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문화유산
· ISBN : 9788967352578
· 쪽수 : 426쪽
· 출판일 : 2015-10-22
책 소개
목차
1부 제 빛깔이 아름다운 보배
01 제 빛깔이 있는 바다: 통영 세병관과 그 후예들
그리운 혓바닥의 추억|수향정이 품은 한려수도|바다에는 경계가 없다|돌아와요 세병관에|‘무의 터전’에서 ‘예향 1번지’로|통영의 빛깔 있는 후예들
02 내 안의 보배, 이 뭐꼬: 순천 송광사
보배를 만나러 가는 길|보배를 물로 씻어내다|조계산의 보배 탄생기|송광사의 명물 세 가지|나를 비우면 보배
03 나를 버리는 걸쭉한 사랑: 남원 광한루와 춘향전
추어탕식 걸쭉한 사랑|이몽룡이 광한루에 오른 이유|푸짐한 이야기 공작소, 광한루원|걸쭉한 사랑과 걸걸한 동편제|품이 넓은 지리산식 사랑
04 시작과 끝을 보다: 서울 종묘
시작이 있으면 끝도 있다|조선의 출발, 종묘의 시작|잇고 또 잇고, 종묘 정전|잘돼도 못 돼도 조상 덕|영녕전과 공민왕 사당
05 쉼과 여유가 그립다: 밀양 영남루
천년의 쉼터, 영남루|산천은 예와 같으나 누각은 새로워라|밀양 12경도에 숨은 뜻|시원한 바람이 부는 영남루|아랑사의 스산함
2부 내 인생의 길라잡이
06 내 삶의 길라잡이: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우리 땅을 사랑한 옛 지도|박물관에서 만난 「동국여지도」|두루 찾아보고 널리 수집하는 김정호|청구도, 근대로 가는 길라잡이|목판본 「대동여지도」의 숨결|내 삶의 위대한 길라잡이
07 시험과 고갯길: 문경새재와 토끼비리
시험은 고개인가|말도 벌벌 떠는 토끼비리|한 맺힌 돌고개 성황당|새들도 넘기 힘든 고개|새재 주막에서 승천한 다섯 용|멈추고 돌아보는 문경새재
08 땅과 사람의 상생相生: 부안의 높이 솟은 돌기둥
땅은 살아 있는 생명체|행주형 부안, 당간과 돛대|매창과 허균|돌짐대와 오리의 수수께끼|땅의 근본을 파고든 유형원
09 문을 열 것인가, 말 것인가: 숭례문과 흥인지문 그리고 한양도성
우리나라의 상징 대문|한양도성의 성문을 열다|나의 숭례문, 우리의 숭례문|정동에서 남산공원까지, 성곽을 따라|옹성이 있는 흥인지문|낙산으로 가는 성곽 길에서
10 말하는 것과 말하지 않는 것: 「부산진순절도」와 「동래부순절도」
임진왜란을 말하는 기록화|위태로운 조선, 「부산진순절도」|「동래부순절도」가 말하는 것들|할 말 많은 조선의 백성|언젠가는 말하는 유물
3부 청춘을 위한 문화유산
11 흘러간 탁류는 부끄럽지 않다: 군산의 근대 건축물
탁류는 군산 사람의 인생|‘갈대의 도시’에서 ‘쌀의 도시’로|군산세관과 조선은행 군산지점|침탈과 참회의 공존, 동국사|삶을 누리는 근대 건축물
12 높고 푸른 이상을 꿈꾸는 곳: 수원 화성
이상도시의 숨결, 수원 화성|이상의 실현은 함께하는 것|이로움을 말미암고 형세를 이용하라|이루지 못한 꿈도 아름답다
13 녹두장군의 타는 눈빛: 정읍의 동학농민혁명유적
치열한 삶을 살았는가|정읍, 후천개벽을 믿는 땅|녹두장군 집에서 만난 녹두꽃|만석보를 허물어라|황토현에 난리가 났네|누군가가 찍은 사진 한 장
14 가까운 곳에서 길을 찾다: 대구 골목의 근대 문화유산
가까운 골목에서 찾은 길|경상도의 중심지, 대구|조선의 대구를 해체한 근대|식민지 거리와 대구근대역사관|골목의 종교 유산, 제일교회와 계산성당|청라언덕 길과 선교사 주택|사보담의 피아노와 존슨의 사과나무
15 염원을 새겨 오래도록 남기고 싶을 때: 울산의 바위그림
염원을 오래 남기는 방법|바위그림으로 가는 벼루길|대곡천에 잠긴 반구대 암각화|최초의 고래잡이 그림|천전리 각석에 새긴 비밀은?|염원을 향한 디자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