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6570898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9-12-23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당신의 고민, 철학자가 해결해드립니다
Ⅰ. 일
[아리스토텔레스]
“먹고사는 문제 때문에 늘 불안해요”
지금에 충실해야 다음이 있다
[앙리 베르그송]
“왜 항상 시간에 쫓기면서 사는지 모르겠어요”
획일화된 시간 감각을 의심하라
[막스 베버]
“돈에 집착하는 게 그렇게 나쁜 건가요?”
부의 추구와 성취는 ‘소명’에 충실한 결과이다
[르네 데카르트]
“하고 싶은 일을 실행에 옮길 용기가 나지 않아요”
하나의 목표도 작은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질 들뢰즈]
“회사를 그만두고 싶지만 그만둘 수가 없어요”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를 이탈하는 법
Ⅱ. 자존감
[붓다]
“별것 아닌 일에도 자꾸만 긴장이 돼요”
명상을 통해 ‘마음 근육’ 키우기
[장 폴 사르트르]
“제 외모가 너무 마음에 안 들어요”
‘본질’을 부정하고 ‘실존’을 살기
[프리드리히 니체]
“힘들었던 과거의 기억에서 벗어날 수 없어요”
지나가라, 그러나 또다시 내게 오라!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자꾸만 남과 나를 비교하게 돼요”
몰입할 수 있는 과제를 찾아 흠뻑 빠져라
[자크 라캉]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고 존중받고 싶어요”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지 않는 법
[존 스튜어트 밀]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것도 이젠 지겨워요”
나를 존엄하게 만들어줄 욕망의 목소리
[토머스 홉스]
“터무니없는 상상, 막연한 불안감에 시달려요”
편집광만이 살아남는다
[미셸 푸코]
“남의 시선을 신경 쓰느라 제 일을 못 해요”
살고 싶은 대로 살기에도 인생은 짧다
Ⅲ. 관계
[알프레드 아들러]
“가끔씩 무시당하는 기분이 들 때가 있어요”
나의 과제와 타자의 과제를 분리하라
[베네딕투스 데 스피노자]
“꼴 보기 싫은 상사와의 관계가 불편해요”
외부의 충격을 버텨내는 태연자약한 태도
[한나 아렌트]
“한집에 사는 가족인데 너무 미워요”
상처로부터 모두가 해방되는 길, 용서
Ⅳ. 연애와 결혼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사랑하는 사람과 사소한 일로 자주 다퉈요”
나와 당신의 입장을 덜어내고 ‘우리’가 되는 법
[임마누엘 칸트]
“연인을 두고 다른 사람과 사랑에 빠졌어요”
이성이 주는 해방감
[지그문트 프로이트]
“소중한 사람을 잃은 아픔에서 벗어날 수 없어요”
온전히 슬퍼하는 것이 치유력을 발휘한다
Ⅴ. 인생
[도겐]
“왜 우리의 삶은 쳇바퀴 돌 듯 똑같을까요?”
사소한 일들이 일상에 가져다주는 기쁨
[대니얼 카너먼]
“어떤 선택이 옳은 것인지 망설여져요”
직관의 목소리를 경계하라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가끔씩 너무 외롭다고 느껴져요”
내면을 깊이 일구는 법
Ⅵ. 죽음
[소크라테스]
“앞으로 살날이 얼마나 더 남았을까요?”
철학으로 죽음 연습하기
[마르틴 하이데거]
“이 고달픔은 언제쯤 끝나나요?”
시련이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시도 때도 없이 자살 충동에 사로잡혀요”
죽고 싶은 만큼 살고 싶었다
맺음말
리뷰
책속에서
날마다 ‘지금 이 순간’에 열중하고 몰두하는 사람에게는 정해진 궤도가 없습니다. 이런 남다른 사람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그 가치를 알아볼 사람 역시 반드시 존재합니다. 에네르게이아적인 생활을 이어나간다면 어느샌가 먹고사는 고민에서 자유로워질 것입니다. ‘지금’에 충실해야 ‘다음’이 있습니다.
_ 아리스토텔레스, 먹고사는 문제 때문에 늘 불안해요
현대인은 종이 위에 선을 그어 시간에 구획을 짓고 ‘공간적’으로 관리합니다. 또한 ‘누구에게나 천편일률적으로 흐르는 객관적인 시간’을 아무런 의심 없이 상식으로 여기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베르그송은 “시간에 대한 상식에 얽매여 우리는 본래의 참된 시간, 진정한 자유를 너무나 간단히 내팽개치고 있다”면서 현대인의 시간 활용 방식을 날카롭게 비판합니다. ‘시간에 쫓겨 자아를 상실할 것’ 같다면 잠시 하던 일을 내려놓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런 날만큼은 아무 목적 없이 자신이 좋아하는 일만 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입니다. 읽고 싶은 책이나 보고 싶은 영화들을 섭렵하고 미지의 흥밋거리를 찾아 자유로이 배회할 수도 있겠죠. 진정으로 자유로운 시간이란 지극히 주관적인 시간입니다. 이런 시간을 보낼 때 우리는 타인이 통보한 일정으로 스케줄을 무작정 채울 때보다 농밀하고 내면이 무르익는 시간을 맛보게 될 것입니다.
_ 앙리 베르그송, 왜 항상 시간에 쫓기면서 사는지 모르겠어요
원대한 꿈을 그리는 일은 굉장한 의욕을 필요로 하는 근사한 도전이지만 자칫 말뿐인 계획에 그칠 공산도 크지요. 하지만 열의를 가지고 목표를 잘게 쪼개 몰두했을 때 어렴풋하던 꿈이 선명하게 보이기 시작합니다.
하나하나가 커다랗지는 않지만 확실한 결과와 성과가 드러나는 보람찬 작업이 됩니다. 인생이 지금보다 즐거워지리란 예감이 피부로 와닿게 되죠. 비현실적인 목표라고 해도 이를 능력껏 소화할 수 있는 크기까지 작게 쪼개는 방법이 바로 데카르트식 접근법입니다.
_ 르네 데카르트, 하고 싶은 일을 실행에 옮길 용기가 나지 않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