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8836192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9-01-28
책 소개
목차
제1장 행정의 정의와 정부
제1절 행정의 정의 15
1. 정치행정이원론 _ 16
2. 정치행정일원론 _ 17
제2절 정부와 행정 18
1. 정부의 정의와 조직구조 _ 18
2. 정부의 필요성과 좋은 정부 _ 24
제3절 정부 규모 논쟁 27
1. 작은 정부 대 큰 정부 _ 27
2. 한국 정부의 규모 _32
더 알아보기 34
생각해 보기 38
제2장 행정학의 접근 방법과 행정 이념
제1절 행정학의 접근 방법 43
1. 역사적 접근 방법 _ 43
2. 법률적·제도론적 접근 방법 : 행정학 연구 초기의 방법 _ 44
3. 관리기술적 접근 방법 _ 44
4. 생태론적 접근 방법 _ 45
5. 행태론적 접근 방법 _ 46
6. 신행정학적 접근 방법(후기 행태론적 접근 방법) _ 47
7. 체제적 접근 방법 _ 48
8. 공공선택론적 접근 방법 _ 50
제2절 현대 행정의 이념 53
1. 행정 이념 _ 53
2. 행정 이념 간의 관계 _ 54
더 알아보기 55
생각해 보기 59
제3장 미국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 과정
제1절 행정학의 태동기(고전기 행정학) 63
1. 엽관주의의 폐해와 진보주의운동의 시작 _ 63
2. 펜들턴법의 시행 _ 63
3. 정치행정이원론의 대두 _ 64
제2절 기술적 행정학 66
1. 1920~30년대의 행정관리과학 _ 66
2. 과학적 관리법과 행정관리론 _ 67
제3절 기능적 행정학 67
1. 정치·행정 분리에 대한 반발 : 기능적 행정학 _ 67
2. 행정관리론에 대한 비판 : 신고전적 이론 _ 68
제4절 행정학의 다원화와 후기산업사회 행정학 69
1. 1950~1960년대 _ 69
2. 1970년대 _ 71
3. 1980년대_ 72
4. 1990년대 이후 : 협치를 통한 국정관리 _ 73
더 알아보기 78
생각해 보기 81
제4장 조직론
제1절 조직의 필요성과 정의 85
1. 조직의 필요성과 의사소통 _ 85
2. 조직의 정의 _ 89
3. 조직의 유형 _ 95
제2절 조직이론의 발달 97
1. 조직이론의 분류 _ 97
2. 폐쇄-합리적 고전 조직이론 _ 98
3. 폐쇄-자연적 신고전 조직이론 _ 103
4. 개방-합리적 조직환경이론 _ 122
5. 조직이론의 요약 _ 124
제3절 현대 조직이론 126
1. 조직구조와 설계 _ 126
2. 구조적 상황이론과 기타 조직환경이론 _ 127
더 알아보기 136
생각해 보기 139
제5장 인사행정론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이론 145
1. 인사행정의 의의 _ 145
2. 인사행정제도의 발달 : 임용제도 _ 145
제2절 인사행정제도 151
1. 공직구조 _ 151
2. 공직 분류 체계 _ 153
제3절 인적자원관리 157
1. 인력계획 _ 157
2. 인적 자원의 확보 _ 159
제4절 동기부여 : 성과와 보상의 연계 179
1. 동기부여의 정의 _ 179
2. 동기부여이론 _ 179
3. 성과급제 _ 184
제5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186
1. 공무원의 신분 보장과 징계 _ 186
2. 공무원의 권리 _ 188
3. 인사행정의 발전 방향 _ 191
더 알아보기 194
생각해 보기 199
제6장 정책론
제1절 정책학의 기초 이론 207
1. 정책학의 발전 _ 207
2. 정책의 의의 및 유형 _ 208
3. 정책연구의 필요성 _ 213
제2절 정책환경과 정책 과정 참여자 214
1. 정책환경의 개념 및 구성 요소 _ 214
2. 정치 체제와 환경 간의 관계 _ 215
3. 정책 과정의 단계 _ 216
4. 정책 과정의 참여자 _ 216
제3절 정책형성 218
1. 정책형성의 의의 _ 218
2. 정책형성의 과정 _ 219
3. 정책형성의 유형 _ 221
4. 정책형성의 영향 요인 _ 224
제4절 정책결정 228
1. 정책결정의 성격 _ 228
2. 정책결정의 유형 _ 229
3. 정책결정모형 _ 230
제5절 정책집행 236
1. 정책집행의 의의 _ 236
2. 정책집행 연구의 발전 _ 237
3. 정책집행의 유형 _ 239
제6절 정책평가 242
1. 정책평가의 의의 _ 242
2. 정책평가의 일반적 절차 _ 243
3. 정책평가의 유형 _ 244
제7절 정책종결 및 정책변동 245
1. 정책종결의 의의 _ 245
2. 정책변동의 유형 _ 246
3. 정책학습 _ 248
더 알아보기 250
생각해 보기 253
제7장 재무행정론
제1절 재무행정 총론 257
1. 재정의 목적과 구조 _ 257
2. 회계연도와 회계의 구분 _ 258
3. 재정의 범위와 기능 _ 266
4. 국가채무와 재정건전화 방안 _ 271
제2절 예산론 274
1. 예산의 기초 _ 274
2. 예산의 원칙 _ 282
3. 예산의 구성 _ 288
4. 예산 과정 _ 296
5. 예산이론 _ 311
6. 예산제도 _ 314
더 알아보기 319
생각해 보기 323
제8장 지방자치론
제1절 지방자치의 개념 및 의의 329
1. 지방자치의 개념 및 연구 대상 _ 329
2. 지방자치의 구성 요소 _ 329
3. 주민자치와 단체자치 _ 330
4. 우리나라의 지방자치 _ 331
제2절 지방정부의 종류 및 계층구조 333
1. 지방정부의 개념과 종류 _ 333
2. 지방정부의 구역과 계층구조 _ 335
제3절 지방정부의 기관 구성 337
1. 기관 구성의 의의 _ 337
2. 지방의회의 조직과 운영 _ 339
3. 지방자치단체장과 집행기관 _ 342
4. 지방의회와 집행기관 간의 관계 _ 344
제4절 자치권과 사무 345
1. 자치권의 의의와 내용 _ 345
2. 자치사무 _ 348
3. 지방자치 재정 _ 350
제5절 정부간 관계론 355
1. 정부간 관계의 의의 _ 355
2. 정부간 관계모형 _ 356
제6절 주민 참여 357
1. 주민 참여의 개념 _ 357
2. 주민 참여의 유형 _ 358
3. 주민 참여의 활성화 _ 359
제7절 교육자치와 자치경찰 360
1. 교육자치 _ 360
2. 자치경찰 _ 362
더 알아보기 366
생각해 보기 368
제9장 행정개혁론
제1절 행정개혁의 기초 371
1. 개념 _ 371
2. 특징(성격) _ 371
3. 행정개혁의 촉진 요인 _ 372
제2절 행정개혁의 접근 방법 374
1. 개념 _ 374
2. 유형 _ 374
제3절 행정개혁의 이론적 흐름과 가치의 변화 376
1. 전통행정론 _ 377
2. 공공관리론 _ 377
3. 신행정론 _ 377
4. 신공공관리론 _ 378
5. 신국정관리론 _ 378
6. 신공공서비스론 _ 379
제4절 행정개혁의 실패 원인 및 저항의 극복 방안 380
1. 행정개혁의 실패 원인 _ 380
2. 저항의 극복 방법 _ 381
더 알아보기 382
생각해 보기 383
참고 문헌 385
찾아보기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