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희곡론/비평론
· ISBN : 9788967640323
· 쪽수 : 358쪽
· 출판일 : 2013-11-0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제1부
해방공간의 문학비평 15
1. 해방의 의미와 비평의 방향 15
2. 민족문학의 범주 19
3. 인민성과 진보적 리얼리즘에의 도정 26
4. 해방공간 비평의 사적 의의 31
김현승 시에서의 자연과 고독의 문제 33
1. 기독교와 김현승 33
2. 예찬으로서의 자연 35
3. 고독의 구경적 의미 39
4. 원점 회귀로서의 자연 45
현대시와 물의 상징 47
1. 현대시와 물 47
2. 영원과 정화, 재생으로서의 물 49
3. 욕망과 근원, 이율배반성으로서의 물 54
4. 고발과 실천으로서의 물 60
5. 현대시에서 물의 의미 64
비상하는 새에서 펼쳐지는 생태론적 인식 지평의 확대 67
- 오세영론
1. 오세영 시의 궤적 67
2. 생태에의 요구 69
3. 생태론의 수평적 확산 76
4. 생태적 초월의 상상력과 ‘새’의 이미지 81
원시 기호와 전일적 삶 89
- 이건청론
1. 반구대 암각화에서 들려오는 소리 89
2. 풍경(風磬)이 가져다 준 그리움 93
3. 풍경(風磬)에서 걸러진 우주론적 승화 98
미메시스적 동일성의 미학 103
- 김완하론
1. 경계의 무화, 가치의 전복 104
2. 거리를 극복하는 힘 110
3. 다시 고요함으로 115
환상과 현실의 교직 속에서 피어나는 꿈 119
- 김성규론
‘자아’와 그 숙명적 존재론의 문제 131
- 김현서론
존재의 완성에 이르는 길, 사랑 143
- 노금선론
자아완성과 식물적 상상력 159
- 정혜숙론
제2부
인생과 예술에 관한 크나큰 주제들 177
시를 통한 행복에 이르는 길 187
밀레니엄의 10년, 다시 시의 시대를 위하여 193
경계의 틈에서 솟아나는 그리움의 감수성 197
- 서정주의「푸르른 날」
우리 민족의 기본정서 : 그리움 207
- 김소월의「가는 길」
식민지 시대 희생의 꽃 219
- 윤동주의「십자가」
보편의 감각을 일깨우고 개인의 정서를 환기하는 마술 229
- 최서림의「歸路」
1. 명시란 무엇인가 229
2. 고향의 정서 232
1) 고향의 정서 233
2) 고향의 시대성 234
3) 고향의 감각 235
3.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237
순환적 전일성에서 얻어지는 우주의 진리 239
- 김완하의「별」
1. 시의 형식과 내용의 상관관계 239
2. 내용과 형식이 잘 빚어낸 항아리 241
3. 자연의 영원한 진리 244
제3부
계몽과 반계몽의 길항관계 251
1. 근대의 명암 251
2. 근대와 자연의 대결 254
3. 합리주의와 자연의 조화 257
4. 자연 속의 인간 혹은 인간 속의 자연 261
우리 시에 나타난 버클리(Berkeley) 267
1. 버클리 가는 길 267
2. 열정의 꽃으로서의 버클리 대학 270
3. 제도를 뛰어넘는 버클리의 에네르기들 273
4. 한국시에 나타난 버클리의 문학사적 의미 278
디아스포라적 삶과 모국어의 정서 281
1. 이질성과 동질성의 사이에서 281
2. 개별시인작품론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