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평화체제를 향하여

평화체제를 향하여

(한반도의 평화통일과 기독교의 사명)

이삼열 (지은이)
동연출판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250원
20,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평화체제를 향하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평화체제를 향하여 (한반도의 평화통일과 기독교의 사명)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문학
· ISBN : 9788964474860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9-01-21

책 소개

1980년대 선도적으로 평화통일운동을 이끌었던 한국교회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한반도 평화체제 정착을 위하여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구체적인 로드맵 또한 제시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한반도의 평화체제와 기독교의 사명

1장 1980~90년대 한국교회의 평화통일 운동
I. 분단 극복을 위한 기독교 운동 (1981~88)
II. 탈냉전시기의 남북대화와 통일 논의 (1989~95)
III. 북한의 곤경과 남북나눔운동 (1993~99)

2장 통일 운동의 물꼬를 튼 교회협(NCCK) 88선언
I. 교회협 88선언의 입장과 배경
II. 분단이 원죄다 (1984 WCC 도잔소협의회)
III. 통일의 난제와 교회의 과제 (1986 호놀룰루 한미교회협의회)
IV. 기독교 통일 운동의 5대 원칙 (1987 송도 교회협 정책회의)
V. 88선언의 실천과 교회협(NCCK)의 과제 (1989 양평 교회협 정책회의)
VI. 남북통일과 해외 교회의 사명(1989 호놀룰루 한인장로교대회)

3장 1995년 평화와 통일의 희년선언
1. 희년의 선포와 신앙고백
2. 분단 극복을 위한 남 ․ 북 기독교의 노력
3. 동서 냉전의 해소와 남 ․ 북의 화해
4. 신뢰 형성과 평화체제 실현의 길
5. 한(조선)반도 통일의 바람직한 방향
6. 희년 정신의 실천과 교회의 과제

4장 해외에서 만난 남 ․ 북 교회와 기독자의 대화
I. 통일의 신학과 희년의 계획 (1989 도쿄회의)
II. 조국의 평화통일과 선교 (1990 도쿄회의)
1. 평화 선교와 통일의 실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이삼열)
2. 조국의 평화통일과 선교 (조선기독교도련맹 고기준)
III. 민족통일의 신학과 민족주의 (1992 뉴욕 북미주기독학자대회)
1. 조국 통일과 민족의식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 이삼열)
2. 조국통일과 민족의 자주성 (평양 민족문제연구회 박승덕)
3. 남 ․ 북 철학자의 통일 문제 대담 (미주 중앙일보)
IV. 희년맞이 남 ․ 북 교회의 대화 (1995 WCC 교토협의회)
1. 남 ․ 북 교회 대표의 교토 논쟁
2. 통일 희년을 성취하기 위한 교회의 과제 (조선그리스도교련맹 강영섭)
V. 북한교회의 실상과 선교의 길 (1995 LA 희년선교대회)
VI. 도잔소 30주년기념 WCC 국제협의회 (2014 제네바) (조선그리스도교련맹 강명철)
VII. 전쟁의 위기와 평화협정체제 (2016 홍콩 WCC 국제회의)

제2부 대북 통일 정책의 한계와 비판

1장 한반도의 평화체제와 군축의 방향
1. 평화와 통일의 우선순위
2. 한반도의 평화와 군축의 의미
3. 남 ․ 북한의 평화협정과 군축의 방향

2장 남북정상회담의 문제와 한계
I. 남북고위급회담(1990~91)과 신뢰 구축 문제
II. 남북합의서(1992) 이후 교회의 실천 과제
III. 김영삼/김일성 회담(1994)과 평화체제의 실현
IV. 김대중/김정일 회담(2000)의 성패와 과제

3장 남북대화와 통일 정책의 비판적 성찰
I. 남북대화의 무능과 통일 방안의 문제
II. 남북교류협력법안의 비판적 소견
III.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의 한 비판
IV. 햇볕정책이 성공하려면
V. 북핵 위기와 미국의 대북 정책 문제

