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일어일문학
· ISBN : 9788967641825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22-04-29
책 소개
목차
제1부 설화문학
제1장 일본 전파를 통해 본 <도깨비방망이> 설화의 국제성 13
1. 머리말•13
2. <도깨비방망이> 설화의 내용•15
3. 일본 전파의 가능성•18
4. 일본 전파의 경로와 시기•30
5. 문헌 전파 이전의 잔영•41
6. <도깨비방망이> 설화의 소설화•43
제2장 중국 호랑이설화의 한일 수용양상 50
- <신도징(申屠澄)>과 <호화(虎禍)> 설화를 중심으로 -
1. 머리말•50
2. 호랑이에 대한 한일 민족의 관념 •53
3. <신도징> 설화의 수용•64
4. <호화> 설화의 수용•78
5. 수용양상의 비교•93
제3장 한·일 설화문학에 나타난 산속 이상향 연구 103
1. 머리말•103
2. 한국의 청학동•105
3. 일본의 가쿠레자토•115
4. 양국 이상향에 나타난 공통점의 요인 분석•126
제4장 한·일 전설민담 속 동굴에 나타난 이계관(異界觀) 연구 132
1. 머리말•132
2. 한국 전설민담 속 동굴의 형상•135
3. 일본 전설민담 속 동굴의 형상•144
4. 전설민담에 나타난 동굴 이계관념 비교•153
5. 비교검토를 통한 논의의 종합•157
제5장 일본인의 해양이향관(海洋異鄕觀) 고찰 159
-제주인 이여도 관념과의 비교 시점에서 1. 머리말•159
2. 일본 고대인이 상상한 도코요•161
3. 류큐인이 상상한 니라이 가나이•173
4. 여인국인 뇨고노시마•182
5. 제주인 이여도 관념과의 비교•188
제2부 소설문학
제6장 『화사』와 『다마스다레』 수록 <네 꽃의 쟁론> 197
1. 머리말•197
2. 내용의 개요•201
3. 작자와 성립•203
4. 소재의 의인화•205
5. 계절 이행과 관련된 구성법•207
6. 고사·시문 편철에 의한 수사적 문장•210
7. 역사상 및 사회상의 비유와 몽환적 기담의 지향•219
제7장 『천예록』과 『신오토기보코』 226
1. 머리말•226
2. 작자와 성립•228
3. 체재상의 특징•231
4. 이야기의 소재•244
5. 내용의 비교•257
6. 편찬의 의도•263
제8장 한국 지괴·신괴전기(志怪·神怪傳奇)의 전개 양상 269
-일본과의 비교 전망
1. 머리말•269
2. 나말여초•278
3. 고려 중후기•284
4. 조선 전기•309
5. 조선 후기•339
6. 한일 지괴·신괴전기 비교의 전망•359
참고문헌•366
찾아보기•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