 150
2.3 배송된 가격(Delivered Pricing) 151
2.4 수량할인 152
2.5 공제(Allowance) 153
2.6 가격과 협상 153
제6장 창고관리와 하역 15
1. 창고의 개념과 역할 155
1.1 창고와 유통센터의 차이 155
1.2 전략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의 창고 의사결정 156
1.3 창고의 본질과 중요성 156
1.4 창고의 종류 162
1.5 공공창고의 종류 163
2. 창고의 기본적 기능 164
2.1 이동 165
2.2 저장 166
2.3 정보전달 167
3. 공공창고와 자가창고 168
3.1 공공창고의 장점과 단점 168
3.2 자사창고의 장점과 단점 170
4. 창고 네트워크의 설계 171
4.1 창고의 수와 크기 172
4.2 입지 분석 175
5. 하역 182
5.1 기본적 취급사항 182
5.2 기계화시스템 183
5.3 반자동 하역시스템 185
5.4 자동 취급(Automated Handling) 187
5.5 정보지시 시스템(Information-Directed System) 188
제7장 황소채찍효과와 지연전략 191
1. 황소채찍효과(Bullwhip Effect) 191
1.1 공급사슬 내의 조정 195
1.2 황소채찍효과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197
2. 지연 199
2.1 생산지연 전략 200
2.2 유통지연 전략 201
2.3 완전(Full) 지연 전략 202
제8장 제품과 공급사슬 설계의 조정 203
1. 물류설계 204
1.1 경제적 포장과 수송 204
1.2 동시병행 프로세싱(Concurrent and Parallel Processing) 205
1.3 표준화(Standardization) 206
1.4 표준화전략의 선택 212
2. 경쟁력 있는 공급사슬의 디자인 및 운영 213
2.1 공급사슬 설계의 일반원칙 213
2.2 적합한 공급사슬 형태의 선택 218
2.3 대응력 있는 공급사슬의 설계 221
3. 신제품 개발에 있어서의 공급자통합 225
3.1 공급자 통합의 스펙트럼 225
3.2 효과적 공급자통합의 핵심 226
4. 대량고객화(Mass Customization) 227
4.1 대량고객화의 개념 227
4.2 대량 고객화와 SCM 230
5. 역로지스틱스(Reverse Logistics) 231
5.1 역로지스틱스의 개념 231
5.2 역공급사슬의 디자인 233
5.3 역로지스틱스의 전략적 의의 237
제9장 고객가치와 수입관리 241
1. 서론 241
2. 고객가치의 영역 243
2.1 요구에 대한 일치성 244
2.2 제품 선택 246
2.3 가격과 브랜드 249
2.4 부가가치 서비스 250
2.5 관계(relationship)와 경험 252
2.6 고객가치 영역과 탁월한 성과달성 253
3. 가격결정(Pricing) 254
3.1 서론 254
3.2 수입관리(Revenue Management) 255
4. 영리한 가격책정(Smart Pricing) 258
4.1 고객맞춤 가격책정(Customized pricing) 258
4.2 동적 가격책정(Dynamic pricing) 260
제10장 구매 및 외주전략 261
1. 서론 261
2. 외주의 장점과 위험요소 26
3. 구매/생산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263
4. 구매전략 265
5. 전자구매 269
6. 구매통합전략 270
6.1 내적 통합 271
6.2 외적 통합 271
7. 전략적 조달 273
8. 인소싱과 아웃소싱 275
9. 공급자 선정과 평가 276
9.1 구매단계 277
9.2 구매 카테고리 278
9.3 공급자 평가 278
10. 효과적 조달조직 281
11. 구매관리 합리화 방안 284
제11장 공급사슬 통합 287
1. Push, Pull, 그리고 Push-Pull 시스템 287
1.1 Push기반의 공급사슬 287
1.2 Pull기반의 공급사슬 288
1.3 Push-Pull 공급사슬 289
1.4 적절한 공급사슬전략 291
1.5 Pull-Push전략의 실행 293
2. 리드타임의 영향 295
3. 공급사슬전략에 있어서 인터넷의 영향 298
3.1 e-비즈니스 301
3.2 수송과 주문이행(fulfillment)에 대한 영향 302
4. 유통전략 303
4.1 직접 선적(direct shipping) 303
4.2 크로스 도킹(Cross-Docking) 304
4.3 환적(Transshipment) 306
4.4 중앙 집중(centralized) 대 분산(decentralized) 통제 307
4.5 중앙 대 로컬 설비들 308
12장 공급사슬 제휴
1. 물류관련 비즈니스 기능의 네 가지 방안 311
2. 전략적 제휴의 프레임워크 312
3. 전략적 제휴의 형태 314
3.1 3자 물류 315
3.2 4자 물류 322
3.3 소매상-공급자 파트너십(RSP: Retailer-Supplier Partnership) 323
3.4 유통업자 통합(DI: Distributor Integration) 330
제13장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정보기술 335
1. 공급사슬 정보기술의 목표의 개념 336
