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64450901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4-04-30
책 소개
목차
상권
머리말 5
제1부 중원축록
제1장 혁명전야
반항아 마오쩌둥 16 / 마오와 은사들 27 / 베이징대학 도서관 사서 보조원 35 / 공산당 선언 44 / 중국공산당 창립, 시대조류를 타다 47 / 젊은 날의 저우언라이 52 / 중국공산당 탄생 57 / 장제스 ‘4․12’쿠데타 67 / ‘영원한 총사령관’ 주더와 난창봉기 70 /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 78 / 추수폭동 83
제2장 혁명의 횃불
징강산 무장투쟁 90 / 유격전 109 / ‘유일대장군’ 펑더화이 111 / 홍군, 창사성 전투 대참패 127 /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양카이후이 130
제3장 장제스의 대규모 공산당 소탕
제1차 포위공격 소탕전 136 / 주더, 소하의 고사를 따르다 142 / 제2차 포위공격 소탕전 146 / 루이진 홍색정권 151 / 병권 빼앗긴 마오 155 / 제5차 포위공격 소탕전, 100만 대군 총공세 158 / 극비문서 전달작전 162
제4장 장정
전략적 대이동 170 / 조선인 양림과 무정 173 / 광둥군벌 천지탕, 홍군과 비밀협상 179 / 3겹 봉쇄선 돌파 183 / 칼 2자루로 혁명한 허룽 186 / 홍군 피로 물들인 샹장전투 189 / 쭌이회의 193 / 마오, 병권을 잡다 198 / 호화진용의 칭강포 전투 204 / 마오 군사전략의 백미 츠수이 전투 209 / 진사장 도강작전 212 / ‘외눈박이 전신’ 류보청 216 / 이족과 삽혈결맹 220 / 아! 다두허 루딩교 226 / 사투 벌이며 설산을 넘어 230 / 중앙홍군, 홍군 제4방면군과 합류 232 / 북상남하 논쟁 237/ 야심 드러낸 장궈타오 242 / 마오와 장궈타오의 격돌 245 / 죽음이 어른거리는 대초지 248 / 탈신지계 252 / 홍군이 어찌 홍군을 공격할 수 있나 256 / ‘포의 원수’ 쉬샹첸 263 / 마지막 관문 류판산을 향하다 267 / 막내린 공전철후의 2만 5천 리 장정 273 / 장정 최후의 전투 276 / 2만 리 2장정 나선 허룽 279 / 신출귀몰 283 / 홍군 제2, 6군단 홍군 제4방면군과 합류 291 / ‘서북왕’ 후쭝난의 천하 제1군 298 / 동정항일 선봉 양림 황허에 스러지다 301
제5장 시안사변
장제스 구금 세계가 놀라다 306 / ‘청년 원수’ 장쉐량 318 / 남방 유격대 325 / 생사 넘나드는 천이 328 / 마오, 류사오치와 합작 모색 337
제6장 국공항일 통일전선
핑싱관 전투 영웅이 된 린뱌오 348 / ‘흠차대신’ 왕밍의 귀국 357 / 장칭의 인생유전 369 / 여성 3인방 예안 고성을 누비다 376 / 장궈타오, 장제스에 투항 382 / 저우언라이의 또 다른 얼굴 388 / 타이항산 8로군 정치위원 덩샤오핑 396 / 완난사변 402
제7장 옌안 정풍운동
마오의 다목적 권력투쟁 412 / ‘저승사자’ 캉성 425 / 천재적 음악가 정율성 427 / 무정과 조선의용군 431 / 마오쩌둥 사상 당장에 439 / 내전의 검은 그림자 441 / 장제스, 충칭회담 제의 446 / ‘여우와 두루미’ 회담 테이블에 앉다 456 / ‘심원춘-설’을 둘러싼 필전 463 / 국공각축 동북지역 내전 속으로 468
제8장 내전
국민당군, 중원 해방구 기습공격 내전 폭발 476 / 후쭝난군 홍색수도 옌안 점령 479 / 쫓기는 공산당 중앙 485 / ‘상승장군’ 쑤위 490 / 샤오허 회의, 중원전략을 짜다 494 / ‘류보청-덩샤오핑’ 12만 대군 중원으로 497 / 중공, 북한 후방기지 남북만주 지원 505 / 린뱌오 승승장구, 천청 연전연패 509 / 마오쩌둥 목숨 건지다 517 / 해방전쟁 총지휘부 시바이포 522 / ‘결사대장’ 쉬스유와 지난성 전투 526 / 랴오-선 전역, 동북전장 대결전 536 / 중원 평정 화이하이 전역 544 / 푸쭤이 투항 베이핑 평화 해방 548 / 장제스 하야, 리쭝런 구원등판 553 / 리쭝런, ‘남북조’국가 꿈꾸다 559 / 금의환향 562 / 평화담판과 밀사 564 / 창장 도강 전역 전야 573 / 100만 대군 호령 난징 점령 578 / 신중국 설계하는 마오쩌둥 582 / 건국전야 587
