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당과 정당 체계

정당과 정당 체계

조반니 사르토리 (지은이), 정헌주 (옮긴이)
후마니타스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당과 정당 체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당과 정당 체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64374399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3-09-11

책 소개

정당이란 무엇인가, 파벌과 동의어로 이해되었던 정당은 어떻게 긍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는가, 정당 체계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정당 간 경쟁의 의미는 무엇인가 등등, 우리가 현재 정당과 정당 체계에 대해 논의할 때 필요한 이론적 기반의 대부분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목차

신판 저자 서문 10
피터 마이어의 서문 12

서문 24
제1부 왜 정당인가
1장 부분으로서의 정당 33
2장 전체로서의 정당 81
3장 예비적 틀 103
4장 내부로부터의 정당 123
제2부 정당 체계
5장 정당 수에 따른 정당 체계 구분 187
6장 경쟁 체계 205
7장 비경쟁 체계 313
8장 유동적 정체와 유사 정당 349
9장 전체적인 틀 387
10장 공간 경쟁 457

미주 504
찾아보기 575

저자소개

조반니 사르토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탈리아의 정치학자로 현대 정당 및 정당 체계 연구의 틀을 만들고, 비교 정치의 분석적 가이드라인을 제안함으로써 민주주의, 정당, 비교 정치, 비교 입헌 공학 분야에 많은 공헌을 했다. 1924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1946년 피렌체 대학교 정치 및 사회과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교에서 근대 철학사, 국가론 등을 가르쳤으며 사회학 교수(1963~66년), 정치학 교수(1966~76년)를 지냈다. 1971년에 『이탈리아 정치학회보』(Rivista Italiana di Scienza Politica) 창립을 주도했으며, 1976년 미국으로 건너가 게이브리얼 알몬드의 뒤를 이어 스탠퍼드 대학교 정치학 교수(1976~79년)가 되었다. 컬럼비아 대학교의 알베르트 슈바이 처 인문학 석좌 교수(1979~94년), 피렌체 대학교 정치학 교수(1992~94년)를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정당과 정당 체계』(Parties and Party Systems, 1976) 외에 『민주주의 이론』(Democratic Theory, 1962), 『민주주의 이론의 재조명』(The Theory of Democracy Revisited, 1987), 『비교 입헌 공학』(Comparative Constitutional Engineering, 1994) 등이 있다.
펼치기
정헌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사회학박사를 받음.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음. 주요 저역서로는 『정보사회의 빛과 그늘』, 『현대사회와 소비문화』(이상 공저), 『새로운 계급정치』, 『짐멜의 갈등론』, 『진보의 환상』 , 『소유의 기원』, 『뒤르켕의 사회주의론』, 『미국과 러시아』 등이 있음.
펼치기

책속에서

나는 정치를 독립변수로 간주한다. 즉 정당과 정당 체계는 정치사회political society를 (반영하지만 그것을 넘어) 형성한다. 따라서 정치학자들은 정치를 종속변수로 다루기에 앞서 정치의 자율성이 정당과 정당 체계의 형성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탐색해야 할 것이다.


현대 정치가 특별히 ‘현대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면, 그 새로움은 정치적으로 능동적인 사회, 정치적으로 동원되는 사회에서 비롯된다. 이는 새로운 자원이자, 또한 복합성의 새로운 원천이 아닐 수 없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현대 정치는 정당이라는 전달체party channelment를 필요로 한다. 복수의 정당이 존재할 때는 정당들이, 그렇지 않으면 하나의 단일 정당single party이 그 역할을 하게 된다.


다양성과 이견이 반드시 정치 질서와 양립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정치 질서를 파괴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정당은 (무의식적으로, 그렇지만 마지못해)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다양성과 이견이 정치적 질서와 양립할 수 있다는] 이런 이상적인 의미의 정당은 자유주의 세계관과 연관되어 있고 또 그것에 의존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