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4373019
· 쪽수 : 632쪽
· 출판일 : 2018-02-09
책 소개
목차
서문 • 9
1장╷ 건강, 보건의료 그리고 자본주의 • 21
2장╷ 의료의 본질: 상품이냐 연대냐 • 61
3장╷ 불평등과 건강 • 78
4장╷ 거대한 부 : 보건의료 산업의 자본축적 • 107
5장╷ 세계를 대상으로 한 거대 제약회사들의 의료 마케팅 • 148
6장╷ 미국의 의료 개혁과 스톡홀름 증후군 • 177
7장╷ 유럽 보건의료 제도의 시장화 • 215
8장╷ 작업장의 모순 : 캐나다 의료 노동의 통제권을 둘러싼 투쟁 • 242
9장╷ 아프리카 모성 사망의 현주소 : 젠더 렌즈로 분석한 보건의료 체계의 실패 • 279
10장╷ 비만과 굶주림 사이 : 자본주의의 식품 산업 • 301
11장╷ 텔레비전 의학 드라마 : 의료라는 새로운 소재 • 322
12장╷ 쿠바의 보건의료 정책 : 국내외적 차원 • 347
13장╷ 중국 보건의료 부문의 이중 운동 • 383
14장╷ ‘모두에게 건강을’ 선언과 신자유주의 세계화 : 인도의 경우 • 412
15장╷ 세계 보건 정책의 수립 • 434
16장╷ 포괄적 보건의료 운동의 건설 : HIV 에이즈 운동의 본보기 • 459
17장╷ 병든 사회의 정신 건강 : 사람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 489
옮긴이 후기 • 509
후주 • 547
찾아보기 • 626
리뷰
책속에서
“건강과 질병을 연구하다 보면, 우리는 곧 사회적·정치적·경제적·문화적으로 핵심이 되는 문제들과 대면하게 된다. 실제로, 건강할 권리는 바로 인간의 기본 권리이다. 이는 유엔이 1978년 알마아타에서 선언한 ‘모두에게 건강을’이라는 선언의 함의이기도 하다. 인간의 권리는 상품화되어서는 안 된다. …… 건강은 일반적으로 정치적 원칙은 물론 과학의 기본 원칙으로서도 다음과 같은 성격을 지닌다. 즉 ‘건강은 상품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