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쾌락의 정원

쾌락의 정원

(동양의 에피쿠로스 이어의 <한정우기>)

이어 (지은이), 김의정 (옮긴이)
글항아리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10% 0원
1,9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쾌락의 정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쾌락의 정원 (동양의 에피쿠로스 이어의 <한정우기>)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동양고전문학 > 중국고전-산문
· ISBN : 9788967355135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18-04-20

책 소개

청나라 초기에 쓰인 지식백과사전이자 양생서, 삶을 윤택하게 만들기 위한 온갖 지혜와 철학, 실용적 지식을 담은 『한정우기』가 국내 초역되었다. 이 시기와 분야 연구를 꾸준히 해온 김의정 교수가 번역을 맡았다.

목차

해제
제1부 목소리와 용모에 관하여聲容部
제2부 거실에 관하여居室部
제3부 완상하는 기물에 관하여器玩部
제4부 음식에 관하여飮饌部
제5부 재배에 관하여種植部
제6부 양생에 관하여頤養部
원문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그의 작품에 대한 번역서나 연구서가 나오지 않은 탓에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는 17세기 중국을 대표할 수 있는 소설·희곡 작가이자, 출판업자였으며, 공연 기획자였다. 일본에서는 18세기 중·후반에 이미 그의 희곡 작품에 대한 번역본이 출현했고, 19세기 후반에 나온 ≪지나문학대강(支那文學大綱)≫(1897)에서는 이어를 이백(李白), 두보(杜甫) 등과 함께 21명의 대문성(大文星)으로 병칭하고 있다. 19세기 말 그의 희곡 작품은 영어, 프랑스어, 라틴어로 번역, 출판되었고, 20세기 초에는 독일어본이 나왔으며, 소설 작품인 ≪십이루(十二樓)≫에 대한 러시아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미국에서는 1990년대 패트릭 해넌(Patrick Hanan)에 의해 그의 소설 작품집인 ≪육포단(肉蒲團)≫, ≪십이루≫, ≪무성희≫가 번역된 바 있다. 이어는 강소성(江蘇省) 여고(如?)에서 태어났지만 얼마 후 본적지인 절강성 난계(蘭溪)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성장했다. 그는 자가 적범(謫凡), 호는 호상입옹(湖上笠翁), 그 밖에 수암주인(隨庵主人) 등 몇 가지 별호를 사용했다. 상인의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젊은 시절에는 비교적 풍족한 생활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시 가운데는 그가 소유하고 있던 이원(伊園)이라는 아름다운 풍경의 별장을 읊은 내용이 있다. 명·청 교체기를 살았던 그는 젊은 시절 몇 차례 과거에 응시했지만 낙방했다. 청나라 군사가 그의 고향인 절강성을 점령했던 시기를 기점으로 그의 집안의 경제적인 상황은 악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 시기를 기점으로 그는 과거를 통한 출사(出仕)의 꿈을 포기하게 되는데, 그것이 만주족 정권인 청 왕조에 대한 한족 문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의 표현인지는 불분명하다. 그가 고향을 떠나 항주로 이사한 시기에 대해서는 1648년과 1651년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어쨌든 그의 나이 대략 30대 후반에 그의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젊은 시절의 부유했던 상황과는 대조적으로, 항주에서 그는 시와 소설, 희곡 쓰기 등 문필 활동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경제적으로 풍요롭지 못한 생활을 하게 된다. 그곳에서 그는 정팽(丁澎), 모선서(毛先舒) 등 여러 명사들과 교유했고, 단편소설집인 ≪무성희≫와 ≪십이루≫, 희곡 작품인 ≪영향반(怜香伴)≫, ≪옥소두(玉搔頭)≫, ≪풍쟁오(風箏誤)≫, ≪내하천(奈何川)≫ 등의 작품을 출판했다. 항주에서 이어가 지은 책들이 대중적인 인기를 끌자 수많은 출판업자들이 해적 출판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려는 일환으로 그는 대략 1661년 전후에 항주를 떠나 당시 출판, 문화의 또 하나의 중심지였던 남경(南京)으로 이사하게 된다. 1663년 그곳에서 그는 익성당(翼聖堂) 서점을 열어 책들을 출판하다가, 1669년에는 개자원(芥子園)이라는 서점을 열게 되는데 개자원은 그 후 2백여 년간 지속되었던 유명한 서점이다. 이어는 1675년 항주로 다시 이사하기 전까지 15년 정도 남경에서 당시 유명한 명사들과 교유하며, 출판업자로서 극단 운영자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게 된다. 그는 가정 극단을 조직해 전국 각지의 명사·고관들을 찾아다니며 공연했고, ≪개자원화보(芥子園畵譜)≫를 비롯해 ≪입옹시운(笠翁詩韻)≫, ≪신사륙초징(新四六初徵)≫, ≪척독초징(尺牘初徵)≫ 등 대중적인 출판 아이템을 찾아내어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통속적인 소설·희곡 작가이자, 출판업자요, 극단 운영자였던 이어의 삶은 과거를 통한 출사의 꿈이 좌절된 당시 문인이 선택할 수 있었던 하나의 전형적인 인생 역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펼치기
김의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결대학교 파이데이아 학부 조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두보 기주시기 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중국고전시가를 다년간 연구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이백 한적시에 보이는 시간의 흐름에 대하여-‘춘일취기언지’를 중심으로」, 「두보가 만난 사람」, 「명말 청초 문인 장대의 시세계」, 「영상 미학을 통해 본 중국 고전시의 재해석」, 「여성, 늙음을 말하다」, 「興, 오래된 비유」, 「시는 어떻게 광고가 되는가」 등이 있고 『쾌락의 정원(한정우기)』, 『장물지』(공역), 『사치의 제국』(공역)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식욕과 성욕은 본성이다食色,性也."2
"자도子都3가 아름다운 줄 모르는 사람은 눈이 없는 사람이다不知子都之?者,無自者也."4
옛날의 위대한 현인은 말을 가려서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