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올모스트 휴먼

올모스트 휴먼

(호모 날레디와 인간의 역사를 바꾼 발견에 대한 놀라운 이야기)

리 버거, 존 호크스 (지은이), 주명진, 이병권 (옮긴이)
뿌리와이파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올모스트 휴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올모스트 휴먼 (호모 날레디와 인간의 역사를 바꾼 발견에 대한 놀라운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진화론
· ISBN : 9788964621202
· 쪽수 : 286쪽
· 출판일 : 2019-07-26

책 소개

21세기의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인 호모 날레디를 찾는 여정을 담았다. 리 버거 팀의 세기적 발견으로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낸 거의 완벽한 몸을 한 두 모자이크 화석종이 묻는다. 사람이란 무엇인가,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목차

프롤로그
제1부 남아프리카를 향하여
제2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 발견
제3부 호모 날레디 발견
제4부 호모 날레디의 이해
에필로그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람들(2008~2015)/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판 출처

저자소개

리 버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인류학자. 2016년 〈타임〉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이름을 올렸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상주 탐험가이자 카네기사이언스(Carnegie Science) 선임 펠로우, 남아프리카 요하네스버그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교 인류여정심층탐사연구센터(Centre for the Exploration of the Deep Human Journey) 소장이다. 지난 30년간 아프리카 대륙, 아시아, 미크로네시아에서 인류 기원을 탐구하며 수많은 새로운 발견으로 우리를 놀라게 했다. 특히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와 호모 날레디라는 새로운 인류종의 발견은 학계와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다. 이는 2020년 스미스소니언박물관(Smithsonian Museum)이 선정한 ‘10년간 가장 중요한 과학적 발견 열 가지’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 조지아서던대학교에서 인류학과 고고학을 전공하고,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교에서 고인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고인류학연구부(현 진화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며 호미닌 화석 발굴을 이끌었다. 이후 진화연구소(Evolutionary Studies Institute, ESI)와 고생물학우수센터(Centre of Excellence in Palaeosciences, CoEPal) 연구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미국 듀크대학교 생물인류학과 및 해부학과 겸임 교수, 아칸소대학교 인류학과 명예 조교수로 임명되어 학생들을 가르쳤다. 남아프리카왕립학회(Royal Society of South Africa) 회원인 그는 남아프리카제인구달연구소(Jane Goodall Institute South Africa) 창립 이사, 국제 젊은 과학자 협회인 글로벌영아카데미(Global Young Academy) 수석 자문 위원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 현재 탐험가로 활동 중인 그는 내셔널지오그래픽의 ‘라이징 스타(Rising Star)’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이는 그가 연구를 진행하는 남아프리카의 라이징 스타 동굴계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그의 지휘 아래 연구팀은 10년간 적도 이남 아프리카에서 지난 90년 동안 발굴된 것보다 더 많은 양의 인류 유해를 발견했다. 1997년 인류 진화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내셔널지오그래픽협회연구및탐험상(National Geographic Society Research and Exploration Prize)을 최초로 수상했으며, 2016년 롤렉스내셔널지오그래픽 올해의 탐험가(Rolex National Geographic Explorer of the Year)로 선정되기도 했다. 2023년에는 인류 진화사 교육의 중요성과 대의를 끊임없이 표명해온 공로로 미국국립과학교육센터(National Center for Science Education, NCSE)로부터 다윈의친구상(Friend of Darwin Award)을 수상하기도 했다. 인류의 뿌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그의 끝없는 호기심과 지칠 줄 모르는 열정은 인류 기원과 진화에 관한 지식을 거듭 세상에 전하며 많은 이에게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지, 진정한 인간다움의 의미는 무엇인지 되새길 기회를 마련해주고 있다.
펼치기
존 호크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인류학자. 고대 인류의 뼈와 유전자를 비롯해 유인원 계통의 기원부터 지난 1만 년의 역사까지 인류 진화에 관한 모든 부분을 연구하고 있다. 리 버거와 함께 ‘라이징 스타’ 프로젝트를 이끄는 주요 핵심 팀원 중 한 명으로, 10년간 남아프리카공화국을 포함한 세계 여러 곳에서 훌륭한 과학자 및 탐험가들과 함께 인류 진화와 기원, 역사에 관한 흥미로운 발견을 계속해서 이어나가고 있다. 캔자스주립대학교에서 인류학을 전공하고, 미시간대학교에서 인류학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유타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한 그는 현재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인류학과 교수이자 학과장으로 재직하며 인류학의 일환으로 인간 진화, 생물 인류학, 호미니드 고생태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주명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 의대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제9대학 소아정신과에서 연수했다. 주명진 정신과를 열어 개원의로 활동하다가, 1996년 의료법인 우산의료재단을 설립하여 형주병원과 다수의 노인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오랫동안 인류학, 진화심리학, 뇌과학 그리고 정신의학의 역사에 관심을 갖고 공부해 왔으며 인류학 지식나눔 홈페이지(http://waht is human.net)를 개설해 인류가 걸어온 길을 대중과 공유하며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공부하고 있다.
펼치기
이병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테네시주립대학에서 생화학·미생물학 박사학위를 받고 대학과 연구소 등을 거쳐 바이오제약회사에서 신약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공역자와 함께 인류학, 고생물학 관련 책읽기를 시작하여 번역을 하기에 이르렀다. 그 밖에 구약성서 배경사에도 흥미를 갖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25만 헥타르 넓이의 인류의 요람 지역의 기반암층은 백운석질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인류 진화와 관련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들 대부분은 인류의 요람에 존재하는 이 각력암층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2008년 2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유적지가 있으리라는 예감을 입증하기 위해 나는 구식이지만 훌륭한 방법, 걷기를 통한 지상조사를 시작했다. 그렇게 걸어다녀보니, 열 곳 중 한 곳 정도는 지도에 표시해둘 만한 가치가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화석을 발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곳들이었다. 2008년 7월까지, 나는 알려지지 않은 동굴과 화석 유적지를 거의 600곳이나 발견했다. 그것도 이런 종류의 동굴과 유적지 탐사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진 지역에서 말이다.


