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저 위에 있는 것을 추구하세요

저 위에 있는 것을 추구하세요

요셉 라칭거 (지은이), 김정희 (옮긴이)
피데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120원
13,1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저 위에 있는 것을 추구하세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저 위에 있는 것을 추구하세요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교리/강론
· ISBN : 9788964795248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21-03-18

책 소개

요셉 라칭거 추기경(교황 베네딕토 16세)이 뮌헨 교구장 시절에 했던 강론과 연설 가운데 몇 부분을 다시 소개하는 책이다. 그간 부활절을 맞아서 했던 강론과 묵상을 근간으로, 여러 교회 축일이며 세속의 기념일을 맞아 방송되었던 짤막한 인사말을 종류별로 모았다.

목차

머리말 3
대림절 묵상 15
Ⅰ. 희망을 일깨우는 기억 15
Ⅱ. 가까이 계신 하느님의 신비에 다가가는 용기 19
Ⅲ. 밤을 벗어나기 23
Ⅳ. 새로운 인성의 빛 27
성모 마리아 취결례(2월 2일 주님봉헌축일) 33
혼돈과 빛의 만남 33
축제-카니발 37
우리 자유의 토대 37
부활절 신비로 가는 길 42
Ⅰ. 저 위에 있는 것을 추구하세요(콜로 3,1) 42
Ⅱ. 예수의 일 하기가 아니라-예수 자신으로 살기 56
Ⅲ 심판과 구원 65
Ⅳ. “성문들아, 머리를 들어라”(시편 24,7) 69
Ⅴ. 증인들의 이야기 74
Ⅵ. 저녁에 눈물, 아침에 환호 79
성령의 잔치 83
Ⅰ. 고요에서 얻는 힘의 각성 83
Ⅱ. 성령에 부합한 행동에 대한 묵상 92
성체 성혈 대축일의 의미 98
Ⅰ. 주님 앞에 서기 99
Ⅱ. 주님과 함께 가기 104
Ⅲ. 주님 앞에 무릎 꿇기 108
오월의 성모 신심-성찰과 기억 111
Ⅰ. 색과 음이 있는 신심 111
Ⅱ. 본질로 이끄는 마리아의 침묵 117
휴가철 명상 125
Ⅰ. 우리가 찾아 나서는 것 125
Ⅱ. 진정한 삶의 추구 128
Ⅲ. 쉼의 역할 132
기 타 136
Ⅰ. 놀이와 삶 136
Ⅱ. 열린 교회와 닫힌 교회 140
Ⅲ. 평 화 144
Ⅳ. 하느님 창조의 보호 148
책을 펴내면서 152

저자소개

요셉 라칭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황 베네딕토 16세) 1927년 4월 16일 독일 바이에른 주 마르크틀 암 인(Marktl am Inn)에서 태어났다. 1951년 사제품을 받은 뒤 프라이징, 본, 튀빙엔, 레겐스부르크 등 여러 대학에서 교의신학 교수를 지냈다.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문위원으로 참여하였으면서도 그 후의 각종 개혁이 대개는 ‘공의회의 정신’이라는 이름의 ‘파괴’였다고 주장하여 엄청난 파문을 일으켰다. 신학자로서는 ‘맑게 깨어있는, 분석적이고 동시에 강력한 종합력을 겸비한 지성’으로 사랑받았고 그의 말에는 ‘고전적인 광채’가 넘쳐났다. 1977년 뮌헨 프라이징 대교구 대교구장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1981년부터 교황청 신앙교리성 장관을 맡던 중 2005년 4월, 제265대 교황 베네딕토 16세로 선출되어 재위 8년에 건강을 이유로 2013년 2월 27일 퇴위하였다. 21세기 최고 현인으로 꼽혔으며, 2022년 12월 95세를 일기로 선종했다.
펼치기
김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5 조선대학교 생물학과 졸업 1966­1967 프랑스 루르드 Formation Religieuse 1968­1979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 스위스 프리브르그 대학에서 철학과 신학 수학. 1979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에서 신학박사학위 취득(지도교수 요셉 라칭거-베네딕토 16세 교황) 1982­2004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1997­2001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설립 및 초대 소장 2004­ 현재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역자 저서] “Caritas” bei Thomas von Aquin im Blick auf den konfuzianischen Zentralbegriff “Jen”, Verlag Peter D. Lang, Frankfurt 1981 은총의 침묵속에서의 마리아, 성바오로 출판사, 서울 1992 기도를 가르쳐 주십시오,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1997 삶과 윤리, 전남대 출판부, 광주 1998 전환기의 새로운 인간학 모색, 전남대 출판부, 광주 2003 교회의 여성, 가톨릭 출판사(으뜸사랑), 서울 2014 [역자 역서] J. Ratzinger 시온의 딸, 성바오로 출판사, 서울 1990 R. Schaeffler 종교철학, 전남대 출판부, 광주 1995
펼치기

