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65456827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0-12-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동아시아 정세변화와 한중관계/신정승
제1부
한중관계의 평가와 전망(1992~2020)/먼홍화(?洪?)
미·중관계와 동북아 정세/샤리핑(夏立平)
미중 패권 경쟁과 한중 관계/차창훈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과 일대일로의 연계협력 방안: 한반도-중국
경제회랑 구축/원동욱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한 평가와 중국의 입장/리우밍(??)
제2부
중한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상하이-부산 간 미래 협력관계/자오홍쥔(???)
한중 경제관계와 부산-상하이 협력방안 제언/장정재
한·중 산업단지의 추진과 상하이-부산 협력/허시여우(何喜友)
상하이 물류정책 및 부산과 상하이 간 물류협력/김형근
제3부
중한 인문 교류의 역사와 상하이-부산 협력/싱리쥐(邢?菊)
일대일로와 인문교류: 부산과 상하이 교류협력 증진 방안/김태만
나가는 말: 동아시아지역주의의 새로운 모색, 동아시아시민사회의 구성/이홍규
책속에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대국들인 미국과 중국으로서는 자신들의 국익을 내세우기보다 지역이나 국제사회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북핵문제는 국제사회의 핵 비확산에 배치되는 중대한 문제이면서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상황으로 보면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에 소극적이면서 장기간 사실상의 핵보유 국가가 되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갖게 되는데 이런 점에서 미중 양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시간표 제시 그리고 검증에 대한 합의가 조속히 이루어지도록 적극 협력할 필요가 있다.
부산과 상하이는 각각 양국 수도 이외의 가장 중요한 항구 도시들로서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중국의 해상 실크로드 구상에서 각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양 도시 간의 협력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현재 부산-상하이 포럼 같은 플랫폼이 보다 활성화되고, 이를 통해 국제정세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는 물론이고 경제적, 문화적 방면에 상호 도움이 되는 실질 협력 방안을 활발하게 논의함으로써 양국 도시 간, 나아가 양국 간 우호협력 증진에 기여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한국 내에는 한반도가 미중 간 세력경쟁의 각축장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또한 한국 경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미국을 추월함에 따라서 한중 관계가 한미 관계를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 혹은 대체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져왔다. 역사적으로 강대국 사이에서 외교력으로 생존 모색의 성공적 경험이 취약했 기에 이러한 우려를 낳게 한다. 그러나 이를 양자택일의 문제로 접근한다면 한국의 선택지는 매우 제한되고 그 운신의 폭도 매우 좁아진다. 양자를 대체제로 인식하지 않고 보완제로 접근해야 하는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