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65626640
· 쪽수 : 455쪽
· 출판일 : 2017-02-25
목차
제1편 로마 가톨릭교회의 한국 선교
제1장 가톨릭 선교 이전 기독교와의 접촉 가능성
1. 경교(景敎)의 동양 선교
2. 경교(景敎)의 한국 선교 가능성
3. 고려시대 기독교와 접촉 가능성
제2장 선교 이전 가톨릭교회와의 접촉
1. 임진왜란과 천주교회
2. 조선에 첫 발을 디딘 가톨릭 성직자 - 세스페데스(Gregorio de Cespedes)
3. 중국에서 소현(昭顯)세자의 천주교 접촉
4. 유학자들의 서학(西學) 접촉
제3장 한국 천주교회의 창시
1. 이승훈(李承薰)의 영세
2. 초기 천주교 태동과 가(假)성직 시대
3. 초기 천주교회의 배교자(背敎者)들
제4장 수난 속에 생존하는 천주교회
1. 신해교난(辛亥敎難:1791) - 무군무부(無君無父)의 종교로 오인된 천주교회
2. 신유교난(辛酉敎難: 1801) - 최초의 성직자 주문모(周文護) 신부의 순교
3. 기해교난(己亥敎難: 1839-1841)
4. 병오교난(丙午敎難: 1846)
5. 병인교난(丙寅敎難: 1866-1871)
제5장 가톨릭교회의 선교 전략과 독립 교구의 설정
1. 황사영(黃嗣永) 백서(帛書) 사건 - 선교 방법론의 문제
2. 남연군(南延君) 묘소 도굴 사건
3. 정하상(丁夏祥)의 상재상서(上宰相書) - 최초의 호교문(護敎文)
4. 천주교회의 문서 사업 - 한글 보급의 공헌
제2편 개신교의 전래와 수용
제1장 선교사 이전 개신교와의 접촉
1. 조선에 처음 온 개신교인들
2. 조선에 처음 온 개신교 성직자들 - 선교의 문을 두드린 사람들
3. 외지(外地)에서 입교(入敎)한 한국인
4. 선교사 내한(來韓)을 위한 정지 작업
제2장 각 교파 선교부의 내한
1. 미국 북장로교회
2. 호주 빅토리아장로교회
3. 성공회
4. 미국 남장로교회
5. 미국 남감리교회
6. 캐나다 장로교회 - 맥켄지의 순교
7. 엘라 딩(Ella Thing) 선교단 - 침례교회의 선교
8. 러시아정교회(The Russian Orthodox Church)
9. 구세군(救世軍, The Salvation Army)
10. 초기 선교사 순교자들
제3장 선교사들의 선교 활동
1. 의료선교
2. 교육사업
3. 전도 사역
4. 성서 번역
5. 문서 사업과 찬송가의 출판
제4장 선교 정책과 교회의 성장
1. 네비어스(Nevius) 선교 정책 채택
2. 교역자 교육 문제
3. 초기 한국교회 급성장의 원인
제5장 초기 기독교 형성과 수난
1. 기독교 신앙을 수용하는 형태
2. 초기 기독교가 당한 수난들
제6장 1907년 대부흥운동과 교회연합운동
1. 대부흥운동
2. 100만 명 구령운동(救靈運動)
3. 교회 일치를 위한 노력
제7장 교회의 애국과 사회 개혁 활동
1. 교회의 애국 활동
2. 교회의 사회 개혁 활동
제3편 일제 치하의 교회
제1장 교회의 항일(抗日) 활동
1. 교회와 항일의 문제
2. 신앙운동을 통한 항일 - 나라를 위한 기도회
3. 시위와 무장투쟁을 통한 항일
4. 경제적 항일
제2장 교회의 조직과 일제의 박해
1. 한국교회의 조직
2. 교회의 수난
제3장 한국교회와 3·1독립운동
1. 운동의 기원
2. 진행 과정
3. 교회의 피해
4. 결과
제4장 1920~1930년대의 교회 상황
1. 길선주(吉善宙) 목사의 사경회
2. 김익두(金益斗) 목사의 이적 집회
3. 이용도(李龍道) 목사의 신비주의
4. 사이비 접신파(接神派)들
5. 황국주(黃國柱)의 혼음(混淫) 교리
6. 김교신(金敎臣)의 무교회(無敎會)주의
7. 최태용(崔泰瑢)의 복음교회
8. 적극신앙단(積極信仰團)
제5장 사회적 변화에 따른 교회의 대응
1. 공산주의 사상의 대두
2. 공산당에 의한 교회의 피해 - 이데올로기 비극의 서막
3. 교회의 농촌 문제 대처
4. 사회계몽운동 - 절제운동
5. 신학적 갈등 - 교회 분열의 조짐들
제6장 일본 군국주의 통치하의 교회의 시련
1. 황국신민화 정책
2. 기독교 학교에 대한 억압
3. 교회 지도자들의 굴복
4. 굴절된 교회의 모습 - 장로교회의 굴복
5. 신사참배 거부운동
제7장 교회의 마지막 변절
1. 교회의 친일 행각
2. 교회의 병합 및 통합
3. 기독교 지도자들의 친일 행각
4. 평양신학교와 조선신학교의 설립
제4편 해방 후의 한국교회
제1장 해방 후의 북한 교회
1. 교회의 재건운동
2. 조선기독교도연맹(朝鮮基督敎徒聯盟)의 출현
3. 신학교 문제
4. 교회의 와해(瓦解)
제2장 남한에서의 교회 재건
1. 남부대회의 와해
2. 장로교회의 재건
3. 감리교회의 재건
4. 성결교회의 재건
5. 침례교회(동아기독교회)의 재건
6. 구세군의 재건
7. 고려신학교의 설립
8. 장로회 경남노회와 고려파의 분립
9. 장로회신학교와 총회신학교의 설립
10. 조선신학교와 기독교장로회의 분립
제3장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
1. 전쟁 발발의 배경
2. 교회의 피해와 순교자들
3. 손양원 목사의 순교
4. 교회의 대처
제4장 1950년대 이단운동의 발흥
1. 나운몽(羅雲夢)의 용문산 기도원
2. 박태선(朴泰善)의 전도관
3. 문선명(文鮮明)의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통일교회)
제5장 장로교회의 계속된 분열-통합(統合)과 합동(合同)측의 분열
1. 분열의 도화선 - 3천만 환 사기사건
2. 경기노회 총대 사건
3. 에큐메니컬운동에 대한 신학적 대립
4. 장로회신학교와 총회신학교의 분립
5. 통합을 위한 노력
6. NAE측과 고려파의 합동, 그리고 또 분열
7. 합동측 주류와 비주류의 분열, 성경장로교회
제6장 1960년대 이후 교회와 신학의 변화
1. 토착화(土着化) 논쟁
2. 민중신학(民衆神學) 논쟁
3. 도시 산업선교
4. 1967년도 신앙고백과 신학 논쟁
5. 일본교회의 한국교회에 대한 사과
6. 복음화운동 - 삼천만을 그리스도에게로
7. 일치를 찾아가는 교회들
8. 교회의 급속한 성장
9. 유신정권에 대한 저항
10. 한국교회의 여성운동
11. 선교 제1세기의 결산
12. 종교다원주의 논란
제7장 새로운 세기에 들어서서-통일을 위한 전진
1. 남북 교류의 시작
2. 평화통일 논의의 시작
3. 평양에 첫 예배당 건립 - 봉수교회
4. 남북교회 대표 회동 - 스위스 글리옹에서
5. 통일을 위한 범종단협의체 구성
결론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