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새로운 방송론](/img_thumb2/9791128804656.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04656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17-03-10
책 소개
목차
개정판 머리말
머리말
01 방송이란 무엇인가
1. 방송의 개념
2. 방송의 철학과 이념
3. 방송 제도와 유형
02 방송은 어떻게 발전하고 있나
1. 방송의 발달 과정
2. 방송의 발달과 프로그램 전달 과정
3. 방송 매체의 발전 추세
03 편성과 제작은 누가 어떻게 하나
1. 방송 프로그램이란
2. 편성의 중요성
3. 프로그램의 실제 편성
4. 프로그램 제작
04 방송 산업의 구조와 특징은 무엇인가
1. 방송 산업의 구조 및 특징
2. 지상파방송의 재원과 수익 구조
3. 유료 방송 플랫폼의 현황과 수익 구조
4. 유료 방송 채널과 수익 구조
5. 방송 광고 산업의 구조
6. 미디어 산업의 세계화와 사업 다각화 전략
7. 새롭게 떠오르는 미디어 서비스
05 방송 산업은 왜, 어떻게 규제하나
1. 방송 규제의 목적과 유형
2. 방송 산업에 대한 진입 규제
3. 방송 산업에 대한 소유 규제
4. 방송 산업에 대한 내용 규제
5. 방송 산업에 대한 행위 규제
6. 새로운 유형의 영상서비스 등장과 규제 형평성
7. 방송 정책 및 규제 관련 기관의 현황과 역할
06 방송의 기능과 효과는 무엇인가
1. 방송의 기능과 효과
2. 방송과 한류
07 방송과 정치는 어떤 관계인가
1. 한국 사회에서 방송의 정치적 독립
2. 선거와 방송
3. 남북한 방송 교류
08 시청자는 누구인가
1. 시청자란
2. 시청자의 방송 이용 행태 변화
3. 시청자 주권과 시청자 운동
4. 좋은 방송 만들기를 위한 방송 정책들
책속에서
방송의 이념과 철학은 공공성과 공익성으로 규정할 수 있다. 방송의 공공성은 방송 매체가 사적인 매체가 아니고 공적인 매체라는 관점이다. 방송의 공익성은 방송이 사익에 기여하기보다는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라는 의미다. 방송의 공공성이 방송의 존재 형태라면 방송의 공익성은 방송의 존재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방송은 항상 공공성과 공익성을 띠며 시청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01 방송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최근 디지털 방송 기술 발달에 따라 다수의 신규 방송 미디어가 등장하고,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어 방송의 가치 사슬이 변화하고 있다. 나아가 다수의 신규 방송 매체와 서비스의 등장으로 방송 매체의 경쟁이 증가하고 있으며, 위성 방송과 인터넷 방송의 발전으로 방송의 국제화와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방송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방송 매체는 단순 시청형에서 정보 선택형으로 발전하고 있고, 궁극적으로는 정보 창조형 방송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02 방송은 어떻게 발전하고 있나’ 중에서
프로그램의 기획, 발굴에서부터 주간, 계간, 연간 편성으로 이어지는 프로그램 배열과 시청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프로모션, 이들 과정 전반에 대한 평가 작업에 이르기까지가 편성이 하는 일이다. 편성을 통해 방송사들이 추구하는 목표는 경쟁력과 수익성, 방송사 이미지 제고의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방송사가 경쟁력과 수익성,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구사하는 실질적인 편성 전략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실제 방송사별 편성표를 통해 알아본다. 또한 케이블이나 위성 방송의 전문 편성 채널에서 새로이 부상하는 편성 전략도 함께 다룬다.
‘03 편성과 제작은 누가 어떻게 하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