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해방 이후 동인지문학

해방 이후 동인지문학

박주택, 유성호, 박성준, 이형권, 송기한, 오형엽, 조강석, 김태형, 김태형, 최민지, 김웅기 (지은이)
소명출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해방 이후 동인지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해방 이후 동인지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59055263
· 쪽수 : 325쪽
· 출판일 : 2025-02-25

책 소개

해방공간에서부터 1990년대까지의 문학사적 도정이 한국문학의 중요한 통사를 이룬다는 점에서 문학적 넓이와 깊이에 기여하는 참조가 될 것이다. 이 작업은 2022년도에 펴낸 해방 이전의 동인지문학을 탐구한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소명출판, 2022)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책머리에 3

유성호|해방 직후 북한문단 형성기의 시적 형상
『관서시인집』을 중심으로 29
1. 해방 직후의 문단 상황 29
2. 『관서시인집』의 체재와 구성 32
3. 『관서시인집』의 구성원과 그 작품세계 34
4. 역사적 맥락과 의의 51

박성준|『신시론』 1집과 박인환
『신시론』 초기 동인이 추구한 모더니즘의 실체 55
1. 들어가며 55
2. 『신시론』 1집에서 박인환의 역할 58
3. 박인환이 추구한 모더니즘과 『신시론』의 관계 69
4. 나가며 81

이형권|'후반기' 시의 메트로-코스모폴리탄 감각과 사회시학 87
1. 들어가며 문학사회학을 위하여 87
2. 1950년대의 문학장과 '후반기' 시의 위치 90
3. 메트로폴리탄 서울의 음울한 초상 95
4. 코스모폴리탄 감각의 보편화 현상 106
5. 나가며 포스트-코스모폴리탄 시학을 위하여 117
송기한|'후반기' 동인과 전위의 의미 123
1. 들어가며 123
2. 이미지즘의 기능과 전후 모더니즘에서의 그 의미 126
3. 시 창작상의 이미지즘 135
4. 전후 이미지즘 시의 시사적 의미 148

오형엽|전후 모더니즘 시의 음악성과 시의식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1957를 중심으로 151
1. 들어가며 151
2. 김종삼 묘연한 음악, 하강, 신의 임재/부재 155
3. 김광림 관념적 음악, 정지, 신의 상실 162
4. 전봉건 생명의 음악, 순환, 범신론 169
5. 나가며 177

조강석|1960년대 한국시의 이미지-사유와 정동情動의 정치학
『한국전후문제시집』1961의 이미지-체제를 중심으로 183
1. 『한국전후문제시집』의 문제성 183
2. 이미지-사유와 정동의 중요성 187
3. 전후 한국시의 현실 인식과 언어의식, 그리고 '이미쥐' 189
4. 전후 한국시의 이미지-체제 196
5. 나가며 212

김태형|황동규 초기 시 내부 공간 변모에 대한 시선
1970년대 『문학과지성』의 세대 에꼴을 중심으로 215
1. 들어가며 215
2. 『문학과지성』이 기획한 1970년대 문학 지형 220
3. 『문학과지성』의 '헬라클레스' 228
4. 황동규 초기 시 공간 변모 분석 234
5. 나가며 243

최민지|1980년대 『문학과지성』의 공간과 아우라
『우리 세대의 문학』에서 『입 속의 검은 잎』까지 249
1. 들어가며 '무크지시대'의 『문학과지성』 249
2. 계승적 의미로의 『우리 세대의 문학』 254
3. 지성과 세대의 변주, 『문학과사회』 259
4. 문학 기획의 『입 속의 검은 잎』 264
5. 나가며 270

김웅기|『시운동』의 견유주의 정신과
1980년대 문학의 정치주체 재론 275
1. 들어가며 275
2. 지형의 균열이라는 상상 『시운동』의 자리 282
3. 견유주의를 위한 시학 새로운 '렌즈' 296
4. '언어공학'을 통한 견유주의문학의 정제 305
5. 나가며 '이방인'들의 '운동장運動場' 320

