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64950937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16-07-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행정의 정체성에 관한 존재론적 연구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의 제기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그 범위
제2장 연구의 준거로서의 기본적 존재 규정
제1절 ‘정재(定在, Dasein)’에서 분기되는 존재 방식
제2절 ‘상재(相在, Sosein)’에서 전개되는 범주적(範禱的) 체계
제3절 정재(定在, Dasein)와 상재(相在, Sosein)와의 관계
제3장 행정학의 발전 과정과 그 정체성에 관한 이론 전개
제1절 정체성 이론의 발전 과정
제2절 거점(Locus)과 초점(Focus)을 기준으로 한 정체성 이론
제3절 행정행동의 지배 원리를 중심으로 한 정체성 이론
제4장 행정학의 정체성(Identity)의 위기와 존재론적 비판
제1절 정체성 위기 발생의 배경
제2절 정체성 위기에 대한 제 학자들의 극복 노력
제3절 정체성 이론의 존재론적 비판
제5장 기본적 존재 규정에 의한 행정학의 정체성 모색
제1절 존재 계기로서의 정재(Dasein)와 상재(Sosein)의 적용
제2절 행정학 패러다임의 거점과 초점의 전위현상의 해결
제3절 행정학의 거점과 초점의 인식문제
제6장 결론
제2부 행정의 인식론적 오류 수정
제1장 서론
제2장 행정 인식론의 준거(準據)
제1절 근대의 인식론과 그 비판
제2절 현대의 존재적 인식론
제3장 행정에 있어 경험적 인식의 오류
제1절 기존 행정 이론의 인식론적 오류
제2절 공직자의 의식에 침투된 물화(物化)의 문제
제4장 행정에 있어 선험적(先驗的) 인식의 오류
제1절 가치의 자연론적 오류
제2절 행정 가치의 자연론적 오류
제5장 오류 수정의 기본방향
제1절 경험적 인식에 정합(整合)한 행정
제2절 선험적(先驗的) 인식에 정합(整合)한 행정
제3부 행정과 가치의 구조
제1장 서론
제2장 현대 행정의 가치 지향성
제1절 가치를 위요(圍繞)한 행정학의 발전단계
제1단계 가치중립적 행정 이론(1887~1937)
제2단계 가치개입적 행정 이론(1938~1970)
제3단계 제2의 가치중립적 행정 이론(1958~1970)
제4단계 제2의 가치개입적 행정 이론(1971~현재)
제2절 행정행동의 윤리적 성격
제3절 행정 앞에 개방된 세계
제3장 가치의 존재권역과 그 구조
제1절 가치의 존재권역
제2절 가치의 구조
제4장 행정 가치의 구조
제1절 행정 가치의 성층 및 토대관계
제2절 행정 가치의 대립 및 상보관계
제3절 행정 가치의 고저 및 강약관계
제4절 사회 완성의 당위성과 행정인의 신념체계
부록 - 존재원리(存在原理) 요지
Ⅰ. 서론
Ⅱ. 존재계기(存在契機)
Ⅲ. 존재형식(存在形式)
Ⅳ. 존재방식(存在方式)
Ⅴ. 세계의 구조와 완성세계
Ⅵ. 존재양상(存在樣相)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1절 문제의 제기
철학이 인간 행복의 조건과 본질을 추구한다면 행정은 인간의 행복을 구체화하는 수단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행정은 철학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철학13)(Philosophy in Action)이라고 할 수 있으며, 행정학은 철학의 업적을 활용하는 행정행동의 실체를 구명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환언(換言)하면 다종다양한 탐구 노력 간의 장벽을 넘는 통일된 존재 질서를 탐구하는 철학과 다종다양한 활용 노력 간의 장벽을 넘는 공통된 공공의 문제에 존재 질서를 부여하는 행정학과의 관계는 마치 기초과학과 응용과학과의 관계와 같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을 요약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은 관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첫째, 공익 실현과 공공 문제 해결을 위한 활용 대상은 특정 부분 과학이나 학문의 연구 성과에만 제한될 수 없고 주어진 세계와 제 과학적 성과의 총체가 되어야 한다.
둘째, 주어진 세계와 제 과학적 성과의 총체는 종합 과학으로서의 철학의 연구 대상인바 ‘철학사의 결실로서의 현대 철학은 존재론이 그 주종을 이루고 있고, 존재론은 세계의 실체를 그 탐구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행정학도 존재론적 기반이 불가피함으로 세계의 실체와 접속되어야 한다.
셋째, 행정학은 행정행동의 실체를 탐구 대상으로 하여 그 거점(據點)과 초점을 유지할 수 있어야 그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정체성 확보와 함께 행정학으로서의 독자성이 확보되어야 존속할 수 있다.
넷째, 행정행동은 제 과학들의 성과와 주어진 세계의 전부를 공공의 문제를 위해 활용하여야 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강력한 행동이므로, 이 점에서 세계의 실체를 구성하는 ‘기본적 존재 규정’에 의거하여 존재 질서를 잡아나가야 전부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행정학의 정체성을 확보코자 한다면 한마디로 ‘행정학의 실체는 세계의 실체에 대응할 수 있는 실체’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세계의 실체에 대응할 수 있는 실체란 실사 세계의 구조를 형성하는 기본적 존재 규정에 적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① 기본적 존재 규정이란 어떤 것인가
② 행정학의 패러다임은 어떠하기에 정체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가
③ 기본적 존재 규정을 행정학에 적합시킬 수 있는 동질성은 어떤 것인가
④ 기본적 존재 규정을 행정학의 패러다임에 적용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으며, 어떻게 적합시킬 것인가
등등의 문제가 제기된다.
- 본문 ‘제1부 행정의 정체성에 관한 존재론적 연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