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치의 제국

사치의 제국

(명말 사대부의 사치와 유행의 문화사)

우런수 (지은이), 김의정, 정민경, 정유선, 최수경 (옮긴이)
글항아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치의 제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치의 제국 (명말 사대부의 사치와 유행의 문화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세사(원~ 아편전쟁)
· ISBN : 9788967355692
· 쪽수 : 596쪽
· 출판일 : 2019-04-29

책 소개

자본주의 도시문화가 정점에 이른 명나라 말엽 문인층과 상인층의 정체성 각축전을 다룬 문화사. 가마부터 복식, 여행, 가구 수집, 음식까지 당대의 물질문화 총망라하여 온 천하를 들썩이게 만들었던 사치와 유행의 물결을 재조명하였다.

목차

옮긴이 서문_ 명말 사치 풍조와 사대부 문화

서론: 생산에 관한 연구에서 소비에 관한 연구로

제1장 소비사회의 형성
1. 소비의 사치 풍조
2. 소비사회의 형성
3. 소비사회의 흥성 배경
4. 사대부의 신분 지위 변화

제2장 소비와 권력의 상징: 가마문화를 중심으로
1. 명대 초기·중기의 가마문화
2. 명말 가마의 유행과 보급
3. 정부의 대응 정책
4. 가마의 상징적 의미
5. 결론

제3장 새로운 유행의 형성: 복식문화를 사례로
1. 명초의 평민 복식제도와 사회 풍조
2. 명말 평민 복식의 유행 양상
3. 유행의 기능
4. 복식의 유행에 대한 사대부의 반응
5. 복식 풍조를 비판하는 사대부들의 담론
6. 결론

제4장 소비의 품격과 신분의 구분: 여행문화를 사례로
1. 사대부들 사이에 퍼진 여행 풍조
2. 대중 여행의 성행
3. 여행의 확산과 사회계층 간 경쟁
4. 품격의 확립과 신분의 구분
5. 결론

제5장 물질의 상품화와 특수화: 가구문화를 사례로
1. 가구의 소비와 상품화
2. 대중의 가구 소비: 휘주를 사례로
3. 고급 가구의 소비
4. 가구 소비의 문인화
5. 서재와 가구 그리고 문인 품격의 특수화
6. 결론

제6장 문인 품격의 진화와 지속: 음식문화를 사례로
1. 음식 소비의 사치 풍조
2. 음식 풍조와 식보의 간행
3. 음식 서적 속 오감 묘사의 진화
4. ‘맛’의 품격과 신분: 문인화된 식보의 미각 이론
5. 결론

결론: 소비로 본 세계사 속 명말의 위치

후기
부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우런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타이완 대학 강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중앙연구원 근대사연구소 부연구원과 지난 국제대학暨南國際大學 역사과 겸임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명청 시기 도시사, 사회문화사, 민중운동사, 물질문화와 소비문화, 지역문화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사치하는 여자: 명청 시기 강남 여자의 소비문화奢侈的女人: 明淸時期江南婦女的消費文化』(2005), 『유행과 사치의 제국: 만명의 소비사회와 사대부品味奢華: 晚明的消費社會與士大夫』(2007), 『여행의 도: 명청 여행 문화游道:明淸旅游文化』(2010), 『도시로 보는 중국의 현대성從城市看中國的現代性』(주편, 2010), 『격변의 민중: 전통 시기 중국 도시의 민중 집단의 행동 분석激變良民: 傳統中國城市群衆集體行動之分析』(2011), 『성 안팎에서 유유자적하다: 명청 강남 도시의 오락 활동과 공간 변화優游坊廂: 明淸江南城市的休閑消費與空間變遷』(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의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결대학교 파이데이아 학부 조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두보 기주시기 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중국고전시가를 다년간 연구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이백 한적시에 보이는 시간의 흐름에 대하여-‘춘일취기언지’를 중심으로」, 「두보가 만난 사람」, 「명말 청초 문인 장대의 시세계」, 「영상 미학을 통해 본 중국 고전시의 재해석」, 「여성, 늙음을 말하다」, 「興, 오래된 비유」, 「시는 어떻게 광고가 되는가」 등이 있고 『쾌락의 정원(한정우기)』, 『장물지』(공역), 『사치의 제국』(공역)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정유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명여자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사범대학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상명대학교(서울)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 설창예술의 이해』, 『중국 역사 교과서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공저) 등의 저서와 「15세기 초 明 제국의 ‘세계’ 인식과 재현-명 鄭和 원정대 출신 작자의 해외견문록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민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사회과학원에서 중국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제주대학교 중문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소설과 필기를 틈틈이 읽고 있으며 중국 지리와 외국과의 문화 교류에도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옛이야기와 에듀테인먼트 콘텐츠』(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태평광기』(공역), 『우초신지』(공역), 『풍속통의』(공역), 『명대여성작가총서』(공역), 『강남은 어디인가: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공역), 『사치의 제국』(공역), 『(청 모종강본) 삼국지』(공역), 『해국도지』(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최수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푸단 대학에서 『청대 여성의 문학생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19년 현재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명청 소설과 여성 글쓰기 문화, 중국의 출판문화 등에 관한 논문을 지속적으로 발표해왔다. 최근에는 전근대 시기 중국이 변경과 외국을 어떻게 재현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섬 오랑캐’들의 이야기: 『도이지략島夷誌 略』의 세계와 제국적 재구성」을 비롯하여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명말 사치 풍조의 형성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에서 이미 다루어졌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