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종합진료학
· ISBN : 9788964980590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8-01-10
책 소개
목차
감염증 진료 8대 원칙 1
제1장 항균제 5
▣ 페니실린(penicillin)계 5
▣ 페니실린계 경구제 10
▣ Cephem계 13
◎ 제1세대 cephem계 13
◎ 제2세대 cephem계 14
◎ 제3세대 cephem계 16
◎ 제4세대 cephem계 18
▣ Cephem계 경구제 19
◎ 제3세대 cephem계 경구제 20
▣ 그 외 β -lactam계: 모노박탐(monobactam)계 20
▣ 그 외 β -lactam계: 카바페넴(carbapenem)계 21
◎ 카바페넴계 사용을 고려해야 하는 질환 21
◎ 카바페넴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22
▣ 아미노글리코시드(aminoglycoside)계 25
◎ 신장독성(nephrotoxicity)에 대해서 26
◎ 내이독성(ototoxicity)에 대해서 26
◎ 아미노글리코시드계 사용을 고려하는 경우 26
◎ 1일 1회 투여 vs. 다회 투여 26
▣ 뉴퀴놀론(new quinolone)계 29
▣ 항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제 33
▣ 마크롤라이드(macrolide)계 37
▣ 그 외의 항균제 40
◎ 린코마이신(lincomycin)계 40
◎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계 41
◎ 글라이실사이클린(glycylcycline)계 43
◎ 니트로이미다졸(nitroimidazole)계 45
◎ 설파제(sulfonamide)계 46
◎ 그 외 47
▣ 항진균제(antifungal agent) 49
◎ 아졸(azole)계 49
◎ 칸딘(candin)계 52
◎ 폴리엔 마크롤라이드(polyene macrolide)계 53
◎ 그 외 항진균제 55
▣ 항바이러스제(antiviral drug) 56
제2장 임상에서 필요한 미생물학 최소한의 본질(minimum essence) 65
▣ 그람염색 추천 65
◎ 그람양성알균: 포도 모양 65
◎ 그람양성알균: 사슬 모양 67
◎ 그람양성막대균 73
◎ 혐기성균 74
◎ 그람음성알균 78
◎ 그람음성막대균 80
▣ 그 외 97
◎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 클라미디아(Chlamydia ) 97
◎ 칸디다(Candida spp.) 99
◎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spp.) 103
◎ Cryptococcus spp. 104
◎ 인플루엔자바이러스(influenza virus) 105
제3장 병태·장기별 감염증 치료 각론 115
▣ 발열증후군 115
◎ 불명열(fever of unknown origin) 115
◎ 중환자실(intensive care unit, ICU)에서의 발열 118
◎ 여행 후 발열 121
▣ 상기도 감염(감기와 그 외) 123
◎ 주로 비염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비염형) 124
◎ 주로 인두통이 나타나는 경우(인두염형) 124
◎ 주로 기침이 나타나는 경우(기관지염형) 126
◎ 감염병변(infection focus)이 확실하지 않은 급성 발열(기도증상이 없는 발열) 127
◎ 심경부 감염 129
▣ 호흡기감염 130
◎ 지역사회 획득폐렴 130
◎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ive pulmonary disease, COPD) 악화, 만성 기도감염 악화 138
◎ 병원성 폐렴(hospital-acquired pneumonia, HAP), 의료기관 관련 폐렴(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HCAP), 기계환기 관련 폐렴(ventilator-assoiated pneumonia, VAP) 139
◎ 폐농양, 농흉 145
▣ 요로감염 148
◎ 단순성 요로감염 148
◎ 복잡성 요로감염 151
▣ 중추신경감염 156
◎ 성인 급성세균성 뇌수막염 156
◎ 뇌실(shunt), 배액관(drain) 관련 뇌수막염 161
◎ 뇌농양 162
▣ 소화관감염 163
◎ 급성 장염(설사) 163
◎ 클로스트리듐 디피실 감염(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DI) 166
◎ 특발성세균성 복막염(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SBP) 168
◎ 속발성 복막염(소화관 천공, 충수염, 게실염) 169
▣ 간담도 감염 171
◎ 급성 담낭염(acute cholecystitis) 171
◎ 급성 담관염(acute cholangitis) 172
◎ 간농양(liver abscess) 174
▣ 순환기·혈류감염 176
◎ 감염성 심내막염 176
◎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catheter-associated blood stream infection, CABSI) 182
▣ 골∙관절감염 186
◎ 화농성 관절염 186
◎ 골수염(osteomyelitis) 188
▣ 피부연부조직의 감염 190
◎ 단독(erysipelas), 봉와직염 191
◎ 가스괴저, 괴사성 근막염 193
◎ 당뇨병성 족부괴저 194
▣ 골반염증질환(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196
▣ 열성 호중구 감소증 197
▣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203
찾아보기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