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6809790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3-05-03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서론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50년의 역사적 의의
시기 구분
주요 활용 자료
1부 서울대학교 신문연구소의 설립과 활동
사진으로 보는 초창기 연구소 활동(1963~1975)
01 신문연구소 설립 이전 한국 언론학 연구와 교육
일제 강점기에서 1950년대 한국의 언론학 연구와 교육
1960년대 한국의 언론학 연구와 교육 상황
02 서울대학교 신문연구소의 설립과 초기 활동: 동숭동 시기 1(1963년 3월 1일∼1968년 2월 28일)
신문연구소의 설립 목적과 설립 과정
신문연구소의 교육 활동
신문연구소의 연구 활동
학술 세미나 등 기타 활동
요약
03 신문대학원 부설 연구소로의 연구 기능 확대: 동숭동 시기 2(1968년 3월 1일∼1975년 2월 28일)
신문대학원 설립과 신문연구소의 조직 개편
연구 활동
기자 재교육
아시아신문재단 독자연구조사센터 운영
요약
2부 전문 연구소의 출발
사진으로 보는 연구소 활동(1975∼1995)
04 연구 기능의 분화와 모색: 관악캠퍼스 7동 시기 1(1975년 3월 1일∼1985년 2월 28일)
시대 개관과 신문연구소의 제도적 변화
연구 활동의 분화와 새로운 모색
국민생활시간조사: 최초의 대규모 정기 조사
언론인 재교육 기능의 복원
요약
05 연구소의 역할 재정립기: 관악캠퍼스 7동 시기 2(1985년 3월 1일∼1995년 2월 28일)
시대 개관과 신문연구소
학술 활동
연구 및 출판 활동
요약
3부 국제 교류의 모색과 최우수 연구소로의 도약
사진으로 보는 연구소 활동(1995∼현재)
06 연구소 기능의 다양화와 국제 교류의 모색: 관악캠퍼스 16동 시기 1(1995년 3월 1일∼2005년 2월 28일)
시대 개관과 언론정보연구소의 변화
학술 활동의 활성화
연구 활동
한국의 대표적 해외 PR 및 해외 기자 재교육 프로그램: SNU-LG 프레스
펠로십의 개최(1997∼현재)
요약
07 최우수 연구소로의 도약: 관악캠퍼스 16동 시기 2(2005년 3월 1일∼2013년 2월 28일)
시대 개관과 언론정보연구소의 변화
언론정보연구소 학술지 학진 등재 추진과 등재지 선정
학술 활동의 정례화와 연구 지원 체계의 정비
국제적 학술 교류의 활성화
요약
맺음말
부록
연구소 연혁
연구소 규정 변천
연구소 기구 변천
역대 연구소장, 조교 및 연구원 명단
≪신문연구소학보≫ 및 ≪언론정보연구≫ 총목차
주요 학술 행사
연구소 자료실 소장 문헌(2013년 2월 28일 기준)
용역보고서 및 연구소 간행물 목록
SNU-LG 펠로십 참가 해외 언론인 명단
주요 참고문헌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50년사 간행위원회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울대학교에 신문연구소 설립 추진
1961년 5·16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군사정부는 언론을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한편으로 언론의 사회적 윤리와 책임을 강조하면서 언론을 기업으로서 육성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4·19 이후 제2공화국 정부가 무제한적으로 언론의 자유를 허용하면서 사이비 언론, 사이비 신문기자들이 크게 늘어나 신문에 대한 신뢰가 많이 떨어지고, 비리의 온상이 되어 오히려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다. 박정희 군사정부는 이런 언론계 현실을 바로잡으면서, 정부의 원활한 정책 추진을 위해 언론을 적극 동원하고자 했다. 언론인의 품위와 자질 향상을 위해 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 아래 박정희 정부의 언론 정책의 일환으로 서울대학교에 신문연구소 설립이 추진되었다.
_ <1장 신문연구소 설립 이전 한국 언론학 연구와 교육> 중에서
신문대학원 설립의 사회적 요청
서울대학교 신문연구소를 신문대학원으로 승격시킬 방침으로 문교부와 공보부가 서울대학교 설치법과 대학정원령 등 관계 법령 개정을 본격적으로 검토했다. 신문연구소 연구생들이 정규 석사과정으로의 승격을 열망한 것처럼, 연구소가 본격적인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 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케 하기 위해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설치하고 있는 ‘School of Journalism’의 체제와 기능을 갖춘 신문대학원으로 발전
시킨 것이다.
_ <3장 신문대학원 부설 연구소로의 연구 기능 확대: 동숭동 시기 2> 중에서
SNU-LG 프레스 펠로십 프로그램
1995년 12월 LG상남언론재단의 이사가 되었던 추광영 교수의 제안으로 이 프로그램은 LG상남언론재단과 공동 주관해 1997년부터 ‘SNU-LG 프레스 펠로십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정례화되어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었으며, 2012년까지 총 16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된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 언론인 재교육 프로그램이자 해외 PR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_ <6장 연구소 기능의 다양화와 국제 교류의 모색: 관악캠퍼스 16동 시기 1>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