주 590
하권
제2부 건국대업
제9장 중화인민공화국 선포
중국인민이 일어섰다 12 / ‘작은 제갈량’ 바이충시 무너지다 15 / 저우언라이, 후쭝난을 회유하다 18 / 장제스, 충칭에서 권토중래 23 / 대륙 탈출 28 / 마오쩌둥과 스탈린 32 / 김일성, 스탈린 지원으로 무력남침 36 / 중국 출병 요청하는 김일성 41 / 큰아들 전장 보내는 마오쩌둥 53 / 중공군, 압록강 철교 건너 한국전 참전 63 / 미국과 중국, 한국전장에서 사상 첫 교전 67 / 미군기 폭격으로 마오의 아들 전사 72 / 한국 빠진 판문점 정전협정 81
제10장 권력투쟁
가오강, 류사오치에 도전 86 / 역린 97 / 경제개발 속도 싸고 ‘마오-저우’ 충돌 102 / 급진 사회주의 유토피아 꿈꾸는 마오 106 / 돌격주의와 반돌격주의 112
제11장 삼면홍기
광풍 몰아치는 대약진운동 120 / 루산회의의 진면목 126 / 재회 131 / 마오쩌둥과 펑더화이의 악연 135 / 사상투쟁 전운 142 / 국방부장 해임당한 펑더화이 151 / 7천인 대회 165 / 마오쩌둥, 자아비판하다 170 / 홍색 ‘짱궤’ 천윈 177 / 흑묘백묘 186 / 계급투쟁과 모순 190 / 린뱌오의 ‘마오 어록’ 193 / 정치무대 등장한 장칭 199
제12장 문화대혁명
해서파관을 평한다 206 / 야만의 시대 212 / ‘5․16통지’ 대란 예고하다 217 / 베이징대학에 나붙은 대자보 224 / 천하대란, 천하대치 228 / 홍위병 등장, ‘혁명무죄 조반유리’ 232 / 사령부를 포격하라 236 / 홍위병 완장 찬 마오쩌둥 244 / 불 지르는 ‘개똥참모’ 248 / 주더의 핍박 256 / 계급투쟁 262 / 왕훙원과 1월 폭풍 267 / 쫓기는 허룽 272 / 린뱌오의 허룽 제거 음모 277 / 허룽, 한 품고 죽다 282 / 펑더화이의 굴욕과 좌절 286 / 군부, 일엽편주로 떠돌다 292 / 2월 역류 297 / 수난당하는 류사오치 303 / 마오의 탈출 307 / 천재일우 314 / 국가주석의 존엄 319 / 류사오치의 고혼 324 / 주더, 난타당하다 328 / 저우와 인간 사냥꾼들 334 / 푸충비의 역전 338 / ‘혼세마왕’ 홍위병 용도폐기 345 / 토고납신의 물갈이 349
제13장 후계자의 최후
미래권력 린뱌오 358 / 마오와 린뱌오의 힘겨루기 367 / 천재론 372 / 마오의 철퇴, 벼랑 끝에 서다 377 / 쿠데타 모의하는 ‘연합함대’ 382 / 루산의 일 끝나지 않았다 386 / 남순담화 391 / 미수에 그친 마오 암살 396 / 소련으로 탈출하는 린뱌오 399 / 린뱌오, 초원의 재가 되다 405 / 명참모 예젠잉 407 / 마오, 잠옷을 걸치고 천이 장례 참석 412
제14장 홍도여황
캉성의 교토삼굴 418 / 마오와 닉슨 422 / 장칭의 자서전 425 / 2인자 수업 429 / 저우-장칭, ‘비림정풍’ 격돌 433 / 부활하는 덩샤오핑 436 / ‘4인방’ 결성 439 / ‘비림비공’ 저우를 겨누다 444 / 덩샤오핑, 유엔총회 입성 448 / 4인방 ‘조각’에 뛰어들다 452 / 천군만마 456 / 두 노전우의 담화 461 / 펑더화이 끝내 숨지다 465 / 저우의 ‘4개 현대화’ 472 / 장칭, 당중앙에 자아비판 476 / 『수호지』로 되살아난 4인방 479 / 복병 483 / 도화원 사람 487 / ‘사랑하는 총리’ 저우 잠들다 491 / 혜성처럼 등장한 화궈펑 494 / 톈안먼 광장 피로 물들다 497 / ‘붉은 별’ 떨어지다 507 / 상중의 물밑투쟁 512 / 마오의 환생, ‘임종분부’ 516 / 동상이몽 520 / 체포되는 4인방 524
제15장 여명
마지막 결전, ‘양개시범’ 충돌 528 / 최후의 승자 532
주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