필자 소개(수록순) 324

저자소개

박주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충청남도 서산에서 출생하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86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꿈의 이동건축」으로 등단한 이래 시집 『꿈의 이동건축』(문학세계사, 1991)·『방랑은 얼마나 아픈 휴식인가』(문학동네, 1996)·『사막의 별 아래에서』(세계사, 1999)·『카프카와 만나는잠의 노래』(문학과지성사, 2004)·『시간의 동공』(문학과지성사, 2009)·『또 하나의 지구가 필요할 때』(문학과지성사, 2013)와 시선집 『감촉』(뿔, 2011) 등을 출간하였다. 특히 『시간의 동공』은 일본 시쵸샤(思潮社) ‘한국 현대 시인 시리즈’의 첫 번째 시집으로 선정되어 일본 현지에서 번역·발간된 바 있다. 편운문학상(2000)·현대시작품상(2004)·경희문학상(2004)·소월문학상(2005)·이형기문학상(2010)·한국시인협회상(2015)·김동명문학상(2024) 등을 수상했다. 현재 계간 《시현실》 주간·정한모문학기념사업회 고문·윤곤강문학기념사업 상임회장·한국문학연구원장을 맡고 있으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송기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평론가. 충남 논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 현대시의 근대성 비판』 『1960년대 시인 연구』 『서정주 연구』 『한국시의 근대성과 반근대성』 『문학비평의 경계』 『비평과 인식』 『현대시의 정신과 미학』 『서정의 유토피아』(1, 2), 『현대문학의 정신사』 『소월 연구』 『치유의 시학』 『한국 근대 리얼리즘 시인 연구』 『서정시학의 원리』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내 안의 그 아이』가 있다. 대전대 우수학술연구상, 시와시학 평론상, 대전시 문화상 학술상 등을 수상하였다.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UC BERKELEY) 객원교수를 거쳐 현재 대전대학교 국어국문창작학부 교수로 있다.
펼치기
유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등단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 『침묵의 파문』, 『한국 시의 과잉과 결핍』, 『현대시 교육론』, 『근대시의 모더니티와 종교적 상상력』, 『정격과 역진의 정형 미학』, 『다형 김현승 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김달진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서남대, 한국교원대를 거쳐 현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문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펼치기
오형엽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국문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현대시』 신인상, 199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부문 수상으로 등단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 근대시와 시론의 구조적 연구』, 『현대시의 지형과 맥락』, 『현대문학의 구조와 계보』, 『문학과 수사학』, 『한국 모더니즘 시의 반복과 변주』 등이 있다. 편운문학상, 김달진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고려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문학평론가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이형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평론가,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시학회 회장, 문예지 『시작』, 『시와 시학』 편집위원, 저서 『타자들, 에움길에 서다』, 『한국시의 현대성과 탈 식민성』, 『발명되는 감각들』, 『공감의 시학』, 『미주 한인 시문학사』 외 다수, 1998년 『현대시』 문학평론 부문 우수작품상, 2010년 편운문학상 문학평론 부문 본상, 2018년 시와 시학 평론가상, 2021년 김준오 시학상 수상.
펼치기
조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했다. 200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주요 저서로 평론집 『이미지 모티폴로지』, 『경험주의자의 시계』, 『아포리아의 별자리들』 등이 있고, 연구서로 『비화해적 가상의 두 양태』 등이 있다. 김달진 젊은평론가상,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계간 『문예중앙』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박성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6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9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에서 시, 201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서 평론으로 등단했고,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일제강점기 저항시의 낭만주의적 경향 연구: 이육사, 윤동주를 중심으로?(2018)가 있다. 시집 『몰아 쓴 일기』와 『잘 모르는 사이』, 합동시집 『일곱번째 감각-ㅅ』을 출간했으며, 평론집으로 『안녕, 나의 페르소나』를 출간했다. 그밖에 공저로는 『한국 현대시의 공간연구 1, 2』,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해방 이후 동인지문학』, 『윤곤강 문학 연구』, 『모던 경성과 전후 서울』, 『인공지능과 문학의 미래』, 편저로는 『구자운 전집』을 출간한 바 있다. 2015년 박인환 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웅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평론가. 202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대구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하고 《김수영의 변증법적 공간 연구》와 《윤곤강 시 연구》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 학위와 동 대학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로 AI 분야에서는 《인공지능과 문학의 미래》(2024), 《인공지능 시대의 문학》(2025)을 공저했고, “AI 시대 논증적 글쓰기를 위한 프롬프팅 연구”, “챗GPT 번역 프롬프팅 연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AI를 활용한 현대시 향유 및 비평 작업을 위한 연구를 이어 나갈 예정이다. 경희대학교 프락시스 연구회 소속으로 《윤곤강 문학 연구》(2022),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2022), 《모던 경성과 전후 서울》(2023), 《해방 이후 동인지문학》(2025) 등을 공저했다. 우리문학회 학술상, 백조학술논문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 출강하고 있다.
펼치기
김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금융권(한국산업은행, 평화은행, 우리금융그룹)에서 30여년간 근무하였으며, 특히 20여년을 전산센터에서 근무하면서 IT전산개발, IT구매, IT감사 등 금융권 ICT를 다양하게 경험하였습니다.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MBA를 졸업하였으며, 단국대학교에서 경영정보(MIS)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를 취득하였습니다. 단국대학교 학부 및 대학원에서 ERP, 디자인씽킹, 알고리즘씽킹과W활용, 전공별AI활용, 연구방법론및통계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또한 가천대학교에서 프로그래밍 활용, 데이터베이스관리, 데이터분석 등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에서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대학교에서 제4차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인재 양성과 중소벤처기업부 비지니스지원단 전문위원, 공공기관 인증심사위원 및 심사/자문/평가위원, 기업체 면접관 등으로 제2막 인생을 보람 있게 보내고 있습니다.
펼치기
김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황동규 초기 시 내부 공간 변모에 대한 시선 연구」, 「이시우 시론을 통한 『三四文學』의 ‘오리지날리티’ 분석」 등이 있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 출강하고 있다.
펼치기
최민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추계예대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과를 수료했다. 주요 연구로 「『新時代』와 총후부인, 일제 강점기 여성이라는 좌표-모윤숙의 발표작을 중심으로」, 「1980년대 『문학과지성』의 공간과 아우라-『우리 세대의 문학』에서 『입 속의 검은 잎』까지」, 「AI의 감성분석 기법을 활용한 문학사 연구에 대한 시론(試論)-해방기 문단과 시대의 감정」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