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88964811986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14-03-18
책 소개
목차
1. 무한한 자유보다 제약된 자유가 행복을 가져다준다.
2. 투자자는 최소한 기본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한국 증시 30년의 변화 모습은 눈부신 양상이다.
4. 불확실성 높은 세계에서는 분산투자가 최고다.
5. 국내외를 대규모 외국자금이 들락거린다.
6. 대형 쇼크는 아시아 금융시장을 더 크게 뒤 흔든다.
7. 한국인은 주식보다 부동산 선호가 매우 강하다.
8. 한국 증시는 대기업의 영향력이 크다.
9. 4대재벌그룹의 주가폭락이 증시 폭락을 선도했었다.
10.한국 할인 현상은 한국경제 및 기업지배구조의 후진성에 기인한다.
11. 펀드매니저 한 명이 너무 많은 펀드를 운영한다.
12. 재벌그룹 계열 금융기관은 손쉽게 시장을 확보한다.
13. 글로벌 펀드 자금이 신흥시장으로 몰려들고 있다.
14. 미국 등 외국의 정책은 한국 증시에 즉각 영향을 미친다.
15. 한국 증시는 주가조작이 난무한다.
16. 북한 리스크는 중요한 교란요인이다.
17. 주가에 특수리스크가 반영되기 시작했다.
18. 국내증시의 변동성은 세계 최고수준이다.
19. 한국기업의 기술력 및 수익성은 낮다.
20. 한국의 주식수익률은 낮다.
21. 한국기업의 단기부채비율은 높다.
22. 한국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낮다.
23. 한국기업은 부도위험이 높다.
24. 한국증시는 정보통신기술요인에 민감하다.
25. 재벌총수 일가는 비상장 계열사를 통해 거액 배당을 챙긴다.
26. 환율과 주가는 상호 긴밀하게 움직인다.
27. 한국의 증권집단소송법은 있으나 마나한 법이다.
28. 국내외 채권시장은 우호적으로 바뀌었다.
29. 경기침체의 장기화로 상장회사 수도 최저치로 쪼그라들었다.
30. 한국증시 2006년, 2007년
31. 2013년 국내증시는 우호적이었다
32. 한, 미, 일 증시 상승기의 공통점
33. 기관투자가를 주목한다.
34. 펀드 투자의 필요 상식
35. 소형펀드의 난립이 극심하다.
36. 주식 파생상품 투자는 공격적이며 위험하다.
37. 펀드 수익률도 들쑥날쑥하다.
38. 기관투자가
39. 코스피 투자 주체의 판도 변화
40. 국부펀드
41. 국부펀드는 금융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42.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은 거대한 외화 자산을 굴리고 있다.
43. 인덱스 펀드
44. 헤지펀드
45. 사모펀드들이 국내외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46. 연기금의 기관투자자 역할은 막강하다.
47. 국민연금기금,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 공무원 연금, 군인 연금
48. 프라이빗 뱅킹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49. 펀드시장은 급속히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