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65251545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5-02-25
책 소개
목차
제1부
조선 중기 『춘추』 해석의 두 가지 양상 -은공(隱公) 원년 및 11년 조목에 대한 신민일의 해석과 조익의 비평을 중심으로- / 이원석
1. 머리말
2. 은공(隱公) 원년 및 11년 조목의 해석
3. 신민일의 견해
4. 조익의 비평
5. 맺음말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시경관 연구 / 차영익
1. 서론
2. 육경 인식과 「시설」의 체계와 특징
3. 성정론
4. 『모시정전(毛詩鄭箋)』의 수용
5. 결론
송시열 춘추관 연구 / 이해임
1. 들어가는 글
2. 송시열의 정몽주 춘추관 평가
3. 송시열의 존주(尊周)와 대일통(大一統)
4. 송시열의 북벌론 : 민생 우선과 신의 확립
5. 마치는 글
하곡 정제두의 예제 인식에 나타난 문화다원론적 의의 / 한정길
1. 들어가는 말
2. 「경의(經儀)」의 체제와 내용
3. 「임술유교」에 나타난 상제례에 대한 인식
4. 국가 전례에 대한 이해
5. 맺음말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 『시경』 독법의 확장성과 다층성 / 김수경
1. 서론
2. 『시전강의(詩傳講義)』 주석상의 특징 및 병와의 『시경』 구조 인식
3. 병와 『시경』 독법의 확장성과 다층성
4. 결론
조선시대 경연에서 『서경』 「우공」편 강독의 의미 / 강경현
1. 들어가는 말
2. 『서경』 「우공」편과 조선 전기 조세 제도
3. 조선 후기 경연에서의 『서경』 「우공」편
4. 나오는 말
이만부의 『역통(易統)』과 『역대상편람(易大象便覽)』의 역학적 특징과 문화다원론적 지향 / 엄연석
1. 머리말
2. 『역통』의 편찬 동기와 형식적 구성 체계
3. 『역통』에서 제시한 일곱 가지 역의 의미
4. 『역통』에 함축된 의리역의 문화다원론적 지향
5. 『역대상편람』의 경세론과 문화다원론적 함의
6. 맺음말
제2부
한원진의 인심도심론 -‘형기’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윤상수
1. 글을 들어가며
2. 「인심도심설」
3. 권상하의 ‘형기설’
4. 역대의 인심기발⋅도심리발, 사단리발⋅칠정기발설 비판
5. 글을 나오며
조선시대 경연에서 『예기』 「악기」가 논의된 양상 -숙종⋅영조조를 중심으로- / 조정은
1. 서론
2. 조선시대 경연에서 악(樂)이 논의된 양상
3. 숙종과 영조조 경연에서 「악기」가 논의된 양상
4. 결론
이환모(李煥模)의 『서전기의(書傳記疑)』에 보이는 해석의 다양성 / 이은호
1. 서론: 이환모의 가계와 생애
2. 『서전기의』의 구성과 체계
3. 주자설과 채침설의 동이(同異)에 관한 내용
4. 현토(懸吐)와 언해(諺解)에 관한 내용
5. 결론: 18세기 조선 처사(處士)의 『서경』 읽기
두실(斗室) 이환모(李煥模)의 홍범관 연구 / 이은호
1. 서언: 18세기 조선 처사의 「홍범」독법
2. 채침설 비판과 변론
3. 주자설과 채침설의 비교
4. 이환모의 독창적 해석
5. 결언: 이환모 홍범해석의 특징
『서경(書經)』 형(刑) 개념에 관한 정조(正祖)의 이해와 적용 / 서세영
1. 서론
2. 『서경』 형(刑)에 대한 이해
3. 정조(正祖)의 형 개념 이해
4. 정조의 형 개념 적용
5. 결론
정조의 『춘추』 이해와 정치적 활용 / 이경구
1. 들어가는 말
2. 『춘추』 공부와 편찬
3. 『춘추』 이해
4. 『춘추』의 적용
5. 맺음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