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71175840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24-05-27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_정재승
이 책에 쏟아진 찬사
머리말
1장 수수께끼 같은 영장류
2장 우리가 똑똑해서 살아남았을까?
결전: 유인원 대 인간 • 침팬지와 대학생의 기억 테스트 • 진정한 마키아벨리주의자
3장 무인도에 떨어지면 살아남을 수 있을까
버크와 윌스 탐험대 • 나르바에스 탐험대 • 섬에서 홀로 18년을 생존한 여자
4장 문화적인 종을 만드는 법
기량과 성공 • 명망 • 자기유사성: 성별과 민족 • 대체로 손윗사람이 더 많이 안다 • 왜 남의 생각에 신경을 쓸까?: 순응전달 • 문화적으로 전달되는 자살 • 정신화는 어디에 쓸까? • 배우고 가르치기 위해 배우기
5장 문화가 우리 몸을 약하게 만들었다
커다란 뇌, 빠른 진화, 그리고 느린 발달 • 몸 밖에서 소화시키기: 음식의 조리 • 도구는 어떻게 우리를 뚱뚱한 약골로 만들었나 • 물통과 추적은 어떻게 우리를 오래
달리기 선수로 만들었나 • 동식물에 관한 사고와 학습
6장 왜 어떤 사람들은 눈이 파랄까
곡주와 ADH1B • 왜 어떤 성인들은 우유를 마실 수 있을까 • 문화-유전자 혁명 • 유전자와 인종
7장 신뢰의 기원에 관하여
수유기와 임신기의 금기? • 왜 옥수수 삶는 물에 재를 넣을까? • 점술과 게임이론 • 실험실에서의 ‘과잉모방’ • 본능 극복하기: 매운 고추가 맛있는 이유 • 조금만 비켜줘, 자연선택아
8장 명망과 권력, 그리고 폐경
명망과 권력의 핵심 요소 • 명망가가 관대한 이유 • 명망과 연륜 • 지도력과 인간 사회의 진화
9장 사돈, 근친상간 금기와 의례
사회규범과 공동체의 탄생 • 친족에서 친족관계로 • 아버지가 없는 사회 • 수렵채취인 사이에서의 사회성과 협력 • 더 나아가며
10장 집단 간 경쟁이 만든 문화적 진화의 틀
집단 간 경쟁은 얼마나 오래되었을까 • 수렵채취인의 확장
11장 자기 길들이기
이타주의가 어떻게 매운 고추와 같은가 • 그것은 자동이다 • 규범이 만들어낸 민족적 정형화 • 왜 인간은 친족 기반 이타주의와 호혜가 이토록 강할까 • 전쟁, 외세의 위협과 규범 고수
12장 집단두뇌
실험실로! • 실세계에서의 크기와 상호연관성 • 태즈메이니아 효과 • 어린이 대 침팬지와 원숭이 • 선천적으로 네안데르탈인보다 멍청하다? • 도구와 규범이 우리를 더 영리하게 만든다
13장 규칙이 있는 의사소통 도구
의사소통 목록은 문화적으로 적응한다 • 문화적으로 진화하는 복잡성, 효율성과 학습 용이성 • 배우기 쉽도록 문화적으로 진화했다 • 손놀림, 규범, 몸짓과 언어의 상승효과 • 문화와 협력, 그리고 말보다 행동이 중요한 이유 • 요약
14장 문화에 동화된 뇌와 명예로운 호르몬
포도주, 남자, 그리고 노래 • 해마를 수정하는 런던 시내 운전 • 명예로운 호르몬 • 화학적으로는 불활성이지만 생물학적으로는 활성
15장 진화의 문턱
16장 왜 인간이었을까?
두 길이 서로 얽혀 다리를 놓는다
17장 문화적 진화가 만들어낸 신종 동물
왜 인간은 독특할까? • 왜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이토록 협력적일까 • 왜 우리는 다른 동물에 비해 이토록 영리해 보일까? • 이 모두가 여전히 진행 중일까? • 이는 우리의 역사학, 심리학, 경제학, 인류학 연구 방법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 이것이 우리가 뭔가를 짓는 데에 도움이 될까?
후주
참고문헌
도판 출처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우리가 당신과 당신의 직장 동료 49명을 데려다 어느 서바이벌 게임에 던져넣고 코스타리카 출신의 꼬리감는원숭이 50마리로 구성된 부대와 싸움을 붙인다고 하자. 우리는 두 영장류 팀을 모두 낙하산에 태워 중앙아프리카의 외딴 열대림에 떨어뜨릴 것이다. 그리고 2년 뒤에 돌아와 각 팀의 생존자를 세어볼 것이다. 생존자가 더 많은 팀이 이긴다. 당연히, 장비를 가져가는 것은 어떤 팀에게도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성냥도, 물통도, 칼도, 신발도, 안경도, 항생제도, 냄비도, 총도, 밧줄도 안 된다. (…) 직시하자. 당신이 속한 인간 팀이 질 공산이 크다. 당신 팀에게 커다란 뇌와 풍부한 자만심이 있거나 말거나, 원숭이 한 무리에게, 져도 아마 형편없이 질 것이다. 우리 종이 진화한 대륙인 아프리카에서 수렵채취인으로 살아남는 데에도 쓸모없다면, 우리의 커다란 뇌는 도대체 무엇에 쓰자는 것일까? 우리가 무슨 수로 지구 방방곡곡의 그 모든 다양한 환경으로 확장해 들어갔을까?
【1장 수수께끼 같은 영장류]
우리 종의 독특함, 그리고 그 결과인 생태적 우세함은 문화적 진화가 종종 수백 년 또는 수천 년에 걸쳐 작용하면서 문화적 적응물을 조립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데에서 기인한다. 위의 사례들에서 내가 강조해 온 문화적 적응물은 먹거리 찾기와 처리하기, 물이 있는 곳 찾아내기, 조리하기, 이동하기에 관한 도구와 노하우 따위였다. 하지만 이 책을 읽어나가는 동안, 문화적 적응물에는 우리가 만들 수 있는 것뿐 아니라 우리의 사고방식, 우리가 좋아하는 것도 포함된다는 점이 분명해질 것이다.
【3장 무인도에 떨어지면 살아남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