책속에서

[책을 펴내면서]
저는 한국에서 생물학을 공부하고, 1966년 사도직 협조자가 되려고 프랑스 루르드로 건너갔다. 그리고 1967년 8월 신학을 공부하려고 독일로 옮겼다. 13세기에 독일 레겐스부르크에 뿌리를 내린 도미니쿠스 수도원은 자연과학과 철학을 가르쳤으며, 얼마 동안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승이신 알베투스 마그누스가 머물었던 곳 거기에 지금의 레겐스부르크 신학대학이 세워졌다. 그런 까닭에 레겐스부르크 신학대학은 정신적인 학문 분야에서 가장 매력을 풍기는 요체로서 우뚝 서게 됐고, 바로 그 요체의 중심에 요셉 라칭거 교수(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서 있었다. 그 당시 독일어 문화권에서만이 아니라, 다른 유럽 나라들 그리고 북미와 남미,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요셉 라칭거 교수님에게 신학을 배우려고 레겐스부르크 신학대학으로 모여들었다.
1969년 가을 학기 요셉 라칭거 교수님은 레겐스부르크 대학으로 부임하기 전에 그의 젊은 시절 본 대학에서 기초신학을 가르치면서 인도의 종교학자 폴 하크와 함께 종교학의 완벽한 만남을 이루어냈다. 무엇보다 특히 요셉 라칭거 교수님은 아우구스티누스 학문, 종교, 철학 그리고 그리스도적 신앙과의 관계를 포괄했다. 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 조언자로 부름을 받았으며, 또한 뮌스터와 튀빙겐 대학에서 교의신학을 가르쳤다. 그러는 동안에 그는 곧 바로 가톨릭교회의 탁월한 신학자의 일인자로 인정받게 됐다.
저는 그분의 명성을 익히 알고 레겐스부르크에서 신학을 공부하려고 결심했다. 많은 이들이 신학공부가 쉽지 않다고 생각했듯이 저에게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신학을 공부하려면 우선 그것과 연관된 외래어와 철학을 배워야만 했다. 아직 독일어도 변변치 못한데 그 변변치 못한 독일어로 라틴어, 희랍어 그리고 히브리어를 배워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저는 어떻게 해야만 신학을 한층 더 깊이 탐구할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를 갖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저는 정치 신학의 영역에 관한 주제에 더 매력을 갖게 됐고 그리고 그것을 탐구하려고 생각했기에 라칭거 교수의 문하생에 소속되는 요청을 망설일 수밖에 없었다. 때 마침 저에게 소중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두 명의 라칭거 제자가 있었다. 라칭거 교수님 지도 아래 박사논문을 쓰도록 저에게 용기를 주었던 두 사람 가운데 한 분은 바로 마틴 트림퍼(독일 오스나부뤽 교구 사제이며 은퇴함)이었고, 또 다른 한 분은 그 당시 스위스 프리부르크 대학 교수직에 부름을 받았던 크리스토프 폰 쉔보른 교수(지금 오지리 비엔나의 대교구장이며 추기경이심)이었다. 더 나아가 쉔보른 교수는 저에게 대 중세 철학자이며 신학자인 토마스 폰 아퀴나스를 탐구하도록 권유했다. 그런 인연으로 저는 동서의 상호 문화적 만남을 위한 윤리의 핵심을 박사논문 주제로 선택하여 탐구하게 됐다.
그리하여 공자의 중심개념 ‘인(仁)과 관련하여 토마스 폰 아퀴나스의 카리타스caritas’(프랑크푸르트 1981)를 저의 박사논문 주제로 정했다. 그리고 쉔보른 교수는 제가 프리부르크 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토마스 폰 아퀴나스의 윤리를 작업할 수 있도록 모든 편의를 제공했다.
요셉 라칭거 교수님 자신은 제자들의 논문을 보살피기 위한 작업을 특별하게 하셨는 데 말하자면 매 학기마다 2주 아니면 3주 간격으로 박사과정 콜로키움 형식을 통해 토요일 오전에 실시했다. 그리고 토론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미사성제를 봉헌하셨다. 미사성제가 끝나면 제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 자신의 박사 논문 일부분을 발표하고, 발표를 마치면 제자들 상호 간 토론을 하도록 했다. 라칭거 교수님의 지도아래 그러한 일런의 과정은 다른 유명 교수님들과도 제자공동체를 위한 학문적이고 영적인 만남으로 이루어졌다. 요셉 라칭거 교수님의 70세 되던 해에 하인릿히 슐리어, 발터 카스파 그리고 칼 라너, 그 외에 다른 개신교 신학자들 판넨 부르크와 마틴 행겔을 초대하여 담론을 펼치기도 했다.
