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7885
· 쪽수 : 688쪽
· 출판일 : 2022-05-2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공공신학과 신체정치학
제1장 _ 공공신학과 윤리 기획
I. 윤리 기획과 모델
II. 윤리와 사회과학적 논의
III. 반성적 사회학과 소통 윤리
IV. 생명 윤리와 유전공학
제2장 _ 에른스트 트뢸치와 막스 베버
I. 비교 윤리, 사회학적 구성, 종교
보론: 칼뱅, 칼뱅주의 그리고 자본주의
II. 생활세계: 종교철학과 역사 비판 방법
III. 막스 베버: 이념형과 선택적 친화력
보론: 차축 시대와 다차적 근대성
IV. 이념형, 사회 계층, 역사
V. 자본주의 합리성, 신체정치, 섹슈얼리티
제3장 _ 포스트콜로니얼 이론과 공공신학
I. 종교, 담론 윤리, 포스트콜로니얼 착상
II. 포스트콜로니얼 조건과 이론
III. 마르크스, 식민주의, 아시아적 생산 양식
IV. 유럽 중심주의와 대안 근대성
제4장 _ 포스토콜로니얼 신학과 세계 경제
I. 포스트콜로니얼 신학: 사적 유물론과 종교
II. 해방신학과 변증법적 유물론
III. 국가와 혁명: 관료제와 시민 사회
IV. 자본주의 혁명과 세계 경제
V. 제국주의 모델과 신식민주의 조건
IV. 후기 자본주의: 국가, 글로벌 제국, 인종주의
제5장 _ 책임 윤리와 문화적 정의
I. 리처드 니부어: 해석, 책임, 타자
II. 책임적인 자아와 타자, 예언자적 저항
III. 문화 이론과 정의
IV. 공공신학과 생활세계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글로벌 주권 지배는 시민 사회의 공론장으로 침투해 들어오며, 사회 계층의 피라미드 구조를 한층 더 지배와 폭력 그리고 불평등 시스템으로 각인시킨다. 이런 점에서 푸코의 담론과 지배이론은 공공신학으로 하여금 시민 사회의 계층화된 구조를 분석하게 하고, 사회적으로 밀려 나간 자들을 위한 윤리적 실천을 고려하게 한다. 푸코의 담론과 권력관계 이론은 문화적 이슈들 특히 인종, 젠더 그리고 섹슈얼리티 영역에서 탁월한 통찰을 제공한다. 젠더와 섹슈얼리티는 인간의 신체와 성에 대한 정치적 컨트롤을 통해 사회 안에 장착된다.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관한 담론은 전문가들, 관료들, 의사들 그리고 종교 지도자들을 통해 수행되며 사회의 정상 담론(헤게모니)으로 유포되고, 국가와 사회제도 그리고 법적 정당성 더 나아가 관료 행정을 통해 공공화된다.
- “프롤로그” 중에서
신앙에 의해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것은 기독교인들에게 어떻게 당위적으로 행동해야 하는 가를 처방하는 태도보다 더 중요하다. 레만에 의하면 “기독교 윤리는 신학의 분과로서 [다음과 같은] 질문과 대답에 대한 반성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로서 그리고 교회의 일원으로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나? 이런 질문과 대답을 분석하고 반성하는 것—이것이 기독교 윤리다.”
레만의 기독교 윤리에서 계시, 신앙 그리고 교회는 중심에 서 있으며 윤리는 신앙의 성숙도를 목적으로 하며, 신앙은 도덕성을 산출한다. 신앙의 성숙한 삶은 교회에 근거하며 공동체의 친교는 믿는 자들의 영적 성장을 지적한다. 이것은 코이노니아 윤리의 특징이며, 교회의 친교는 세상에서 활동하시는 그리스도의 임재의 현실과 연관된다. 이러한 친교의 상관관계가 윤리를 구체적으로 그리고 상황적으로 만든다. 이것은 도덕적 원리와 규범을 설정하는 것과는 다르다.
- 제1장 _ 공공신학과 윤리 기획 “I. 윤리 기획과 모델 ” 중에서
피지배층에서 산출되는 문화 헤게모니는 지배층에서 나타나는 대변의 헤게모니에 대한 저항으로 나타난다. 저항의 담론은 포스트콜로니얼 계보학에서 요구된다. 이러한 계보학은 지배 규범과 지식체계가 어떻게 담론 형성과 제도적인 지지를 통해 유포되며, 법적 정당성과 정치 권력으로 강화되는지에 주목한다. 포스트콜로니얼 논의는 서구의 적합한 체제로 당연시되는 것을 판단 중지하고, 어떻게 이러한 지식체계가 주변부의 문화와 사회에서 나타나는 비동일적 인 것과 다름을 컨트롤하고 예속했는지 분석한다. 근대의 문화와 정치경제 이론에서 중요한 것은 후기 근대성의 문제를 검토하고, 식민지 이후부터 이어지는 은폐된 지배관계를 고고학적인 방법 즉 담론과 권력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면서 공론장에서 위계 질서화된 사회 계층에 문제를 제기한다.
- 제3장 _ 포스트콜로니얼 이론과 공공신학 “IV. 유럽 중심주의와 대안 근대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