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3166864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5-02-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부 서울 시대: 생겨난 풍속, 사라진 풍속
1장 달동네로 간 사람들
1 왕십리 똥파리와 기생충 박멸 – 푸세식 시대가 저물다
2 달동네의 탄생 – 폐허와 고통의 시대에 탄생한 발명품
3 부둥켜안고 함께 탔던 연탄의 시대 – 연탄을 갈아본 사람만은 안다
4 사라진 신과 함께 – 개발의 시대에 집 나간 신은 돌아오지 않는다
2장 아파트 숲이 된 서울
1 손 없는 날 이사하기 – 서울 대이동 시대의 길고 힘든 이사 길
2 아파트살이와 생활 혁명 – 공간의 변화가 새로운 문화로
3 너도나도 강남 복부인 – 투기의 블랙홀에 빠져드는 서울
2부 서울살이: 더 나은 삶을 위해서
3장 서울은 만차다
1 교통지옥, 만원 버스, 버스 안내양 – 위험천만했던 개문발차의 시대
2 마이카 시대의 자동차 고사 – 교통사고 왕국은 두렵다
3 한강의 사라진 뱃길, 그 위의 다리 – 거인이 된 서울 사람, 한강을 한걸음에
4장 콩나물 교실과 일류병
1 엿 붙인다고 시험에 붙나 – 좁은 문을 통과해야 했던 엿의 시대
2 세계 제일의 콩나물 교실 – 학교는 부족하고 교육열은 너무 높다
3 교복을 찢었던, 거칠었던 졸업식 – 응어리진 교복 세대의 성인식 겸 해방의식
3부 서울내기: 과거와 현재가 뒤섞인 일상
5장 서울 사람의 화려했던 결혼 편력
1 중매와 연애, 결혼상담소와 마담뚜 – 사랑과 결혼은 별개란 말인가
2 장가든다, 시집간다, 예식장 간다 – 도떼기시장과 같았던 서울의 결혼식장
3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 주술적 기자속이 과학적 남아선호로
6장 탄생에서 죽음까지, 서울 사람의 인생 고비
1 서울 아기의 산실 변천기 – 삼신할머니에서 산파로, 조산소에서 산부인과로
2 서울 사람의 운명과 점 보기 – 서울 사람의 운명은 왜 미아리로 갔을까
3 이승에서도 만원, 저승에서도 만원 – 서울 사람의 쉴 곳은 서울에 없다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돌이켜 보면 시대는 풍속이 되고, 풍속은 시대가 된다. ‘마이카 시대’는 자동차 고사를 출현시켰고, 학생이 폭증하는 시대는 콩나물 학교를 등장시켰다. 서울 시대는 꼭 찬란한 시대만은 아니었다. 전통과 현대, 농촌과 도시의 문화가 뒤섞이고 충돌하던 ‘연탄의 시대’이자 ‘달동네의 시대’였다. 입시에서 남을 이겨야겠다는 경쟁심, 남보다 부자가 되어야겠다는 투기심이 과열화되면서 ‘엿의 시대’에서 ‘복부인의 시대’로 내달렸다. 한편, 서울 시대는 서울에 국한된 이야기 또한 아니다. 서울 시대는 곧 대한민국의 ‘성장과 개발의 시대’였다. 전국의 사람들이 모여들고 행정구역이 확장일로를 걷던 ‘팽창의 서울 시대’에서는 변화무쌍했던 대한민국의 성장통까지 볼 수 있었다. 이 책은 산업화 시절 서울의 자화상이거니와, 동시대를 겪은 나에게도 젊은 시절의 자화상과 다름없다.
_프롤로그
1990년대까지도 서울의 달동네는 서민들의 삶과 애환을 담은 보금자리이자 가난한 동네를 뜻하는 대명사로 불렸다. 실제로 달동네가 풍미한 시절은 1960~1970년대인데 이 용어가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이다. 이런 시간적 차이는 어떻게 해서 생긴 것일까? 1970년대까지는 달동네를 판자촌, 불량주택주거지, 재개발지 등으로 일컬었다. 그런데 1980년부터 동양방송에서 〈달동네〉란 연속극이 상영되면서 ‘서민들이 사는 고지대 마을’을 달동네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이 드라마는 시청률이 거의 60%대로 그야말로 대히트였다. 〈달동네〉가 상영되는 날이면, TV가 있는 집에 달동네 사람들이 함께 모여 웃고 떠드는 모습이 하나의 달동네 풍속이 되었다. 이 연속극이 공전의 히트를 한 배경에는 가난한 사람들의 일상을 재밌게 연출한 점도 있지만 실제로 달동네가 한국 사회의 밑바닥을 넓게 다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_ 달동네의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