완벽한 두개골의 횡단면이 사진처럼 선명하게 나타났다!
나는 내가 알고 있는 사람족 두개골 화석의 기록을 휘리릭 떠올렸다. 그 대부분이 수백 개의 작은 조각들을 재구성한 것이었다. 이런 화석들은 일그러지기 일쑤인 데다 무게가 몇 톤이나 나가는 암반 아래에 묻혀, 때로는 퇴적물이 그것을 에워싸기도 전에 으스러지거나 뭉개진다. 우리는 놀랍도록 선명한 이미지 여러 장을 살펴보다가,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두개골이 부서지지도 일그러지지도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우리 앞에 펼쳐진 이미지는 전혀 일그러지지도 않고 모든 이빨이 온전한, 거의 완벽한 어린이의 두개골이었다. 이렇게 보존될 수 있다는 것은 기적이나 다름없다. 이로써 우리는 뼈의 대부분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두개골, 그리고 더불어 또 다른 개체의 유골을 갖게 되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초기 사람속’ 목록의 길이는 두 열 모두 비슷했다. 하지만 우리는 이 사람족이 먼 거리를 걷지 못했고 긴 팔은 나무 오르기에 적응한 것처럼 보인다는 걸 모두 알고 있었다. 우리 화석은 뇌가 너무 작아 사람속으로 분류할 수 없었다. 증거가 그랬다.
그날 밤, 식당에 앉아 스티브 처칠이 물었다. 우리 팀 모두가 궁금해했을 질문이었다.
“어떤 특성들이 있어야 말라파 화석 같은 사람족을 사람속으로 분류할 건가요?”
나는 지난 몇 달간 오갔던 긴 논쟁과 토의의 순간들을 돌이켜보았다.
“긴 다리와 인간을 닮은 발이 있다면 뇌의 크기는 무시할 거야.”
바로 몇 년 후에 이와 똑같은 질문을 받을 줄은 몰랐다. 하지만 그때 내 앞에 놓인 뼈들은 완전히 새로운 뼈들이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4621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