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일어일문학
· ISBN : 9788997255436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12-03-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3
1장 일본전파를 통해 본 <도깨비방망이> 설화의 국제성 9
1. 머리말 11
2. <도깨비방망이> 설화의 내용 13
3. 일본전파의 가능성 16
4. 일본전파의 경로와 시기 28
5. 문헌전파 이전의 잔영 39
6. <도깨비방망이> 설화의 소설화 41
2장 중국 호랑이설화의 한일 수용양상 49
-<신도징(申屠澄)>과 <호화(虎禍)> 설화를 중심으로 -
1. 머리말 51
2. 호랑이에 관한 한일 민족의 관념 53
3. <신도징> 설화의 수용 65
4. <호화> 설화의 수용 80
5. 수용양상의 비교 95
3장 <손 없는 색시> 설화의 한일 연구동향과 과제 107
1. 머리말 109
2. 한국에서의 연구 동향 110
3. 일본에서의 연구 동향 123
4. 앞으로의 연구 과제 136
4장 선산군 고아면의 설화 ‘계모의 간계를 막은 색씨’ 연구 143
1. 머리말 145
2. ‘계모의 간계를 막은 색씨’의 구성 146
3. 계모설화유형과의 관련 150
4. 동서양 설화와의 교류 162
5. 본 설화의 의의 170
5장 『화사』와 『다마스다레』 수록 <네 꽃의 쟁론> 173
1. 머리말 175
2. 내용의 개요 179
3. 작자와 성립 181
4. 소재의 의인화 183
5. 계절 이행과 관련되는 구성법 185
6. 고사·시문의 편철에 의한 수사적 문장 189
7. 역사상 및 사회상의 비유와 몽환적 기담의 지향 198
6장 『천예록』과 『신오토기보코』 205
1. 머리말 207
2. 작자와 성립 208
3. 체재상의 특징 212
4. 이야기의 소재 225
5. 내용의 비교 239
6. 편찬의 의도 247
7장 한국 지괴·신괴전기(志怪·神怪傳奇)의 전개 양상 253
-일본과의 비교 전망-
1. 머리말 255
2. 나말여초 264
3. 고려 중후기 271
4. 조선 전기 297
5. 조선 후기 328
6. 한일 지괴·신괴전기 비교의 전망 349
참고문헌 357
색인 377