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트위터란 무엇인가

트위터란 무엇인가

(다학제적 접근)

곽해운, 문수복, 박호성, 반현, 양해륜, 이원태, 이은주, 이창현, 이현주, 장덕진, 차미영, 폴 레빈슨 (지은이), 이재현 (엮은이),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기획)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04-24
  |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3,000원 -0% 0원 690원 22,3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400원 -10% 920원 15,640원 >

책 이미지

트위터란 무엇인가

책 정보

· 제목 : 트위터란 무엇인가 (다학제적 접근)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6800308
· 쪽수 : 228쪽

책 소개

트위터가 연구자에게 던지는 고민거리는 이렇다. 누가, 어떤 목적으로 트위터를 이용하는가? 왜 유독 트위터인가? 트위터의 사회경제적 영향력은 어떻게 측정될 수 있을까? 미디어 연구, 커뮤니케이션 연구, 사회관계망 연구, 컴퓨터과학, 정치학, 사회심리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트위터 현상의 의미와 연구 쟁점을 정리했다. 문헌 연구와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저자소개

곽해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텔레포니카연구소(Telefo?nica Investigacio?n y Desarrollo) 연구원. 트위터 유저 행동을 분석한 “What is Twitter, a social network or a news media?”와 “Fragile online relationship: A first look at unfollow dynamics in Twitter”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싸이월드를 시작으로 여러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에서의 유저 행동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문수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전산학과 교수. 트위터에서의 행동을 분석한 “What is Twitter, a social network or a news media?”, 웹 서비스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반 기술에 대한 “PacketShader: A GPU-Accelerated Software Router”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ACM SIGCOMM IMC학회 최고논문상, 아모레퍼시픽 여성과학자상, 한국공학한림원 젊은공학인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유저 행동 분석 및 소프트웨어 라우터 기술 개발 등이 주된 연구 분야다.
펼치기
박호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전산학과 박사과정. 같은 학교 전산학과에서 학사학위와 “트위터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정보 전파 분석”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과 사용자 행태 분석이 주된 연구 분야다.
펼치기
반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Austin)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언론에 나타난 한미 FTA>(공저, 2007), <프로슈머로서의 수용자와 문화적 창조성>(공저, 2007), <신화의 추락, 국익의 유령>(공저, 2006), <현대사회와 미디어>(공저, 2006), <사라지는 신문독자>(공저, 2005), <세계의 인터넷 미디어>(공저, 2002) 등이 있고, 역서로 <저널리즘과 선진민주주의>(공역, 2008), <프레이밍과 공공생활: 미디어와 사회현실에 대한 이해>(공역, 200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얼터너티브 인터넷>(공역,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양해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람을 위한 기술을 창작하는 사람이다. 대화가 통하는 열린 엔지니어를 목표로 한다. 현재 IT벤처 Perples Inc.의 기술이사로서 체험 자체를 배움으로 여기며 공부하고 있다.
펼치기
이원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전략연구실 연구위원이다. 서강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사회평론 기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상임연구원,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회 부회장, IT정치연구회 회장 등을 지냈다. 디지털 창작, 인공지능 윤리, 사이버 규범 등 정책과 인문사회를 연계하는 연구 활동에 관여하고 있다.
펼치기
이은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Not so imaginary interpersonal contact with public figures on social network sites: How affiliative tendency moderates its effects,” “What do others' reactions to news on Internet portal sites tell us?: Effects of presentation format and readers' need for cognition on reality perception” 등 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한국언론학회에서 수여하는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의 동아시아 지역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포함, 컴퓨터 기반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펼치기
이창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전산학과 박사과정. 같은 학교 전산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Operating a Network Link at 100%”와 “Finding Influentials Based on the Temporal Order of Information Adoption in Twitter”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네트워크 링크의 성능 분석과 사용 행태 측정이 주된 연구 분야다.
펼치기
