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8896570111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3-01-11
책 소개
목차
Chap 1 시작하며 : 성취감이 아니면 죽음을!
지금 하는 그 일, 행복한가요?
돈과 의미 사이의 저울질
더 이상 몰입할 수 없는 일
자유로웠던 나는 어디에?
의미 있는 직업을 찾아서
지나친 기대?
성취감의 요소와 그것을 찾는 법
Chap 2 천직을 찾기는 왜 이렇게 어려운가?
자유를 누리기란 얼마나 힘든지
너무 많은 선택지 중에서 골라야 한다
너무 이른 나이에 골라야 한다
과학적인 선택 기준이 없다
어떤 성취감을 원하는가?
Chap 3 무엇이 당신을 일하게 하는가?
우리가 일하는 다섯 가지 이유
뭐니 뭐니 해도 ‘돈’
쾌락의 쳇바퀴에서 벗어나라
사회적 ‘지위’가 자존감을 높여준다
‘지위’가 아니라 ‘존경’을 얻어라
세상에 ‘기여’하고 싶다
기회는 사방에 있다
수익과 사회적 기여를 동시에
‘열정’과 ‘재능’을 좇아서
좁고 깊게? 두루 넓게?
여러 개의 자아를 상상하라
선택지도 만들기
상상의 직업 나열하기
나만의 구직광고 만들기
Chap 4 먼저 행동하고 나중에 고민하라
새 길을 떠날 용기를 주소서
변화가 두려울 수밖에 없는 이유
1년에 30개의 직업 가져보기
근본적 안식기 갖기
가지치기 프로젝트
대화 리서치
나는 몰입한다, 고로 존재한다
Chap 5 당신의 일은 속박인가, 자유인가?
일하면서 자유를 느끼는 법
무정부주의자, 스스로 직업을 만들다
노동윤리는 잊고 적당히 게으르게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것은
당신이 아닌 사회의 딜레마
엄마에게만 맡겨진 토끼 사냥
육아를 독립된 직업으로
직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육아
얽매인 노예로 살지 말라
Chap 6 마치며 : 찾는 게 아니라 키워가는 것
여전히 두려운 이유
천직은 천천히 만들어진다
목적이 이끄는 삶
마리 퀴리와 삶의 의미
당신을 묶고 있는 밧줄을 잘라내라
더 찾아보면 좋은 자료들
리뷰
책속에서
이른바 ‘천직’에 대한 열망은 철저히 현대에 등장한 발명품이다. 1755년에 출판된 새뮤얼 존슨(Samuel Johnson)의 사전에 ‘성취(fulfillment)’라는 단어는 나오지도 않는다. 수세기 동안 사람들은 대부분 실질적인 욕구를 충족하기 바빴다. 먹고사는, 말 그대로 ‘생존’의 문제 말이다. 그런 마당에 재능을 십분 활용하고 행복을 만끽하게 해주는 흥미로운 직업인지 따질 여유가 있었을까? 직업을 행복이나 자아성취의 길로 인도하는 모험으로 여기게 된 것은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지고 심적 자유가 생기기 시작한 현대에 들어와서의 일이다.
- 27쪽, 시작하며 : 성취감이 아니면 죽음을!
영국에서는 학생의 80%가 직업에 ‘유용’하리라는 판단을 토대로 ‘A레벨(A-level)’ 과목을 선택한다. 이를테면 외국어 교사가 되고 싶은 학생은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 역사 과목을 선택한다. 그들 중 대다수는 과학 과목을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이 학생들 중 의사나 수의사가 나올 수 있을까? 뒤늦게 의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과학에 대한 기초지식부터 다시 배워야 한다. 이것보다 더 큰 문제는 ‘난 과학은 몰라’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뿌리 박혀 있기 때문에, 자신이 의사가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까지 지워버린다는 데 있다.
한편 대학에서 의학을 전공하기로 마음먹고 5~6년 동안 열심히 공부한 학생은 대부분 의사가 된다. 의사가 아닌 그래픽 디자이너나 콘서트의 세션맨(session man)이 될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 의사들이 아무리 고된 업무와 극심한 스트레스에 대해 불평해도, 다른 직업을 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 59쪽, 천직을 찾기는 왜 이렇게 어려운가?
직업이 가진 여러 요소들 중에 우리에게 만족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은 무엇일까? 사람들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을 때, ‘돈이 최우선’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실제로 컨설팅 회사인 머서(Mercer)가 유럽과 미국, 중국, 일본, 인도의 노동자 수천 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높은 월급’은 12가지 핵심요소 중 겨우 7위를 차지했다. 그들은 직장 내 인간관계의 수준, 즉 ‘존중’과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가장 중요하게 꼽았다. 마찬가지로 다른 설문조사에서도 동료들과의 좋은 관계, 일과 생활의 균형, 직업 안정성, 자율성이 돈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88쪽, 무엇이 당신을 일하게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