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65701873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4-01-2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인간, 다시 거울을 바라보다│ 르네상스 미술
레오나르도 다 빈치 + 헨델 _ 열정적인 삶을 인류애로 승화시키다
미켈란젤로 + 모차르트 _ 괴짜, 진짜가 되다
보티첼리 + 베르디 _ 욕망을 허락한 대담한 선택
라파엘로 + 부르크뮐러 _ 가만히 부르면 눈물 나는 이름, 어머니
Part 2. 서로 다름이 하나가 된 시대│ 바로크, 로코코 미술
루벤스 + 차이콥스키 _ 근면하게, 그러나 지독하게
렘브란트 + 바흐 _ 모든 작품은 자기성찰의 결과물이다
카라바조 + 사티 _ 위대한 예술은 평범한 일상에서 시작된다
Part 3. ‘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를 고민하는 시대│근대미술
고야 + 엘가 _ 인간은 누구나 이중적이다
들라크루아 + 쇼팽 _ 진정한 멀티 플레이어, 문학과 미술을 가로지르다
밀레 + 구노 _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따듯한 서정성
쿠르베 + 마스카니 _ 고단한 삶을 고스란히 표현하다
마네 + 라흐마니노프 _ 자유롭고 도시적이며 세련된 삶
드가 + 스트라빈스키 _ 다양한 관점으로 표현된 시대의 초상
세잔 + 요한 슈트라우스2세_ 사과 하나로 세상을 놀라게 하겠다
모네 + 슈베르트 _ 보이는 것 그대로 역동적이고 직관적으로
르누아르 + 슈만 _ 우리는 늘 행복한 순간을 꿈꾸며 살아간다
고갱 + 가르델 _ 스텝이 엉켜야 진정한 탱고다
고흐 + 드뷔시 _ 고통스러운 삶, 달빛 위를 거닐다
클림트 + 베토벤 _ 인생 전체를 뒤흔드는, 오직 하나뿐인 사랑
뭉크 + 비탈리 _ 불행 속에서 피어난 위대한 예술혼
Part 4. 무의미한 설명 대신 대중의 상상력으로 │ 현대 미술
칸딘스키 + 쇤베르크 _ 시대를 반영한 진화, 추상화와 무조음악
마티스 + 리스트 _ 거침없는 스케일, 압도적인 디테일
몬드리안 + 바르톡_ 극도의 단순함은 철저한 수학적 계산과 통한다
모딜리아니 + 드보르자크 _ 차오르는 눈물 속의 절제된 감정
잭슨 폴록 + 존 케이지 _ 무질서와 우연성, 예술로 승화하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헨델이 하노버 선제후의 궁정악장 시절의 에피소드입니다. 헨델은 자신을 총애하던 선제후의 허락을 받아 연주여행을 떠나게 되었지요. 이탈리아를 거쳐 영국에서의 연주여행을 성공적으로 치러낸 후 자신이 악장을 맡고 있던 하노버의 궁정악단으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선제후의 허락도 없이 영국에 아예 눌러앉는 만행(?)을 저지르지요.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2년의 시간이 흐른 뒤에 앤 여왕이 죽게 되고, 그 뒤를 이어 ‘조지 1세’라는 이름으로 영국 왕위에 오른 사람이 바로 하노버의 선제후였습니다. 궁정악단을 무단이탈한 헨델의 입장에서 보면, 선제후가 영국 왕위에 즉위한다는 사실이 정말로 난처한 일이 아닐 수 없었겠지요?
당황한 헨델은 조지 1세의 노여움을 풀어주기 위해 고민하다가 묘안을 생각해냈습니다. 바로‘음악 선물’이었습니다. 조지 1세가 템즈 강에서 뱃놀이를 할 때, 그가 탄 배 근처로 배를 띄워서 자신이 작곡한 곡을 연주한 것입니다. 그 음악을 들은 조지 1세는 아름다운 선율에 반해 이 곡을 만든 자가 누구냐고 물었습니다. 신하로부터 ‘그 곡은 바로 조지 1세 폐하를 위해 헨델이 작곡한 음악’이라는 말을 전해 듣고 ‘이렇게 아름다운 음악을 작곡한 사람이라면 예전의 실수를 용서할 수밖에 없겠다’고 이야기하며 헨델과의 앙금을 털어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 레오나르도 다 빈치 + 헨델 _ 열정적인 삶을 인류애로 승화시키다
루벤스의 장대하고 남성적인 스케일의 작품 성향과 맞는 음악 작품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가장 먼저, 영국인의 콧대를 세워 준 작곡가라고 할 수 있는 에드워드 엘가Edward Elga의 「위풍당당 행진곡」이 떠오르네요. 1901년 작곡된 엘가의 「위풍당당 행진곡」은 ‘제2의 영국 국가’라고 불릴 만큼 영국인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고 있는 곡입니다. 고전 시대부터 낭만주의 시대를 거쳐 오며 모차르트, 베토벤, 쇼팽, 라흐마니노프 등 위대한 작곡가들이 많이 탄생했지만, 그중에 영국 출신은 거의 없다는 것을 눈치 채고 있었나요? 바로 그 점에 은근히 자존심을 구겨 오던 영국에, 에드워드 엘가는 혜성처럼 등장한 작곡가였지요. 특히 이 「위풍당당 행진곡」은 영국인들의 콧대를 한껏 세워 주게 됩니다. (...) 대관식에 연주되었던 곡이라는 ‘프리미엄’이 생긴 덕분인지, 이 곡은 현재 영국은 물론 미국의 거의 모든 대학의 졸업식에서 단골로 연주되고 있습니다.
- 루벤스 + 차이콥스키 _ 근면하게, 그러나 지독하게
하지만 에릭 사티와 수잔 발라동은 둘 다 굉장한 ‘매력남’과 ‘매력녀’였기에 성격 또한 대단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달콤한 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고 해요. 서로 한 치도 양보하지 않으니 다툼이 점점 잦아지고, 급기야는 크게 싸워서 수잔이 아파트 난간에서 뛰어내리는 사건까지 벌어집니다. 스케일도 크게 싸웠나 봅니다. 물건을 집어던진 것도 아니고 자기 몸을 던져 버리다니 말이지요.
천만다행으로 수잔이 크게 다치지는 않았지만, 이 사건 때문에 두 사람은 헤어지게 되고, 사티는 일생 동안 다시는 연애를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티의 사후에 그의 방에서는 일생 동안 수잔에게 쓴 보내지 못한 편지들과 사티가 그린 수잔의 초상화, 수잔이 그려준 사티의 초상화 등이 나왔다고 전해집니다. 평생 동안 간직했던 처음이자 마지막 사랑에 대한 흔적들이었습니다. 이토록 가슴 깊이 그녀를 사랑했던 사티는 단 한 번의 행복한 연애시절 동안 「난 널 원해」라는 곡을 만들었습니다. 사랑에 빠진 자신의 지극한 행복을 음악으로 표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카라바조 + 사티 _ 위대한 예술은 평범한 일상에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