이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연구전임교수다. 서울여자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조지아대학교 저널리즘&매스커뮤니케이션에서 석사 학위를, 버팔로 뉴욕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트위터란 무엇인가>(공저)가 있다. 논문으로는 “A new dimension of the digital divid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band connection, smartphone u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공저), “Social implications of smartphone use: Korean college students’ smartphone 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공저), “The integrated model of smartphone adoption: Hedonic and utilitarian value perceptions of smartphon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공저)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뉴미디어 이용과 이용환경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이다.
펼치기
장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를, 시카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002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크게 두 방향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나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글로벌 차원에서 모색하는 사회모델 비교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소셜 네트워크 이론과 분석에 기초한 경제·정치·온라인 영역의 네트워크 분석이다. 국내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SNS 연구를 개척해왔고, 코로나19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과 정치적 파급효과 그리고 코로나19의 전파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를 발표해왔다.
펼치기
차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전산학과(겸임), 웹사이언스공학과(겸임) 조교수. “백만팔로워의 오류”, “지리정보와 미디어 영향을 고려한 혁신의 전파모델”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대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 컴퓨팅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이 주된 연구 분야다.
펼치기
폴 레빈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포드햄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저서로 New New Media, Cellphone, Real space, Digital McLuhan, The Soft Edge 등이 있으며, 다수의 논문과 The Plot to Save Socrates, The Consciousness Plague, The Silk Code 등의 SF 소설을 발간했다.
펼치기
이재현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미디어 이론가이자 기술 철학자다. 연구 영역은 미디어 이론과 기술 철학,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소프트웨어 연구, 기술 비평, 미디어 수용자 연구 등이다. 우리나라 1세대 인터넷 연구자로, 인터넷에 관한 최초의 사회과학 연구서인 『인터넷과 사이버사회』(1999)를 시작으로 역서 『인터넷 연구방법: 쟁점과 사례』(2000), 편저서 『인터넷과 온라인 게임』(2001) 등 ‘인터넷 3부작’을 출간했다. 급속히 발전하는 디지털 미디어에 주목해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세계』(2004)와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사회』(2004)를 저술했는데, 이 책들은 『인터넷과 사이버사회와 더불어 저자의 ‘뉴미디어 3부작’으로 불린다. 스티븐 홀츠먼의 『디지털 모자이크』(2002), 제이 볼터와 리처드 그루신의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2006), 스티브 존스 편저 『뉴미디어 백과사전』(2005)을 번역하여 외국의 디지털 미디어 이론과 연구를 국내에 소개했다.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하는 상황에서 『컨버전스와 다중 미디어 이용』(2011), 『트위터란 무엇인가: 다학제적 접근』(2012)을 엮었고, 『모바일 문화를 읽는 인문사회과학의 고전적 개념들』(2013), 『SNS의 열 가지 얼굴』(2013), 『뉴미디어 이론』(2013) 등 다수의 컴북스이해총서를 출간했다. 소프트웨어 연구의 대표적 연구서인 레프 마노비치의 『소프트웨어가 명령한다』(2014)를 번역하여 소프트웨어 연구로 관심 영역을 확장한다. 베르나르 스티글레르, 마크 핸슨과 같은 유력한 기술 철학자들을 국내에 처음 소개하기도 했다. 다양한 철학적 조류와 기술 발전에 대한 탐색을 기반으로 『인공 지능 기술 비평』(2019), 『공명: 미디어 기술 비평』(2019), 『사물 인터넷과 사물 철학: 초연결 사회의 기술 비평』(2020)을 연속 출간하며 인공지능과 사물 인터넷 같은 최신 기술 지형 변화에 주목하면서 동시에 ‘미디어 기술 비평’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다수의 저서, 번역서, 그리고 논문이 희관언론상(저술과 번역), 대한민국학술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한국언론학회 우수논문에 선정되었다.
펼치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기획)    정보 더보기
1963년 3월 1일 정부 각령 제1133호에 의해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언론인 재교육을 목적으로 신문연구소로 설립되었다. 1994년 지금의 언론정보연구소로 명칭을 바꾸었다. 우리나라 대학 최초의 언론학 관 련 연구소로 설립 초기에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인 언론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초창기 언론학의 수용과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했고, 현재는 국내외 여러 기관과 협력하여 커뮤니케이션 현상 전반에 걸쳐 다양한 연구 과제를 수행한다. 연구소는 연 2회 ≪언론정보연구≫를 발행한다. 1964년 창간된 ≪신문연구소학보≫가 1994년 확대 개편된 것이다. 한국학술진흥재단(현재 한국연구재단) 2007년 등재 후보지, 2010년 등재지로 선정된 한국 언론학계 대표 학술지다. 일본 도쿄대 정보학환(東京大 情報學環), 중국 전매대(傳媒大) 동아시아미디어센터와 매년 정기 세미나를 개최하여 언론학의 국제 교류와 협력을 다진다. KBS와 1981년부터 2010년까지 총 7회에 걸쳐 국민생활시간조사를 실시했다. 1997년부터 매년 LG상남언론재단과 공동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외국 언론인 재교육 프로그램 SNU-LG 프레스 펠로십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그 외 다양한 용역 과제를 수행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트위터는 새로운 ‘문화 인터페이스’를 자임하며 문화적 형식과 산물의 전달이라는 기존 미디어의 기능 또한 성취하고 있다.
_ 이재현


트위터는 다른 소셜 미디어보다 현재를 살고 있다. 트위터에 올려진 글은 말에 가깝고, 트위터와 가장 가까운 글은 아마 모래 위에 쓴 글일 것이다.
_ 폴 레빈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