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489182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3-03-05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단군 신화의 원시형에 내재(內在)한 신화적 선정성과 모성적 소통·공감 복지
1. 단군신화에 내재한 야성적 선정성: 이야기(Story)로서의 ‘신화적 선정’과 자연 중심의 ‘모성적 소통’
(1) ‘단군왕검’의 심층적 문장구조에 내재한 이야기로서의 신화적 선정이 지닌 야성적 소통/(2) 개체의식(魂)으로서의 ‘웅녀(熊女)’에 내포된 모성적·선정적 소통·공감 에너지원(源)
2. 단군신화의 원시형을 통해 본 모성적 선정(煽情)사상
(1) 고대 야성적 원시시대의 소통과 관련된 단군신화 속 주요 조어들이 지닌 선정적 의미바탕(意味相)/(2) 단군 신화의 원시형에 내재한 신화적 선정과 모성적 소통·공감 복지
제2장 ‘말’ 관련 조어(祖語) 속의 이미지 판(板)에 나타난 우리나라 고대 구 어적 선정
1. 신화적 선정의 실체에 다가가는 길
2. 조어연구가 중요시된 동기 및 연구경향의 변천, 그리고 선사시대 이미지적 선정연구에 있어 조어가 지니는 자료적 의미
(1) 초기 단계/(2) 확립단계/(3) 젊은이 문법학자시대
3. ‘말’ 관련 조어들에 내재한 신화적 선정 이미지
4. ‘말’ 관련 조어(祖語) 속에 내재한 고대인들의 소통 중심 과정(S-M-C-R-E)상의 선정관(觀)과 이미지적 선정판(煽情板)
(1) ‘말’ 관련 조어 속에 나타난 소통 중심 과정(S-M-C-R-E)상의 선정관(煽情觀)/
(2) ‘말’ 관련 조어 속에 내재한 이미지적 선정판(板)
5. ‘놀이’하는 인간인 호모 루덴스(Homo Ludens)로서의 우리나라 고대인이 지닌 ‘묻다’를 중심으로 한 선정성
제3장 언론의 선정성: 인문적 시원(始源)과 담론적 전개
1. 선정주의의 시원적(始源的) 인문성(人文性)
2. 도덕성을 일탈한 선정의 역사적 첫걸음
3. 상업주의적 선정을 둘러싼 부정적 사유 지평(地平)과 도덕논쟁
(1) 부정적 사유지평(思惟地平)/(2) 도덕논쟁/(3) 1930년대 이후 선정주의에 대한 도덕논쟁의 변화
제4장 선정주의 발생에 관한 제이론
1. 언론을 선정주의로 이끄는 제 영역
(1) 제1영역: 언론자본영역/(2) 제2영역: 도시문화영역/(3) 제3영역: 심리학적 영역
2. 선정주의에 관한 제(諸)이론
(1) 상업주의이론/(2) 도시문화이론/(3) 산업사회가 구조적으로 개인에게 부과한 심리적 좌절이론 /(4) 탈도덕적 경제이데올로기이론/(5) 익명적 소통이론
제5장 한국 언론의 선정주의
1. 시기별 선정주의의 특성
(1) 비상업적인 정치적 선정주의기(1896년~1953년)/(2) 정치적 선정주의+도덕적인 흥미본위 선정주의기(1954년~1967년)― 명목적(名目的) 상업주의기/(3) 순수 상업주의적인 도덕적+비도덕적 흥미본위 선정주의기(1968~현재까지)
2. 한국 언론의 선정주의 생성(生成)의 사회문화적 특성
제6장 한국언론의 선정주의와 사회생태체계
1. 사회생태체계론적 한국언론의 선정주의
2. 1970년대 전후 후진국형 근대화와 언론의 선정주의 … 213
(1) 후진국형 근대화와 1970년대 전후 사회체계의 선정주의 지향성/(2) 언론사의 내적 선정주의 지향성
3. 선정주의 벡터(Vector)의 사회생태체계적 통합과정
제7장 1970년대 전후 신문의 상업주의적 선정주의: 자성적 거대담론
1. 1970년대 전후 한국언론의 상업주의적 선정성
2. 상업주의적 선정주의에 대한 언론사 내적 자기 성찰의 대두
제8장 1980년대 한국언론의 친(親)정부적 · 정치적 선정주의와 그에 대한
민중적 제1차 저항운동
1. 시청료거부운동의 배경
(1) 정치적 문제산맥/(2) 경제적 문제산맥/(3) 반문화적 문제산맥
2. 시청료거부운동의 발단
(1) 1980년대 시청료거부운동의 발단/(2) 최초 TV 시청료거부운동의 시기와 이를 조직화한 단체
3. 시청료거부 범국민운동 주도세력들의 특성
(1) 종교권/(2) 신민당을 중심으로 한 제도정치권과 민추협을 중심으로 한 재야/
(3) 대학가
제9장 한국의 1980년대 TV 시청료거부운동의 확산과 시민 참여
1. 시청료거부운동의 전개― 대중적 관념지(觀念知) 형성을 위한 노력
(1) 성명서 및 전단제작·배포/(2) 스티커 제작·배포/(3) 대언론(對言論) 홍보/(4) 교육 세미나·강연회 및 기타 홍보
2. 시청료거부운동에 대한 정부의 대응
(1) KBS를 통한 정부 당국의 간접대응/(2) 보도통제를 통한 정부 당국의 직접대응
3. 시청료거부운동에 대한 국민의 참여도―대중적 실천지(實踐知)의 형성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