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울 시대

서울 시대

(청계천 판자촌에서 강남 복부인까지)

유승훈 (지은이)
생각의힘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600원 -10% 880원 14,960원 >

책 이미지

서울 시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울 시대 (청계천 판자촌에서 강남 복부인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3166864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5-02-20

책 소개

1960년대부터 1990년대, 대한민국이 전후의 폐허를 딛고 급속도로 성장한 시기. 이촌 향도와 산업화의 물길 속에 인파가 몰려들며 과거와 현재, 농촌과 도시가 뒤섞이며 일어난 소용돌이에서는 이 시대 특유의 ‘혼종의 풍속’이 나타나고 사라져갔다. 이 책 《서울 시대》는 1960~1990년대 서울의 풍속을 살펴 시대를 파헤치고, 사람을 마주한다.

목차

프롤로그

1부 서울 시대: 생겨난 풍속, 사라진 풍속

1장 달동네로 간 사람들
1 왕십리 똥파리와 기생충 박멸 – 푸세식 시대가 저물다
2 달동네의 탄생 – 폐허와 고통의 시대에 탄생한 발명품
3 부둥켜안고 함께 탔던 연탄의 시대 – 연탄을 갈아본 사람만은 안다
4 사라진 신과 함께 – 개발의 시대에 집 나간 신은 돌아오지 않는다

2장 아파트 숲이 된 서울
1 손 없는 날 이사하기 – 서울 대이동 시대의 길고 힘든 이사 길
2 아파트살이와 생활 혁명 – 공간의 변화가 새로운 문화로
3 너도나도 강남 복부인 – 투기의 블랙홀에 빠져드는 서울

2부 서울살이: 더 나은 삶을 위해서

3장 서울은 만차다
1 교통지옥, 만원 버스, 버스 안내양 – 위험천만했던 개문발차의 시대
2 마이카 시대의 자동차 고사 – 교통사고 왕국은 두렵다
3 한강의 사라진 뱃길, 그 위의 다리 – 거인이 된 서울 사람, 한강을 한걸음에

4장 콩나물 교실과 일류병
1 엿 붙인다고 시험에 붙나 – 좁은 문을 통과해야 했던 엿의 시대
2 세계 제일의 콩나물 교실 – 학교는 부족하고 교육열은 너무 높다
3 교복을 찢었던, 거칠었던 졸업식 – 응어리진 교복 세대의 성인식 겸 해방의식

3부 서울내기: 과거와 현재가 뒤섞인 일상

5장 서울 사람의 화려했던 결혼 편력
1 중매와 연애, 결혼상담소와 마담뚜 – 사랑과 결혼은 별개란 말인가
2 장가든다, 시집간다, 예식장 간다 – 도떼기시장과 같았던 서울의 결혼식장
3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 주술적 기자속이 과학적 남아선호로

6장 탄생에서 죽음까지, 서울 사람의 인생 고비
1 서울 아기의 산실 변천기 – 삼신할머니에서 산파로, 조산소에서 산부인과로
2 서울 사람의 운명과 점 보기 – 서울 사람의 운명은 왜 미아리로 갔을까
3 이승에서도 만원, 저승에서도 만원 – 서울 사람의 쉴 곳은 서울에 없다

저자소개

유승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옛 우물에서 맑고 새로운 물을 긷는다(舊井新水)’라는 신념으로 우리 문화를 알리는 글을 쓰고 있다. 경희대학교를 졸업한 후 민속학을 전공하여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에서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업무를 하다가 20년 전 부산으로 내려와 박물관에서 낡은 유물을 살피거나 전시하는 일을 하고 있다. 2012년 《작지만 큰 한국사, 소금》을 펴내 제53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지은 책으로는《부산의 탄생》《부산은 넓다》《여행자를 위한 도시 인문학, 부산》《조선 궁궐 저주 사건》《문화유산 일번지》《아니 놀지는 못하리라》《다산과 연암, 노름에 빠지다》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돌이켜 보면 시대는 풍속이 되고, 풍속은 시대가 된다. ‘마이카 시대’는 자동차 고사를 출현시켰고, 학생이 폭증하는 시대는 콩나물 학교를 등장시켰다. 서울 시대는 꼭 찬란한 시대만은 아니었다. 전통과 현대, 농촌과 도시의 문화가 뒤섞이고 충돌하던 ‘연탄의 시대’이자 ‘달동네의 시대’였다. 입시에서 남을 이겨야겠다는 경쟁심, 남보다 부자가 되어야겠다는 투기심이 과열화되면서 ‘엿의 시대’에서 ‘복부인의 시대’로 내달렸다. 한편, 서울 시대는 서울에 국한된 이야기 또한 아니다. 서울 시대는 곧 대한민국의 ‘성장과 개발의 시대’였다. 전국의 사람들이 모여들고 행정구역이 확장일로를 걷던 ‘팽창의 서울 시대’에서는 변화무쌍했던 대한민국의 성장통까지 볼 수 있었다. 이 책은 산업화 시절 서울의 자화상이거니와, 동시대를 겪은 나에게도 젊은 시절의 자화상과 다름없다.
_프롤로그


1990년대까지도 서울의 달동네는 서민들의 삶과 애환을 담은 보금자리이자 가난한 동네를 뜻하는 대명사로 불렸다. 실제로 달동네가 풍미한 시절은 1960~1970년대인데 이 용어가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이다. 이런 시간적 차이는 어떻게 해서 생긴 것일까? 1970년대까지는 달동네를 판자촌, 불량주택주거지, 재개발지 등으로 일컬었다. 그런데 1980년부터 동양방송에서 〈달동네〉란 연속극이 상영되면서 ‘서민들이 사는 고지대 마을’을 달동네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이 드라마는 시청률이 거의 60%대로 그야말로 대히트였다. 〈달동네〉가 상영되는 날이면, TV가 있는 집에 달동네 사람들이 함께 모여 웃고 떠드는 모습이 하나의 달동네 풍속이 되었다. 이 연속극이 공전의 히트를 한 배경에는 가난한 사람들의 일상을 재밌게 연출한 점도 있지만 실제로 달동네가 한국 사회의 밑바닥을 넓게 다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_ 달동네의 탄생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166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