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마이크로프로세서
· ISBN : 9788966188093
· 쪽수 : 908쪽
· 출판일 : 2014-10-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추천사
베타테스터의 말
Q&A
|첫째마당| IT 인프라의 변화와 클라우드 및 가상화 기술의 접목
1장. IT 인프라의 트렌드, 클라우드
1.1 가상화 기술의 등장
1.2 가상 컴퓨터의 증가와 관리 범위 확장, 프로세스 자동화
1.3 클라우드의 진정한 의미
1.4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 인프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모호한 동거
1.5 Microsoft와 클라우드
1.6 결론
2장. Hyper-V 아키텍처
2.1 가상화의 종류
- 서버 가상화
- 데스크톱 가상화
- 프레젠테이션 가상화
-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
2.2 서버 가상화의 종류
- 호스트 기반 가상화
- 전체 가상화
2.3 Hyper-V 아키텍처
|둘째마당| 클라우드를 향한 탄탄한 기초, Hyper-V 기본
3장. Hyper-V의 기초와 설치
3.1 Hyper-V 설치 유형 결정하고 설치하기
- 전체 설치 버전
- 코어 버전 설치
3.2 Hyper-V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 전체 설치 버전의 Hyper-V
- 코어 버전의 Hyper-V
3.3 코어와 전체 설치 버전 변경하기
- 전체 설치 버전에서 코어 버전으로 변경
- 코어 버전에서 전체 설치 버전으로 변경
4장. Hyper-V 가상 하드 디스크
4.1 Hyper-V에서 지원하는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
4.2 고정 크기 vs 동적 확장 vs 차이점 보관용 vs 실제 하드 디스크
- Hyper-V I/O 기본 처리 아키텍처
4.3 가상 하드 디스크 편집 및 검사하기
- VHD(X) 파일의 최대 용량 확장
- 차이점 보관용 가상 하드 디스크와 부모 가상 하드 디스크 합치기
5장. Hyper-V 네트워크 기초
5.1 가상화 네트워크의 첫 걸음, 네트워크 기초 익히기
-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5.2 가상화 네트워크 한 걸음 더, Hyper-V 가상 스위치
6장. Hyper-V 가상 컴퓨터 생성과 초기 구성
6.1 Hyper-V 설정 둘러보기
- 가상 하드 디스크와 가상 컴퓨터
- 실제 GPU
- NUMA 스패닝
- 실시간 마이그레이션과 저장소 마이그레이션
- 고급 세션 모드 정책
- 복제 구성
- 키보드
- 마우스 릴리스 키
- 고급 세션 모드
- 확인란 원래대로 설정
6.2 Hyper-V에서 가상 컴퓨터 만들기
6.3 가상 컴퓨터 설정 살펴보기
- 하드웨어 추가
- BIOS
- 펌웨어
- 메모리
- 프로세서
- IDE/SCSI 컨트롤러
- 하드 드라이브
- 고급 기능
- 네트워크 어댑터
6.4 가상 컴퓨터 내 운영체제 설치 및 초기 구성
- 운영체제 설치
- 통합 서비스 패키지
6.5 가상 컴퓨터 템플릿
- Windows Server 2008 이후 버전
- Windows Server 2008 이전 버전
- 생성해놓은 VHD(X) 파일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적용
7장. Hyper-V 가상 컴퓨터 운영하기
7.1 가상 컴퓨터 연결 콘솔
7.2 가상 컴퓨터 검사점
7.3 가상 컴퓨터 내보내기/가져오기
- 가상 컴퓨터 내보내기
- 가상 컴퓨터 가져오기
7.4 운영 도중 가상 하드 디스크의 크기 변경하기
- 가상 하드 디스크 용량 늘리기
- 가상 하드 디스크 용량 줄이기
7.5 Active Directory와 도메인 컨트롤러 가상 컴퓨터 복제하기
- Active Directory의 도메인 컨트롤러 기본 동작 구조
- DC 복제를 진행하기 위한 가상 컴퓨터 템플릿 생성
7.6 Hyper-V 관리자의 역할 기반 접근 제어
|셋째마당| Hyper-V 고급: 가상화 기술을 넘어, 클라우드를 향해서
8장. Windows Server Hyper-V와 스토리지
8.1 스토리지 용어의 의미
8.2 Hyper-V와 스토리지 유형 선택하기
8.3 Hyper-V 실제 호스트 서버와 iSCSI 형태의 스토리지 연결
8.4 Hyper-V 실제 호스트 서버와 FC 형태의 스토리지 연결
8.5 가상 컴퓨터에서 스토리지 사용하기
- 가상 FC SAN 생성
8.6 Windows Server 파일 서버 스토리지에 대한 이해
8.7 Windows Server 파일 서버 스토리지 구축
- 가상 디스크 생성
8.8 Windows Server 파일 서버 스토리지의 고가용성 구축
- 스케일 아웃 파일 서버 아키텍처
- 결론
9장. 고가용성 및 재난 복구
9.1 Windows Server 클러스터를 살펴보기 전에 알아야 기본 개념
9.2 Windows Server 클러스터 설치 및 기본 구성
9.3 쿼럼? 정족수? 클러스터 내 투표자
9.4 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구성
9.5 클러스터 내 일반 디스크와 클러스터 공유 볼륨
9.6 가상 컴퓨터 고가용성 설정하기
9.7 Hyper-V 내 가상 컴퓨터에 대한 고가용성 고급
9.8 가용성 집합 = 오류 도메인 = Anti-Affinity
9.9 클러스터 인식 업데이트
9.10 Hyper-V 내 가상 컴퓨터의 가상 하드 디스크 파일 이동
9.11 재난 복구를 위한 Hyper-V 복제
9.12 결론
10장. System Center 2012 R2 Virtual Machine Manager 설치 및 기본 구성
10.1 System Center 소개
- System Center Virtual Machine Manager
- System Center Operations Manager
- System Center Data Protection Manager
- System Center Orchestrator
- System Center App Controller
- System Center Service Manager
- System Center Configuration Manager 및 System Center Endpoint Protection
10.2 SCVMM 설치 요구 사항 준비 및 설치
10.3 SCVMM에 인프라 서버 등록
10.4 SCVMM에 저장소 등록
10.5 SCVMM에 가상 스위치(네트워크) 기본 구성
10.6 가상 컴퓨터의 기본 생성
10.7 결론
11장. Hyper-V 네트워크 고급
11.1 가상화 흐름에서 멀티 테넌트
11.2 네트워크의 논리적인 분할 VLAN
11.3 Hyper-V 가상 스위치의 확장 및 흐름 제어
11.4 Hyper-V 네트워크 성능 고려: SR-IOV, vRSS, VMQ
11.5 Hyper-V 가상 스위치의 중앙 관리, 논리 스위치와 포트 프로필/분류
11.6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네트워크 가상화
11.7 네트워크 가상화 게이트웨이
11.8 결론
12장. System Center Virtual Machine Manager(SCVMM) 응용 및 셀프 서비스 포탈
12.1 템플릿 및 프로필의 개념
- 템플릿
- 프로필
12.2 하드웨어 프로필 및 게스트 OS 프로필, 기본 VM 템플릿 생성
12.3 응용 프로그램 프로필, SQL Server 프로필을 통한 고급 VM 템플릿의 생성
12.4 SCVMM을 통한 부하/전원 분산 최적화
12.5 VMware ESX,ESXi Server/Citrix XenServer와의 연동
12.6 사설 클라우드 생성과 사용자 권한 할당하기
12.7 System Center App Controller를 통한 셀프 서비스 포탈 생성
12.8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