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8165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4-02-22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머리글
1부 ┃ 키에르케고어의 실존과 신학적 자기됨
1장 _ 키에르케고어의 실존 사상에서 가능성과 자기
1. 『철학적 조각들』에 나타난 가능성: 존재의 계기
2. 『비학문적 후서』에 나타난 가능성: 시(時)와 미학
3. 『죽음에 이르는 병』에 나타난 가능성: 자기됨의 원리
1) 자기(Selbst)
2) 절망(Verzweiflung)
4. 키에르케고어의 미학적 공헌과 한계
2부 ┃ 리쾨르의 실존과 해석학적 자기됨
2장 _ 리쾨르의 사상에 나타난 실존과 자기
1. 『의지적인 것과 비의지적인 것』에 나타난 가능성과 필연성
2. 의지 철학에서 상징 해석학으로의 전향
3장 _ 삼중 미메시스(triple mimesis)
1. 미메시스 개념의 이해
2. 미메시스 I: 선(先) 이야기적 구조로서 현실
― 전 형상화(Pre-figuration) 단계
3. 미메시스 II: 창작된 가능성 ― 형상화(Con-figuration) 단계
4. 미메시스 III: 독자의 현실 ― 재형상화(Re-figuration) 단계
1) 독자의 수용 미학과 텍스트 이론
2) 이야기 정체성과 자기
3부 ┃ ‘미학적 자기됨’과 새로운 존재론
4장 _ 삼중 미메시스를 통한 키에르케고어의 ‘미학적 자기됨’ 분석
1. 키에르케고어의 익명(Pseudonym) 저서에 나타난 미메시스의 흔적
2. 미적 실존의 문제
3. 미와 구원 ― ‘반복’ 개념을 중심으로
4. 미메시스적 자기됨을 통한 키에르케고어 미학의 재평가
5장 _ ‘미학적 자기됨’과 새로운 존재론
6장 _ ‘미학적 자기됨’과 미술
1. 성(聖) 미술과 세속 미술
2. 미적 경험과 보편성
맺음글
참고문헌
◈ 그림 도표 사진 차례
〔그림 1〕 피터 산레담, <아센델프트 교회의 내부>
〔그림 2〕 오토 딕스, <The Skat Players>
〔그림 3〕 산드로 보티첼리, <성모자와 찬양하는 천사들>
〔그림 4〕 뭉크, <절규>
〔그림 5〕 렘브란트, <아틀리에의 화가>
〔그림 6〕 렘브란트, <사도 바울로서 자화상>
〔그림 7〕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이상적 도시>
〔그림 8〕 피에르 술라주, <무제>
〔그림 9〕 애드 라인하르트, <Black Paintings>
〔그림 10〕 괴테, <색채심리 도표>
〔그림 11〕 파울 클레, <문>(門)
〔그림 12〕 폴 세잔, <생 빅투아 산>
〔그림 13〕 빈센트 반 고흐, <오베르-쉬르-우아즈의 교회>
〔사진 1〕 슈바르츠발트호프(Schwarzwaldhof), 독일 바덴뷔텐베르크 주
〔사진 2〕 르 코르뷔지에, <사부아 빌라>(Villa Savoye)
〔사진 3〕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晩對樓)
〔도표 1〕
〔도표 2〕
저자소개
책속에서
실존의 라틴어 어원은 ‘ex-istare’이며 ‘밖에 서다’라는 문자적 의미를 지닌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매일 똑같이 반복되는 일상의 ‘밖’에 서는 것인데 밖에 서면 어디론가 향하는 목적지가 있어야 한다. 이 목적지가 존재이다. 실존자는 매일 반복되는 일상의 ‘밖’에 서서 존재로 향하는 자로 일상과 존재 사이의 경계인이다. 경계인이기 때문에 실존은 불안정함(unstable)을 특징으로 하고 불안이나 절망 등의 실존 감정을 수반한다. 그러나 이 감정들은 단지 파괴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실존하고 존재하는 가능성의 한 모습이자 불완전한 실존의 문제를 극복하고 존재로 나아가는 계기들이 된다.
「1부 1장_ 키에르케고어의 실존 사상에서 가능성과 자기」 중에서
일상의 밖에 설 때 사람은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당황한다. 이때 나침반은 ‘자기 자신’이다.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을 지향하며 길을 떠나는 것이 실존이다. 그래서 실존자는 이중 경계인이다. 일상 밖에 서서 자기 자신을 그리워하지만, 여전히 일상의 제약 속에서 자기가 되지 못하며 왔다 갔다 한다. 그래서 실존은 근본적으로 불안정(unstable)하다. 일상과 자기 존재 사이에서 이쪽에도 저쪽에도 속하지 못한 채 두 축 사이를 오간다. 실존을 결단한다는 것은 이 불안정한 삶을 결단하는 것이다.
「2부 2장_ 리쾨르의 사상에 나타난 실존과 자기」 중에서
사람이 인간의 여러 행동을 이미 이야기 형태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기 위해 리쾨르는 행동의 의미론적 “개념망”을 말한다. 인간의 행동은 사회적 차원에서 상징적으로 이해되고 받아들여진다. 예를 들어 손을 드는 행동은 택시를 잡거나 투표를 하는 행동으로 누구나 받아들인다. 이는 인간 행동이 인류학적이고 사회학적인 상징을 매개로 이해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 부분에서 리쾨르는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데에 도덕적 가치가 개입된다고 말한다. 즉,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행동과 받아들일 수 없는 행동의 구분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처럼 행동의 의미론적 개념망과 사회학적 상징 매개를 통해 행동을 이해하는 것을 가리켜 리쾨르는 “행동의 실천적 이해”라고 부른다
「2부 3장_ 삼중 미메시스(triple mimesis)」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