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뒤틀린 해방체제 그 너머

뒤틀린 해방체제 그 너머

(통일맞이 역사학)

박정신 (지은이), 정신을 기억하는 모임 (기획)
동연출판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40원
15,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뒤틀린 해방체제 그 너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뒤틀린 해방체제 그 너머 (통일맞이 역사학)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64475171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9-07-24

책 소개

2018년 7월 26일 타계한 숭실대학교 박정신 교수의 유고논문집. 서구 기독교의 ‘주체적 수용사관’의 관점에서 기독교와 근, 현대 한국사회 발전과정과의 역동적 관계를 추적했던 역사학도로서의 故박정신 교수의 학문적 관심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목차

여는 글

책을 펴내며 _ 구미정

기독교와 한국역사 ― 그 만남, 맞물림 그리고 엇물림의 꼴과 결을 찾아서

1. 나와 한국역사 그리고 나와 기독교의 만남
2. 기독교와 한국역사의 만남, 그 꼴과 결을 찾아서
3. 실증의 역사학에서 설명의 역사학으로
4. Protestantism and Politics in Korea를 완성하기까지
5. ‘역사하기’에서 ‘역사쓰기’로

우리 역사쓰기 되새김 ― 베버의 역사사회 인식에 기대어

1. 머리글: 역사를, 우리 역사를 어떻게 읽을까
2. 우리의 역사쓰기, 그 시각과 방법
3. 베버의 역사사회 인식
4. 꼬리글: 현상 그 너머의 뜻을 읽어내는 역사쓰기를 기리며

구한말 조선에 온 칼뱅주의 구학파 ― 그 역사변혁의 파괴력

1. 머리글
2. 이 땅에서 펼쳐진 기독교 성장사의 특수성
3. 칼뱅주의 구학파와 조선의 만남
4. 소리 없는 혁명이 일어나다
5. 꼬리글

일제강점기 기독교와 민족운동 ― 그 맞물림과 엇물림의 사회사

1. 머리글
2. 구한말, 맞물림의 꼴과 결
3. 일제강점 초기, 맞물림의 꼴과 결
4. 일제강점 후기, 엇물림의 꼴과 결
5. 꼬리글

뒤틀린 해방과 분단 그리고 남 ? 북 기독교 ― 그 너머의 역사를 그리며

1. 머리글
2. 주체적 수용사관에서 본 북한 기독교
3. 뒤틀린 해방과 ‘해방공간’ 그리고 남 ? 북 기독교
4. 분단과 전쟁 그리고 남 ? 북 기독교
5. 꼬리글: 체제의 기독교, 그 너머의 역사를 기리며

칸막이를 허무는 교회 ― 역사학에 기대 본 한국교회 개혁 방향(하나)

1. 머리글
2. 공간 확장의 역사, 칸막이 허무는 역사
3. 초기 한국기독교의 확장과 칸막이 허무는 역사
4. 다시 칸막이를 치는 오늘의 한국기독교
5. 꼬리글

탐욕의 역사, 파멸의 역사 ― 역사학에 기대 본 한국교회 개혁 방향(둘)

1. 머리글
2. 탐욕의 역사, 파멸의 역사
3. 1920년대 한국교회 ― 탐욕의 씨, 싹 트다
4. 해방 후 한국 사회와 한국교회 ― 탐욕의 확장
5. 꼬리글

덧붙인 글

'덧붙인 글, 하나' 아버지의 역사, 나의 역사학 박정신
'덧붙인 글, 둘' 박정신(1949-2018) 생각 ― 남다른 역사학도의 한 살이 박영신

