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6801442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책속에서
지역방송은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획, 제작, 송출 등 모든 과정에서 열악한 현실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그동안 지역방송의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지역방송에 대한 정책은 세부 분야별로 분산되어 제시되어 왔으며, 실제 정책의 시행과 개선도 부분적으로만 이뤄져 왔다. 지역방송이 현재보다 더 나은 여건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방송을 둘러싼 정책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_<머리말> 중에서
오늘날의 지역은 객관적인 실체로 존재한다기보다는 구성원이나 관련 주체들에 의해 주관적으로 구성되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지역언론은 지역의 행정 및 정책 추진 과정을 주민들에게 알리고 기관의 업무 활동을 감시하며 지역민의 여론을 수렴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지역언론은 지역의 정보를 유포, 확산함으로써 기존의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며 때로는 고유의 정체성을 갖지 못한 지역의 주민들에게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 부각시켜 지역 정체성을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지역성은 지역방송으로 마땅히 갖춰야 할 정체성과도 같다. 지역성은 지역방송이 존재하는 이유다.
_<01 지역방송의 지역성> 중에서
미디어 소유 규제 완화로 방송시장에 다양한 자본이 투입됨으로써 복합 거대 미디어 기업의 탄생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자본 측면에서 경쟁우위를 보이고 있는 거대 사업자가 광고 등의 자원 획득에 우위를 확보하는 구조가 형성되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좁은 지역에서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인 지역방송은 경영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지역방송은 대부분의 광고 자원을 중앙 네트워크에 의존하고 있어 자원 확보의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더 커졌다.
_<03 미디어 소유 규제 완화와 지역방송>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