4장 평화체제의 실현은 가능한가
I. 한반도의 전쟁위기와 평화체제의 길
II. 평화체제가 오고 있다
1. 문재인/김정은 정상회담(2018)과 판문점선언
2. 왜 평화체제인가?
3. 동 ․ 서독의 화해와 유럽의 평화체제
4. 평화협정과 남북기본조약이 필수 조건
5. 평화가 우선이다

제3부 동 ․ 서독의 평화체제와 통일의 교훈

1장 통일 이전의 화해와 이질화의 극복
I. 동 ․ 서독 교류와 민족 동질성 회복
1. 관계 개선 15년의 변화
2. 동독의 변화와 이질성 극복의 문제
II. 동 ․ 서독과 남 ․ 북한의 사회 ․ 문화 교류

2장 독일의 통일 과정에서 얻는 교훈
I. 동독의 붕괴와 흡수통일의 문제
II. 통일 독일의 중립화와 나토 가입 문제
III. 통일 후 정치 ․ 사회 ․ 경제적 문제
IV. 통일 5년 후 동독의 경제와 사회

3장 통일 후 동 ․ 서독인의 갈등과 화해 운동 (괴델리츠 포럼)
1. 서독으로 쫓겨 간 동독 지주의 아들
2. 동독 고향으로 돌아와 세운 ‘괴델리츠 동서 포럼’
3. ‘전기 대화’를 통한 편견 해소와 화해
4. 분단과 통일 시대의 삶에 대한 반성

부록 1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 (88선언)
부록 2 88평화 ․ 통일 기도주일 메시지
88평화 ․ 통일 기도주일 메시지

저자소개

이삼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평안북도 철산 출생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대학원졸, 철학석사 독일 괴팅겐대학교 정치학 전공, 사회과학 박사 [주요 경력] 크리스챤아카데미 간사(1967-1968) 보쿰 사회선교부 한인노동자 상담소장(1977-1979) 유럽 산업선교협회 총무(1979-1982)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1982-2005), 기독교사회연구소장 세계교회협의회(WCC) 중앙위원, 실행위원(1998-2005) 유네스코아태국제이해교육원 원장(2000-200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2004-2008) 한국철학회장(2007-2008) 에코피스아시아 이사장(2009-2012) 한국기독교사회발전협회 이사장(2011-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2012-2015) 동아시아평화를위한역사NGO포럼 상임대표(2012-2016) 대화문화아카데미 이사장(2017-2020 현)
펼치기

책속에서

시민사회의 전반적 평화통일 운동을 기술하지 않고, 왜 기독교의 운동을 조명해 부각시키려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이렇게 답하고 싶다. 물론, 나 자신 기독교 신자로서 한국교회의 에큐메니칼 운동과 평화통일 운동을 통해 주로 활동해왔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남·북의 적대적 분단을 극복하는데는 극도의 적대적 신앙과 이념에 집착해 있던 남한의 기독교도와 북한의 공산주의자들이 대화하고 화해하며 공존을 모색하는 것이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남한의 일천만 기독교 신자들과 북조선의 일천여만 공산주의 주체사상 신봉자들이 원수 관계를 풀고 화해하지 않으면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은 요원할 뿐 아니라 불가능하며 전쟁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_<머리말> 중에서


이제 우리 NCC에게는 엄청난 과제와 일이 앞에 놓여 있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회원 교단뿐만 아니라 한국교회 전체의 지지와 협력을 얻으면서 민족을 위한 평화통일의 선교적 과제를 감당해가겠는가의 지난한 과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하느님께 지혜와 용기를 구하면서 이 험난한 길에 십자가를 질 각오까지 한다면 이 일들을 한국교회가 능히 감당해갈 수 있으리라 믿는다.
_<통일 운동의 물꼬를 튼 교회협(NCCK)의 88선언> 중에서


무엇보다 한국교회는 북한교회의 현실에 주목하면서 그들의 요청과 바람이 무엇인가를 귀담아 듣고 여기에 절절한 대응을 해야 한다. 때로는 정치적으로 부담스럽고 무리한 요청이 오지만, 이를 들어주고 함께 고민하는 자세를 보여주어야, 우선 남·북한 교회의 공동체의식과 일체감이 생기며, 북한선교의 토대가 마련된다.
_<해외에서 만난 남·북 교회와 기독자의 대화>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