저자소개

박정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 숭실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에 입학,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남오레곤주립대학교를 거쳐 오클라호마주립대학교에서 종신 교수로 가르치다 2000년 3월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에 부임해 20U년 2월 정년 퇴임까지 기독교학과 학과장, 부총장, 기독교학대학원장,한국인문사회학회 회장, 국제한국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고, 은퇴 후에는 법인 파송 이사로 활동했으며 2018년 7월 25일 소천하였다.
펼치기
정신을 기억하는 모임 (기획)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역사하기’는 과정으로서 필요하지만, 역사학이 지향하는 것은 ‘역사쓰기’이다. 역사학은 운동이 아니라 서술이며 설명이다. 역사학은 이념의 운동이 아니라 여러 이념적 시각에서 나온 주장들을 종합하여 서술하고 또 설명하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여러 이념의 스펙트럼을 거쳐 나온 주장들을 종합하고, 서술하고, 설명하는 ‘역사쓰기’를 계속할 것이다. 물론 ‘기독교와 우리 역사’의 만남, 그 맞물림과 엇물림의 꼴과 결에 해서 말이다. _ <기독교와 한국역사 > 중에서


베버의 역사쓰기는 오늘 이 땅에서 펼쳐지고 있는 자본주의의 모양새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도록 돕는다. 지금 여기의 자본주의는 누구나 인식하고 있듯이 결코 ‘합리’스럽지 않다. ‘재벌’과 ‘족벌’로 특징지어지는 소수 부자들의 축적된 부를 마냥 부러워하면서도 ‘부러우면 지는 거다’라며 자위하고 마는 분위기 속에서 읽히는 것은 차라리 ‘열패감’(열등감과 패배감)이다. 개인이 아무리 열심히 노동한다고 해도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초기 자본이 없으면 절로 부자의 반열에 오를 수 없다는 자괴감 말이다. 게다가 오랜 유교사회의 유산 덕분에 ‘사농공상’(士農工商)에 따른 직업차별이 만연한 것도 우리의 자화상이다. 직업을 ‘천직’(天職)으로 이해하고 노동을 귀히 여기는 ‘자본주의 정신’이 우리에게는 없다. 또 금욕주의를 세속화하여 노동에서나 여가에서나 이른바 ‘성속일여’(成俗一如)를 구현하고자 하는 ‘자본주의 정신’도 우리에게는 없다. 그저 있는 것이라고는 무한경쟁과 무한이윤추구, ‘승자독식’(winner takes all)의 냉혹한 현실논리, 끝을 모르는 부에 한 탐닉, 쾌락과 향락의 수단으로 전락한 노예노동뿐이다. _<우리 역사쓰기 되새김 >중에서


…이것이 역사의 아이러니다. 그리고 역사를 읽는 재미가 여기에 있다. 역사는 텍스트와 콘텍스트 그리고 그 텍스트를 접한 이들이나 집단이 함께 빚어 만들어내는 한 편의 드라마와 같다. 그러니까 단선적 혹은 단정적 역사 읽기는 역사를 잘못 인식하는 것이며 ‘사상의 사회사’를 왜곡할 수 있다. 복잡다단한 역사의 결과 무늬를 잘 살피고 헤아려 그 안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 역사학자의 업무이기에, 실증의 역사학을 넘어 설명의 역사학으로 우리는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_ <구한말 조선에 온 칼뱅주의 구학파 > 중에서
사회이론가로 널리 알려진 박영신은 이를 ‘성장이 몰고 온 평범화 과정’이라고 하다. “기독교의 사회발전 운동이 낳은 열매”를 따먹으며 기독교 지도자들은 “사회적 상승이동”을 하게 되었다. 기독교가 베푼 교육과 새 정치 훈련을 받고 그 안팎에서 자리를 얻어 “사회적 사다리”를 재빨리 올라 “권위적이고 위계적인” 지도자 그룹을 형성했다. 이에 따라 그들이 이끄는 기독교공동체는 사회변혁 에너지를 잃고 “별난 예수쟁이”의 것이 아니라 “보통사람”의 것이 되어 갔는데, 이것이 바로 그가 말하는 ‘기독교의 평범화 과정’이다.
_<일제강점기 기독교와 민족운동>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