레겐스부르크 시절에 제가 라칭거 제자공동체에 소속된 개방적이고 영적인 우정의 관계를 맺을 수 없었다면 아마 저의 신학공부는 미완성으로 남았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저는 그 길을 독일 슈발츠 발트에 있는 작은 가톨릭 학술원에서 발견했으며, 여름 방학이 되면 그곳에서 철학교수들과 신학교수들, 학생들과 그것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개방된 방식의 가족적인 만남을 통해 강의들을 듣고 토론하며, 또한 서로에게서 삶을 배우고 그리고 서로에게 정신적 영적으로 배려하는 그런 우정의 만남을 갖게 됐고 그리고 그 삶을 레겐스브르크에서 입증하게 됐다. 대학과 병행하여 그들은 많은 신학적 영적 대화를 이끌었고, 또한 부족함 없이 그러한 배움에 대한 비판적인 순간에 함께 있었고 그리고 서로를 격려하면서 그 길을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삶의 공간을 만들어 갔다.
이 모든 것은 저에게 점진적으로 새로운 고향, 즉 새로운 문화적 근거를 의미했다. 레겐스브르크는 저에게 이미 고향이나 다름 없었다. 하지만 한국의 고향으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과 과제가 주어졌다. 한국에서 특히 광주에서 이러한 노고의 결실과 만남이 저 자신의 심원한 한국문화의 뿌리에다 독일에서 배운 그리스도적 신앙에 근거한 윤리와 문화 그리고 한국의 전통문화세계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 위해서 저 자신의 모든 학문 활동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났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라칭거 교수의 제자 공동체는 스승님과 함께 거의 매년 학문적 영적 교류를 위한 만남을 갖고 있다. 제자 공동체는 2002년 4월 스승님의 75세 생신을 축하하기 위해 로마에서 “communio”라는 주제로 심포지움을 개최했다. 이 모든 것은 다 저희에게 베풀어 주신 스승님의 크신 은덕이었다. 하느님께서 갚아주시기를!
2013년 9월 제자공동체 모임에서 스승님을 마지막으로 뵙고 떠날 때 “영육의 건강을 빈다.”그리고 “이승에서 다시 만날 수 없다면 다른 세상에서 다시 만나게 될 것이다.” 라고 하신 스승님의 말씀이 아직도 마음 한 컨에 남아있는 데. 겸손과 온유함으로 약자와 소외된 자 그리고 병자들을 항상 품어 않으셨듯이 스승님은 “그분은 켜지셔야하고 나는 작아져야한다”는 것을 몸소 실천하셨다. 2021년 4월이 되면 스승님의 춘추 94세이시다. 세월은 빗겨 갈 수 없지만 그 분의 학문과 지혜 그리고 복음 삼덕(三德)은 저녁노을처럼 이 지구를 붉게 물들게 할 것이다.
1989년 9월 26일 로마방문 때 저의 스승이신 요셉 라칭거 추기경님께서는 두 권의 소중한 책을 방문 기념으로 저에게 주셨다. 그중 한 권의 책 제목이 “저 위에 있는 것을 추구하십시오.”(콜로 3,1)이다. 매년 제자 모임에서 뵈올 때마다 스승님은 ‘잠’에서, ‘밤’에서 깨어나도록 저희들의 영혼을 늘 일깨워주곤 했다. 이제 우리는 COVID-19로 절규하는 세상 속에서 사유의 전환을 새롭게 요청받고 있다. COVID-19가 인간의 무절제한 욕망을 꾸짖고, 인간의 나약함을 일깨운다. 이제 우리는 서로에게서 삶을 다시 배우고, 삶을 위해 서로를 배려해야 한다. 이 소 책자 속에 담긴 묵상 내용이 바로 그것에 답하고 있다. 스승님의 뜻을 널리 기리고자 감히 용기를 내어 번역을 시도했다. 비록 졸역이지만 365일의 묵상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행위를 실천의 길로 이어가기를 바란다.
그리고 끝으로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온갖 어려운 일을 맡아 격려와 성원으로 애써주신 존경하는 정종휴 전 주교황청 한국 대사님과 전북대학교 김동운 교수님께 이 지면을 통해 감사드립니다. 교정해 주신 출판사 편집부에도 그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광주에서 2021년 주님봉헌축일에
김정희 빅토리아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