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6495076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12-1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달을 보는 지혜
달을 보는 지혜
마음으로 보는 세상
세상 속에서 내 존재의 의미
숲을 나서야 숲이 보인다
자존감을 가지고 살기
삶에 대한 소고
내 안의 보석을 찾아서
나를 찾아가기
가을, 그 결실의 의미
나를 변화 시키자 - 패러다임의 전환
나를 신뢰하라
내가 만드는 행복한 나의 인생
세월 속에서
제2부 멈춤 그리고 산, 숲, 나무를 봄
멈춤 그리고 산, 숲, 나무를 봄
조금 더 행복한 삶
그래, ‘그래도’로 가자
긍정적인 사고 그리고 성공하는 나
꿈, 결심 그리고 아름다운 결실
꿈을 관리하자
더불어 사는 삶
마음보기
배려하는 마음과 삶
변화하는 삶과 물의 자세
생각을 바꾸고 바라보는 또 다른 세상
우리 그리고 나
인생의 목표 그리고 도전 : 처음처럼
잘 산다는 것
지친 내 삶을 힐링하는 것들 - 사랑 그리고……
제3부 내 꿈은 남도 행복하게 만든다
내 꿈은 남도 행복하게 만든다
내 스스로 빚는 작은 행복덩어리
어제의 자신과 경쟁하라
고진감래 그리고 진정한 친구
그릇
긍정적인 마인드와 새로운 시각… 창의적인 사고로
마침표 그리고 다시보기
멀리 보며 어우러져 살아가기
생각하는 삶
성공을 위하여
세상을 보는,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
여유 혹은 여백
욕심 그리고 차 한 잔의 여유
행복하게 살아가기
행복 만들기
힘든 삶의 여정을 극복하는 방법 - 사랑 그리고 행복
제4부 오늘을 사랑하라
오늘을 사랑하라
내려다보기 그리고 내려놓기
내 삶은 ‘지금’부터
더불어 사는 세상
미완성(未完成)의 오늘, 미완성(美完成)의 내일로 만들자
배려하는 마음
산다는 게 뭔지
아름다운 사람
오늘을 지혜롭게 사는 법
지금 내 인생을 재단하라
지혜로운 인생 살기
직장과 일에서 의미있는 자신 만들기
최선의 오늘 그리고 나의 내일
해보고 후회하자
<책 속의 책>
짧은 이야기 - 낮에 나온 반달
저자소개
책속에서
시각의 편향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때로는 상대방의 입장에서 상대방이 되어서 사물을 바라보면 내가 보지 못했던 많은 것들이 보일 것이다.
가을이 깊어져 낙엽이 떨어지면 마음 한 구석이 시려지면서 괜히 쓸쓸해진다. 하지만 쓸쓸함이란 것도 내가 존재하기에 느낄 수 있는 마음의 변화인 것이다. 쓸쓸함을 즐거운 마음으로 바꾸면 곧 즐거운 마음이 그 쓸쓸함을 대체할 것이다.
- 제1부 ‘삶에 대한 소고’ 중에서
이제는 앞만 보고 달려가던 나를 잠시 멈추고 산도 보고 그 안에 숲도 보고, 그리고 나무도 보자. 가던 길을 멈추면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앞만 보고 달려가다 보면 보지 못하는 게 많다.
겨울을 지나 봄으로 가는 길목에 서보자.
언 땅을 비집고 파란 생명이 움트고 메마른 나뭇가지에 물이 오르고, 잎이 피고, 내가 밟고 있는 땅에서는 생명의 용틀임이 느껴진다. 앞만 보고 달려가다 보면 이런 잔잔한 감동을 느낄 수 있는가?
또 한 곳만 습관대로 응시하면서 가다보면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를 볼 수가 있는가?
아마 매일매일 똑 같은 풍경을 느끼면서 삶이 지루함을 느낄 것이다. 그러다 보면 매너리즘에 빠지게 되고 삶은 점점 재미가 없어질 것이다.
- 제2부 ‘멈춤 그리고 산, 숲, 나무를 봄’ 중에서
잘못 든 길이 지도를 만든다는 말이 있다. 아직 나 있지 않은 길을 가서 길을 만들어낸다는 뜻이다. 창조는 새로운 길을 내는 것이다. 가끔 절벽을 만나기도 하지만 새로운 길을 찾으려면 그런 위험을 무릅쓰는 수밖에 없다.
길을 잘못 들었다고 낙심할 것 없다. 나 있지 않은 길을 간다고 두려워할 것 없다. 절벽도 만나고 돌밭도 걷지만 그 고통과 수고 덕분에 없던 길이 생겨나고 새로운 지도가 만들어진다. 그 길, 그 지도를 따라 많은 사람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오고 간다.
우리 모두 긍정적인 마인드와 새로운 시각으로 창조의 새로운 길, 새로운 지도를 만들어 가자.
- 제3부 ‘긍정적인 마인드와 새로운 시각… 창의적인 사고로’ 중에서
노력만큼 정직한 것은 없다. 아무리 힘든 일도 노력하면 언젠가는 이루어지기 마련인 것이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철저한 계획과 용기 있는 실행의지가 필요하다. 먼저 목표를 정하고 계획하는 행위가 습관이 될 때까지,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해야 된다.
다음으로는 실행력을 높이는 것이다. 실행력을 높이는 방법은 구체적인 실행 안들을 준비할 때 가능하다. 작심삼일 한다거나, 두세 달 후, ‘아차! 목표를 세웠었지.’ 하면 안 된다. 실행력에 초점을 맞추고 노력하다보면 자연스레 집중력이 배가되고, 집중력이 배가되면 결과가 좋아진다. 작심삼일이란 나약한 의지는 자기관리에 의한 실행력을 키우다 보면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이루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든 내 의지대로 그것을 성취할 수 있다
- 제4부 ‘미완성(未完成)의 오늘, 미완성(美完成)의 내일로 만들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