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64543733
· 쪽수 : 530쪽
· 출판일 : 2013-03-10
목차
제1장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본 저서의 목적
제2장 관료제의 책임성과 책무성
제1절 책임성(Responsibility)의 개념
제2절 책무성(Accountability)의 개념
제3절 책임성과 대중
제4절 책임성과 책무성의 관계
제5절 책임성과 책무성의 한계
제6절 책임성 있는 행정의 구성요소
제3장 관료제화와 관료의 정치성
제1절 관료제의 기원과 관료제의 특성
제2절 관료제의 정의와 순기능과 역기능
제3절 관료제 성장의 불가피성과 양적 성장
제4절 관료제의 권력과 권력분산
제5절 관료의 정치화
제4장 관료제 통제에 관한 제 이론과 비판 및 기타 통제기법
제1절 학자들의 통제이론과 비판
제2절 NGO와 행정통제
제3절 조직에 의한 행정통제
제4절 공직윤리를 위한 문화의 정착
제5절 요 약
제5장 외부통제체제들의 통제역량과 한계
제1절 서 론
제2절 대통령
제3절 의 회
제4절 사법부(법원)
제5절 이익집단의 행정통제 능력
제6절 요 약
제6장 내부민주통제체제의 구성변수와 정부통제의 역할
제1절 계층제(Hierarchy)
제2절 리더십(Leadership)
제3절 대표성(Representations)
제4절 시민참여(Citizen Participation)
제5절 공무원노조(Public Unionization)
제6절 공개성(Publicity)
제7절 요 약
제7장 통제기관간의 상호작용과 내부민주통제모델의 발전
제1절 관료제 통제를 위한 새로운 내부민주통제모델
제2절 외부통제기관에 의해 관료제가 통제될 수 있는가?
제3절 관료제를 통제하기 위해 관료제가 필요한가?
제4절 어떠한 환경 하에서 내부민주통제체제는 외부통제기관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는가?
제5절 행정학의 1968년과 내부민주통제체제를 위한 문화조성
제8장 정부통제를 위한 균형정부: 내부 및 외부민주통제체제의 폐쇄 및 개방성
제1절 균형정부에 대한 행정학의 연구경향
제2절 통제체제의 폐쇄와 개방에 따른 정체의 분류와 균형정부를 위한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