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새로운 방송론

[큰글씨책] 새로운 방송론

(2017년 개정판)

정인숙, 한진만, 주정민, 박은희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900원
29,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새로운 방송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새로운 방송론  (2017년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04656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17-03-10

책 소개

방송 환경의 변화에 따른 급격한 방송 산업 재편 양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기존 방송 교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저자들은 방송 산업과 시청자라는 큰 틀 속에서 방송의 태동부터 현황, 나아가야 할 방향까지 명쾌하게 정리하고 있다.

목차

개정판 머리말
머리말

01 방송이란 무엇인가
1. 방송의 개념
2. 방송의 철학과 이념
3. 방송 제도와 유형

02 방송은 어떻게 발전하고 있나
1. 방송의 발달 과정
2. 방송의 발달과 프로그램 전달 과정
3. 방송 매체의 발전 추세

03 편성과 제작은 누가 어떻게 하나
1. 방송 프로그램이란
2. 편성의 중요성
3. 프로그램의 실제 편성
4. 프로그램 제작

04 방송 산업의 구조와 특징은 무엇인가
1. 방송 산업의 구조 및 특징
2. 지상파방송의 재원과 수익 구조
3. 유료 방송 플랫폼의 현황과 수익 구조
4. 유료 방송 채널과 수익 구조
5. 방송 광고 산업의 구조
6. 미디어 산업의 세계화와 사업 다각화 전략
7. 새롭게 떠오르는 미디어 서비스

05 방송 산업은 왜, 어떻게 규제하나
1. 방송 규제의 목적과 유형
2. 방송 산업에 대한 진입 규제
3. 방송 산업에 대한 소유 규제
4. 방송 산업에 대한 내용 규제
5. 방송 산업에 대한 행위 규제
6. 새로운 유형의 영상서비스 등장과 규제 형평성
7. 방송 정책 및 규제 관련 기관의 현황과 역할

06 방송의 기능과 효과는 무엇인가
1. 방송의 기능과 효과
2. 방송과 한류

07 방송과 정치는 어떤 관계인가
1. 한국 사회에서 방송의 정치적 독립
2. 선거와 방송
3. 남북한 방송 교류

08 시청자는 누구인가
1. 시청자란
2. 시청자의 방송 이용 행태 변화
3. 시청자 주권과 시청자 운동
4. 좋은 방송 만들기를 위한 방송 정책들

저자소개

정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거쳐 고려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와 청운대학교 방송영상산업학과에 재직하였으며,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한국언론학회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커뮤니케이션핵심이론>(2023, 개정판, 공저), <미디어플랫폼의 이해 - 방송에서 메타버스까지>(2022), <새로운 방송론>(2017, 공저), <뉴미디어 뉴커뮤니케이션>(2014, 공저), <현대매스미디어의 이해>(2004, 공저), <방송산업과 정책의 이해>(2002)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코로나19가 국내 영화 VOD 공급구조에 가져온 변화와 함의 : 홀드백 구조 변화와 갈등이슈를 중심으로”(2021), “글로벌 OTT의 확산에 따른 미래 예측과 정책 대응”(2020), “방송정책의 ‘사회적 가치’ 구현에 대한 평가”(2019), “방송법 개정 역사를 통해 살펴본 ‘방송정책수단’의 변화와 함의분석”(2018) 등이 있다.
펼치기
한진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 취득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 역임 방송위원회 방송편성정책자문단 단장 역임 한국방송학회 회장 역임 방송통신위원회 지역방송발전위원회 위원 역임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강원중재부) 역임 강원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겸 정보과학대학원장 역임 KBS 이사 역임 현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주요 논저 「한국 텔레비전 내용의 다양화에 대한 연구」(1989) 「방송환경 변화와 지상파 텔레비전 편성의 다양성 변화」(2010) 「종합편성채널의 편성 변화」(공저, 2016) 『21세기 한국방송의 좌표』(공저, 2002) 『한국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역사적 연구』(공저, 2004) 『디지털 방송 미디어론』(공저, 2005) 『디지털 시대의 방송편성론』(공저, 2006) 『한국방송 80년, 그 역사적 조명』(공저, 2008) 『방송학 개론』(공저, 2008) 『방송편성의 이론과 실제』(공저, 2011) 『새로운 방송론』(공저, 2017) 외 다수
펼치기
주정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 연구원과 한국방송학회 지역방송연구회장, 광주전남언론학회장을 지냈다. 방송통신위원회 지역방송발전위원, 방송평가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방송통신 융합과 지역방송』(공저, 2006), 『방송영상미디어의 이해』(공저, 2007),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방송통신정책』(공저, 2011), 『공영방송의 이해』(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박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신문방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개발원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위원장, 한국방송학보 편집위원장을 지냈다.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평가위원, 방송분쟁조정위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이사로 활동했다. 저서로 『디지털 마니아와 포비아』(공저, 2005), 『소셜 미디어 연구』(공저, 2012), 『언론학 교육의 혁신 모델』(공저,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방송의 이념과 철학은 공공성과 공익성으로 규정할 수 있다. 방송의 공공성은 방송 매체가 사적인 매체가 아니고 공적인 매체라는 관점이다. 방송의 공익성은 방송이 사익에 기여하기보다는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라는 의미다. 방송의 공공성이 방송의 존재 형태라면 방송의 공익성은 방송의 존재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방송은 항상 공공성과 공익성을 띠며 시청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01 방송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최근 디지털 방송 기술 발달에 따라 다수의 신규 방송 미디어가 등장하고,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어 방송의 가치 사슬이 변화하고 있다. 나아가 다수의 신규 방송 매체와 서비스의 등장으로 방송 매체의 경쟁이 증가하고 있으며, 위성 방송과 인터넷 방송의 발전으로 방송의 국제화와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방송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방송 매체는 단순 시청형에서 정보 선택형으로 발전하고 있고, 궁극적으로는 정보 창조형 방송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02 방송은 어떻게 발전하고 있나’ 중에서


프로그램의 기획, 발굴에서부터 주간, 계간, 연간 편성으로 이어지는 프로그램 배열과 시청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프로모션, 이들 과정 전반에 대한 평가 작업에 이르기까지가 편성이 하는 일이다. 편성을 통해 방송사들이 추구하는 목표는 경쟁력과 수익성, 방송사 이미지 제고의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방송사가 경쟁력과 수익성,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구사하는 실질적인 편성 전략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실제 방송사별 편성표를 통해 알아본다. 또한 케이블이나 위성 방송의 전문 편성 채널에서 새로이 부상하는 편성 전략도 함께 다룬다.
‘03 편성과 제작은 누가 어떻게 하나’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