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세조선정감

근세조선정감

(구한말 지식인이 본 조선의 정세와 그 뒷이야기)

박제형 (지은이), 이익성 (옮긴이)
탐구당
17,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500원 -0% 0원
170원
17,3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세조선정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세조선정감 (구한말 지식인이 본 조선의 정세와 그 뒷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64990292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6-08-08

책 소개

탐구히스토리 시리즈. 책의 내용을 보면 박제형의 글은 주로 흥선대원군의 인물 됨됨이와 그의 정치적인 이면사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대원군의 정치적 행각은 물론 개명문화에 대한 개화파의 고뇌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대표적인 야사서이다.

목차

해제 · 5

서문 · 13
1. 헌종 붕어崩御와 철종 즉위 · 17
평설 · 22
2. 집권 전의 대원군 · 27
평설 · 33
3. 고종의 등극 경위 · 35
평설 · 39
4. 고종의 등극과 대원군의 집권 · 43
평설 · 48
5. 대원군 집권체제의 확립 · 49
평설 · 54
6. 천주교 탄압 · 55
평설 · 62
7. 대원군의 개혁과 양요洋擾 · 63
평설 · 79
8. 경복궁 중건과 내정개혁 · 91
근세조선정감 원문 · 202
근세조선정감 서序 원문 · 206

저자소개

박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字)는 이순(而純)이고 반남(潘南)이 본관이다. 본명은 박제경(朴齊絅). 1882년(고종 19년) 임오군란 후에 박영효가 수신사로 일본을 왕래할 때에 수행원의 한 사람으로 참가, 일본의 새로운 제도와 문명을 살피고 요코스카(橫須賀) 군항을 시찰하는 등 견문을 넓혔다. 귀국 후에는 박영효·김옥균 등과 함께 개화독립당의 요인으로 개화운동에 헌신하였다. 갑신정변에는 직접 거사했던 것이 갑신일록에 나타나며, 정변 거사가 실패로 돌아가자 수표교에서 민중에게 피살되었다고 전해진다.
펼치기
이익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학자. 경남 밀양 출생. 사립정진학교 졸업. 『경세유표經世遺表』, 『경제야언經濟野言』, 『곽우록藿憂錄』, 『농포문답農圃問答』, 『다산논총茶山論叢』, 『성호사설星湖僿說』, 『택리지擇里志』, 『북학의北學議』 등 많은 실학서를 번역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당초에 세도를 창설한 뜻은, 임금은 숭엄하니 신하들에게 간곡한 사정과 민간에 고통이 있어도 능히 자세하게 아뢰지 못하여 아랫사람의 사정이 위에 통하기가 어렵고, 만약 임금이 일반 관원과 접근하면 또 임금의 권위가 낮아질 듯한 연고로 세도를 만들어서 간접이 되도록 했던 것이다. 이백 년 전에는 권신權臣이 있었으나 세도라는 명칭은 없었다. 영조 때의 홍익한洪翼漢·정후겸鄭厚謙 같은 무리도 세도라고 논할 수가 없었다. 정종正宗 때에 이르러, 정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홍국영洪國榮이 보호하여, 여러 번 위험함을 겪었다. 정종이 세손世孫으로서 영조의 위位를 계승하자, 국영을 은총으로 대우하여, 드디어 정권을 맡겼는데, 이것이 세도의 시초였다.


대원군의 놀람도 또한 유예주劉豫州가 우렛소리를 듣고 젓가락을 떨어뜨리던 것과 같아서 서로서로 농락하였다. 일찍이 들으니 규재가 살았을 때에 지금 임금을 매우 사랑하여 매양 손을 잡고, 중얼거리며 선물을 줌이 많았다 하니 그 벌써 수경水鏡의 조감藻鑑 속에 들었음을 알 수 있다.


영부사領府事 김좌근金左根과 영돈령領敦寧 김흥근金興根이 유독 난색을 보이며
「이 분에게는 생부가 있다. 우리나라에 자고로 살아 있는 대원군은 없었는데, 그 아버지를 장차 어떤 자리로써 정하겠는가? 또 흥선은 성품이 좋지 못한데 만약 태상太上의 존귀함을 믿고 조정 정사를 잡아서 어지럽게 하면 반드시 국가의 큰 우환으로 될 것이니, 어찌 깊이 생각해서 거행할 것이 아닌가?」
하였다. 병기와 병국 등은 모두 비통하여 호곡號哭하며 넋 잃은 사람 같았다. 초조하게 큰 계획을 정했으나 여러 척신은 모두 팔을 걷어 올리고 각자 사심을 품고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