1.1 정보의 수집 337
1.2 데이터에의 접근 337
1.3 공급사슬 데이터에 기초한 분석 339
1.4 공급사슬 파트너들과의 협력 339
2. 공급사슬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 341
2.1 데이터 획득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341
2.2 데이터 저장과 검색 342
2.3 데이터 조작과 리포팅 344
2.4 공급사슬 기술의 새로운 추세 349
3.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349
3.1 RFID의 정의 349
3.2 RFID 주파수별 이용 특성 349
3.3 RFID 기술의 분류 350
3.4 RFID 응용사례 352
3.5 RFID의 한계점과 향후 방향 354
4. 기타 정보시스템 355
4.1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355
4.2 BI(Business Intelligence) 355
4.3 시뮬레이션 모델링 356
제14장 공급사슬 성과측정과 SCOR모델 357
1. 공급사슬성과 측정 357
1.1 SCOR모델 357
1.2 균형점수카드(Balanced Score Card)접근 359
1.3 공급사슬 측정기준의 계층 362
1.4 측정기준의 베스트 프랙티스 364
2. SCOR(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모델 366
2.1 The Supply-Chain Council 366
2.2 SCOR 프로젝트 로드맵 369
2.3 SCOR 프로젝트 로드맵의 적용 370
2.4 SCOR 이니셔티브의 가치 372
3. SCM 도입 기업의 과제 372
3.1 기업 간의 과제 373
3.2 기업 내의 과제 375
4. 시스템 구축후 운영방식 - 힘의 논리 376
4.1 공급사슬관리 상의 힘의 균형 376
4.2 공급사슬관리상의 힘의 종류 378
5. SCM의 목표달성 여부에 대한 평가시스템 379
5.1 SCM 참여업체에 대한 활동측정과 보상체계 확립 379
5.2 ABC(Activity-Based Costing)의 개념 380
제15장 GSCM과 공급사슬의 도전과제 387
1. 기업의 GSCM 도입 필요성 387
1.1 해외 법인 수 증가에 따른 글로벌 통합의 필요성 증대 387
1.2 공급자/고객과의 상호조정요구 388
1.3 재고 및 물류비용의 증대 389
1.4 글로벌 물류를 위한 조직화 389
2. GSCM의 발전단계 390
2.1 국제구매(international purchasing) 390
2.2 글로벌 소싱(global sourcing) 390
2.3 글로벌 공급사슬관리(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390
3. GSCM의 개념과 구조 391
3.1 GSCM의 정의 391
3.2 GSCM의 프레임워크 392
4. GSCM의 구성요소 392
4.1 GSCM의 구조 392
4.2 GSCM과 정보기술 능력 393
4.3 GSCM 전략 및 운영경험 394
5. 글로벌 로지스틱스 전략 396
5.1 집중생산(focused factories) 396
5.2 재고의 중앙집중화 397
5.3 지연(postponement) 및 현지화(localization) 398
6. 공급사슬의 도전과제 398
6.1. 대량 고객화(mass customization) 399
6.2. 세계화(globalization) 406
6.3. 스마트화(smart SCM) 410
참고문헌 … 415 / 찾아보기 … 419

저자소개

장성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는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1976년)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주립대학교(Georgia State University)에서 경영학 석․박사학위(1985년․1990년)를 취득하였다. 한국경제연구원, LG생산기술원에서 근무하였고, 1999년부터 영산대학교 경영학과, 해운항만물류학과에 교수로 재직하다 2018년 정년퇴임을 하였다. 동 대학 호텔관광․경영대학원장과 법경대학장 그리고 교무처장, 학생처장 및 산학협력처장 등을 역임하였고, 미국 휴스턴대학교(University of Houston)의 SCRC(Supply Chain Resource Center)에서 교환연구원(visiting researcher)으로 근무하였다. ∙한국생산관리학회 및 한국 CAD/CAM학회 이사를 역임하였으며, 주요 관심분야는 생산관리, 생산전략, 생산정보시스템, MRP, CIM, ERP, SCM 등이다. 9년여 동안 LG생산기술원에 근무시 생산시스템그룹장, CIM연구실장 및 CAD/CAM/CAE 센터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물류관리의 종합적 이해(공저), 생산정보시스템(공저), 공급사슬관리의 실천적 이해, 공급사슬관리, 생산운영관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